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사/불교철학
· ISBN : 9788989958086
· 쪽수 : 277쪽
· 출판일 : 2003-06-15
책 소개
목차
서문
제Ⅰ부 현대과학 용어로 본 유식사상
1. 유식의 개요
2. 유식사상에 대한 견해
3. 유식의 이해를 위한 용어 정리
[1] 오온
[2] 반야
[3] 요가행동
[4] 불성
[5] 보살심의 근본뿌리와 4지혜
4. 삼장중고
[1] 유전자 40,000개를 가진 인간들이 사후 머물 수 있는 우주
[2] 유전자 40,000개를 가진 인간들의 우주
[3] 유전자 400개를 가진 인간들의 우주
[4] 성령 40개를 가진 보살들의 우주
[5] 영
[6] 만들어진 원소들의 합
제Ⅱ부 여래장(如來藏) 사상(思想)의 정리
1. 경전
2. 논서와 경론
3. 소우주적 입장, 인간
[1] 불성(佛性)
[2] 일심(一心)
4. 요가행도 및 마음의 작용도
[1] 요가행도
[2] 마음의 작용도
5. 법공과 대우주
[1] 법공
[2] 대우주와 불성
제Ⅲ부 선(禪)에 대하여
1. 묵조선
2. 간화선
3. 조사선
4. 위빠사나
5. 사마타
6. 중원 대륙 선종의 문제점
7. 원효성사의 당나라 유학 행 후일담
부록-아나소식
저자소개
책속에서
“2. 유식사상(唯識思想)에 대한 견해(見解)
유식(唯識)은 불가의 승속 간에 수행을 하는데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사상이다. 이러한 유식사상의 근본경전이 『해심밀경』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산스크리트본》 원본은 사라지고 없으며 남아 있는 것은 한문본과 티베트본이 남아 있는 가운데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이 당 현장 역이다. 이 점을 새삼 거론하는 이유는 번역 자체의 정확성을 인정할 수가 없다는 점이며 특히 미륵의 저서로 알려진 『유가사지론』도 산스크리트어의 원명이 《요가차라부미》로서 《요가행지(行地)》 또는 《요가행론》으로 번역이 되는데 제목부터 불순한 뜻을 담은 왜곡을 하고 있다. 《요가》란 신체를 단련한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유가사지론』의 내용들을 볼 때 인간을 소우주로 보고 인간 내면의 식(識)의 흐름으로 인한 작용 관계를 주로 다루고 있다. 이는 탄소C의 순환의 세계에 살고 있는 인간으로서 비유하자면 대장장이가 명검을 만들기 위해 쇳덩어리를 벌겋게 달구어 쉴새 없이 두들김으로서 쇳덩어리의 불순물을 제거하여 명검을 만들듯이 육신속에 가지고 있는 양자의 진화를 위해 외형적인 육신의 고통보다는 사마타 수행이라는 정(定)의 수행을 동반함과 아울려 무의식 가운데 호흡법을 통해 조용히 인간 육신 내의 기(氣)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함으로서 우주의 운행과 같은 식의 흐름을 주도함으로서 식(識)의 주인공인 양자의 진화를 최대한 돕고져 하는 행이 요가 행(行) 근본취지이다. 마음을 일으키지 않고 대장장이가 쇳덩어리를 두들기듯 성(性)의 양자군 주위를 돌고 있는 다섯 감각기관과 의식을 담당하는 여섯 전자를 잠들게 함으로써 속성을 담당하는 양자가 관례대로 정보전달을 위해 성의 양자군들에게 부딪침으로서 성의 양자군이나 속성의 양자들을 단련케 하는 고도의 수행이 『요가행론』의 본 뜻이다. 이러한 내용을 이론적인 체계를 세워 견성성불을 이루도록 하기 위한 취지로서 미륵이 무착(無着)에게 전수한 것이 바로 『요가행론』인 것이다. 이러한 『요가행론』이 번역의 과정에서 당 현장에 의해 불순한 의도로 고쳐지고 과대 포장되어 번역됨으로서 마치 미륵의 이름을 빌어 현장 자신의 논리로 둔갑시킨 논서가 지금 전하여진 『유가사지론이다. 이러한 사정을 잘 알고 있는 필자로서는 한 때 심각한 고민을 한 적이 있다. 그냥 지나치자니 유식을 진지하게 공부하시는 불자 여러분들께 죄를 짓는 기분이고 이를 바로 잡자니 산스크리트 원본은 없어졌고 하여 『해심밀경』 본래의 뜻을 벗어나지 않는 가운데 새로운 시각으로 불자 여러분들의 이해를 위해 현대 과학적인 용어로서 식(識)의 흐름 전반을 다시 간략하게 그 뜻을 전함과 동시에 『해심밀경』이나 『유가사지론』에 등장하는 용어 및 기본 뜻을 설명하는 순서로서 유식사상 전반을 새로운 각도로 설명하기로 결심하고 이 장을 진행하는 것이다. 아무쪼록 필자가 의도하는 뜻이 불자 여러분들에게 받아들여져 유식을 공부하는데 도움이 되시길 간절히 바라는 마음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