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동양철학 일반
· ISBN : 9791196843908
· 쪽수 : 519쪽
· 출판일 : 2019-11-25
목차
인사의 글 7
목 차 12
제1장 삼일신고 독송(三一神誥讀誦)
1. 삼일신고(三一神誥) 한문경(韓文經)과 한글경 21
2. 삼일신고(三一神誥) 근본진리(根本眞理) 38
제2장 삼일신고 해설(三一神誥解說)
1. 삼일신고 한글경 해설
1) 제목 해설(題目解說) 83
⑴ 삼일신고(三一神誥) 83
⑵ 총삼백육십육자(總三百六十六字) 90
※ 여섯 뿌리의 진공(眞空) 91
⑶ 제목(題目) 해설의 종합 93
2) 제일장 허공삼십육자(虛空三十六字) 94
⑴ 제목 해설(題目解說) 95
⑵ 한글경 해설 104
3) 제이장 일신오십일자(一神五十一字) 126
⑴ 제목 해설(題目解說) 127
⑵ 한글경 해설 128
① “하나님은~헤아릴 수가 없다” 128
㉮ [상천궁(上天宮)] 129
㉯ [태양수(太陽數) 9] 138
㉰ [오행(五行)의 작용(作用)] 141
② “소리내어~내려와 머릿속에 내려와 계시느니라.” 142
㉮ [삼진(三眞)] 143
㉯ [성(性)] 145
㉰ [삼진(三眞)과 성(性)의 30궁과의 관계] 148
※ 『문다까 우파니샤드』제2장 제1편 [1]~[2] 151
㉱ [삼진(三眞)과 성(性)의 30궁(宮)의 작용(作用)과 마음(心)] 154
㉲ 본문 해설(本文解說) 169
※ 강주(講主) 173
4) 제삼장 천궁사십자(天宮四十字) 176
⑴ 제목 해설(題目解說) 177
⑵ 한글경 해설 178
5) 제사장 세계칠십이자(世界七十二字) 191
⑴ 제목 해설(題目解說) 192
⑵ 한글경 해설 194
6) 제오장 인물일백육십칠자(人物一百六十七字) 211
⑴ 제목 해설(題目解說) 214
※ 용어해설(用語解說) 216
1. 십거일적(十鉅一積)
2. 72궁(宮)
⑵ 한글경 해설 222
※ 사바세계(娑婆世界)란 무엇입니까? 257
※ 강주(講主) 268
※ 강주(講主) : 인물(人物) 167자(字)에 등장한 중요한 용어(用語)와 음양(陰陽) 관계 정리 298
2. 자구획수(字句劃數) 수리(數理) 모음
1) 천부수리(天符數理)와 근본진리(根本眞理) 304
⑴ 천부수리(天符數理) 304
⑵ 근본진리(根本眞理) 309
※ 예제 : 자구획수(字句劃數) 수리(數理) 풀이에 의한 근본진리(根本眞理) 310
2) 삼일신고(三一神誥) 자구획수(字句劃數) 수리 모음
⑴ 제일장 허공삼십육자(第一章 虛空三十六字) 316
※ 강주(講主) 323
⑵ 제이장 일신오십일자(第二章 一神五十一字) 324
⑶ 제삼장 천궁사십자(第三章 天宮四十字) 335
⑷ 제사장 세계칠십이자(第四章 世界七十二字) 345
⑸ 제오장 인물일백육십칠자(第五章 人物一百六十七字) 361
3) 삼일신고(三一神誥) 자구획수(字句劃數) 수리 모음 394
3. 근본진리(根本眞理) 용어해설(用語解說) 420
[별첨] 대공 내 우주 탄생 역사와 우주 생성 순서 519
표 목차
[표] 삼일신고(三一神誥) : 三一神(삼일신)의 깨우침 87
[표] 366수리(數理) 90
[표] 오가(五加) 118
[표] 마음(心)을 겨냥한 양(陽)의 18경계 266
[표] 마음(心)을 겨냥한 음(陰)의 18경계 267
그림 목차
[그림] 휴식기 법공도(法空圖) 97
[그림] 법공(法空)의 1회 진화(進化) 주기 98
[그림] 천일궁(天一宮)을 포함한 천일우주(天一宇宙) 100의 궁(宮) 101
[그림] 1-3-1의 길 115
[그림] 1-4-1의 길 115
[그림] 상천궁(上天宮) 10성(星) 131
[도형] 마음(心) A 155
[도형] 마음(心) B 155
[그림] 선후천(先後天) 우주 때의 지이삼(地二三) 우주 206
[도형] 4만개 유전자 도형 234
[그림] [성(性), 명(命), 정(精)의 진화(進化) 관계] 244
[그림] 북두칠성에서의 노사나불 진신삼성(眞身三星) 437
[그림] 천일궁(天一宮)에서의 대통지승불 진신사성(眞身四星) 441
[그림] 진화기 법공도(法空圖) 470
[그림] 중앙천궁상궁(中央天宮上宮) 운행 486
[그림] 천일궁(天一宮) 10의 궁(宮) 505
[그림] 대공(大空) 내 우주 탄생 역사와 생성 순서 519
저자소개
책속에서
인사의 글
《삼일신고(三一神誥)》는《석가모니 하나님 부처님》께서 BC 3512년《한국(韓國)》을 중심한《구막한제국(寇莫韓帝國)》시절 5대《태우의 황제(皇帝)》로 오시어 우주간(宇宙間)의 종교(宗敎)로써《보살불교(菩薩佛敎)》인《한단불교(桓檀佛敎)》를 창시하셨을 때
5대 경전(五大經典)인《묘법화경(妙法華經)》과《황제중경(皇帝中經)》과《황제내경(皇帝內經)》과《천부경(天符經)》과《삼일신고(三一神誥)》를 창작하시어
이들 경전(經典)과 함께 후손(後孫)들이신《한민족(韓民族)》들에게《보살불교(菩薩佛敎)》를 전(傳)하신 것이다.
이렇듯 후대로 전(傳)하신 경전(經典)들 중 금번《미륵불(彌勒佛)》께서《삼일신고(三一神誥)》를 경전화(經典化)하여 세간(世間)에 새로운 모습으로 드러내게 된 경전(經典)이《삼일신고(三一神誥)》《보살불교(菩薩佛敎)》경전(經典)이다.
이러한《삼일신고(三一神誥)》는 그 뜻이 심오하여《석가모니 하나님 부처님》의 신력(神力)이 가득 담긴 경(經)이니《보살불교(菩薩佛敎)》를 하시는 불자(佛者)들께 몇 가지 당부의 말씀을 드리고자 한다.
첫째, 호기심에서《삼일신고(三一神誥)》경전을 대하는 자(者)는 몇 페이지도 넘어가기 전에 책을 덮어 버리고 만다.
이러한 이유는 스스로가 가진 무거운《업장》과《마성(魔性)》때문에 빚어지는 현상으로
이로써 이러한 분들은《영원(永遠)》을 보장받는《무량대복(無量大福)》을 스스로 걷어차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분들은 먼저 스스로의 무거운《업장》과《마성(魔性)》을 굴복시키기 위해 하루에 일정한 시간을 정해《복식호흡(腹式呼吸)》으로《석가모니 하나님 부처님》명호(名號)를 부르는《참회기도》를 한 후 경전(經典)을 대하면
아무리 어려운 경전(經典)의 내용이라 하더라도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천상(天上)》의《불보살(佛菩薩)》들이 도와주기 때문에 어려운 부분들도 쉽게 타고 넘어갈 수가 있다.
몇 번의 고비를 지나면 정진하는 그대는 말로 표현할 수 없는《환희심(歡喜心)》을 맛볼 수 있다.
이렇듯 진지하게 경전(經典)을 가지고 기도 정진하면 그대 자신도 모르는 순간 그대는《보살도(菩薩道)》성취를 이룬《보살(菩薩)》이 되어《영원(永遠)》을 살아가는《무량대복(無量大福)》을 얻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그대는《삼일신고(三一神誥)》한 권의 책만 그대 일평생 그대 것으로 만들면
그대는 세세생생 윤회(輪廻)하면서 그대가 바라고 희망하는 것이 모두 이루어져《구원(救援)》된 삶을 영위할 수 있는《신령(神靈)》스러운 경전(經典)이《삼일신고(三一神誥)》보살도(菩薩道) 경전(經典)임을 차제에 일러 드리며 인사의 글로 대하고자 한다.
이러한 당부는《미륵(彌勒)》부처가 드리는 당부이니 허망(虛妄)함은 있을 수 없음을 재차 강조 드리는 바이다.
서기 2018년 2월
글쓴이 미륵불(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