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해방전후사/한국전쟁
· ISBN : 9788990106223
· 쪽수 : 397쪽
· 출판일 : 2006-07-31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부 일제강점기 조봉암의 민족해방 투쟁
사상 형성기의 조봉암
조선공산당과 민족해방운동
국제공산주의운동과 조선공산당
일제강점기 조봉암의 삶과 투쟁
제2부 해방 직후 조봉암의 민족 노선
해방 정국의 구조와 특징
해방 직후의 조봉암과 조선공산당
좌우합작운동과 조봉암의 제3전선 결성
분단에 맞선 조봉암의 민족 노선
제3부 대중정당운동의 전개와 좌절
개요 : 정치인 조봉암의 삶과 투쟁
의회정치를 통한 개혁 정책의 실시
대중정당 결성의 시도와 좌절
제4부 진보당과 조봉암의 민주주의 투쟁
개요 : 진보당의 실험과 좌절
민주주의 투쟁과 진보당 창당 전야
진보당의 창당
진보당사건과 조봉암의 죽음
진보당의 이념적·조직적 특성
제5부 결론: 한국 진보주의 정당의 성격과 한계
이념으로서 한국 사회주의의 역사적 위상
진보정당의 역사 1: 진보당까지
진보정당의 역사 2: 진보당 이후
부록_내가 걸어온 길_조봉암
나의 정치 백서_조봉암
존경하는 박헌영 동무에게_조봉암
진보당 강령
진보당 정책
저자소개
책속에서
해방 이후 조봉암은 변절이 아니라 공산주의운동을 분명히 지양하는 족적을 남기고 있을 뿐이다. 일본의 제국주의적 폭압에도 불구하고 민족의 독립과 해방을 위해 공산주의운동의 선봉에 나섰던 조봉암이 해방 후 조선공산당의 재건 작업에 적극 나서지 않다가, 1946년 반탁의 기세가 거세질 무렵 비미비소 민족 노선을 주장한 것은 ‘볼셰비즘을 지양한 민주적 사회주의와 민족 주체 노선의 지향’이라 할 수 있다. 이 같은 그의 민족 노선은 일종의 실사구시적 태도이자, 민족과 국가에 주어진 여건을 슬기롭게 극복하여 민족통합을 이루어내기 위한 한국적 사회주의 노선으로 자신의 공산주의 노선을 지양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그의 역사, 그의 삶이 보여주고 있다. - 본문 중에서
오늘의 진보 세력은 훨씬 좋은 조건에서 정치를 하고 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이들은 한국현대사 나아가 진보 정당의 역사에 대한 변변한 역사 교리조차 갖고 있지 못하다. 그들은 내일을 위해 투쟁한다 하지만 어제 없는 내일이 공허하다는 것은 두말할 것이 없다. 당 조직의 리더십 문제 하나 제대로 해결해갈 수 없는 정당이 어떤 문제에 직면할 것인가를 예상하기는 어려운 일이 아니다. - 본문 중에서
이들(1세대 진보정당 운동가들)은 이데올로기적으로 좌파 사회 민주주의에서 우파 사회 민주주의 내지 민주 사회주의에 이르기까지 잡다했으며 작풍이 서로 달랐다. 대다수가 정치 경험이 비교적 적은 ‘지사형’ 지도자들이었다. 이들은 또한 작풍에 있어 남과의 타협이나 조화에 익숙하지 못한 완고한 편집증 활동가들이었다. 동일한 조직에서 활동해본 일이 없던 이들은 7?29선거에 참패한 뒤 쉽게 분해되어 자멸했다. 오늘의 민주노동당은 이들의 실패로부터 얼마나 자유로울 수 있을 것인가?
많은 사람들이 진보운동은 정권의 탄압이나 냉전과 같이 외적 요인들에 의해 좌절되었다고 말한다. 틀린 말은 아니지만 그것이 사실의 모든 것은 아니다. 필자가 보기에 더 중요한 측면은 진보운동이 현실에 기초를 튼튼히 둔 이념적 좌표를 세우는 데 실패하고, 조직 내 건전한 작풍을 만드는 데 실패하고, 당내 정파들의 조급한 헤게모니 투쟁 때문에 분열하고, 결과적으로 대중으로부터 유리되었다는 사실이다. 진보당이 그러했고 4?19혁명 직후 혁신 세력이 그러했다. 조직의 핵을 지도 세력과 격리시키고 또 대중과 격리시키는 작업이 거듭되면서 극소수 세력을 제외하고는 흩어지고 또 흩어졌다. 흩어질 때마다 결집력은 더 취약해졌다. 진보당이 물리적인 힘으로 해체되고 그 핵인 조봉암이 법의 이름으로 처형되었어도 저항 하나 없었던 까닭은 바로 여기에 있었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