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좋은부모 > 교육/학습 > 학교/학습법
· ISBN : 9788990611239
· 쪽수 : 199쪽
· 출판일 : 2005-08-05
책 소개
목차
Chapter 1 스스로 공부하는 아이는 부모가 만든다
01 서울대 학습증진클리닉에서 만난 아이들
02 아이의 간절한 눈빛을 기억해야 한다
03 눈에 보이는 꿈은 반드시 이루어진다
04 시험에 강한 아이가 모든 일에도 자신감이 생긴다
Chapter 2 공부를 쉽게, 잘 하는 방법은 수평형과 수직형이 다르다
01 공부를 못하는 이유는 100인 100색
* 공부 시간에 자꾸만 딴 생각이 나요
* 학습지랑 숙제를 자꾸 미루게 돼요
* 문제를 보면 자신감이 없어져요
* 문제를 이해하지 못 하겠어요
02 아이들의 공부유형을 어떻게 나눌것인가?
* 공부 유형을 수평형, 수직형으로 나누는 이유
* 수평형과 수직형의 특징
/번뜩이는 재치를 가졌지만 게으르고 부주의하기 쉬운 수평형
/꼼꼼하고 정확하지만 전체를 놓치기 쉬운 수직형
* 수평형, 수직형 아이에게 필요한 학습법
/수평형 아이를 위한 학습법
/수직형 아이를 위한 학습법
* 수평형을 수직형으로, 수직형을 수평형으로 바꿀수는 없을까?
Chapter 3 초등학력평가를 준비하는 데 꼭 필요한 학습법
01 모든 것의 기본, 시간표를 짜기
02 매일 해야 할 과제를 빼 먹지 않고 하는 법
03 효율적인 예습 틀 짜기
04 수업 시간에 놓치지 말고 꼭 들어야 할 것
05 학력평가 100점 맞는 복습법
06 정답 맞추기 보다 100배는 더 필요한 오답 노트 만들기
07 서술형, 논술형 문제에 대비하기 위해 꼭 알아두어야 하는 개념지도
Chapter 4 성적을 업그레이드 시키는 과목별 능률학습법
01 국어 - 모든 학습의 기본이다
* 이해의 틀을 만들어야 한다
* 어휘를 눈덩이처럼 늘리자
* 우리말도 문법이 중요하다
* 글을 분석하고 정리할 수 있어야 한다
02 수학 - 문장제 문제를 아는 것이 진정한 수학공부다
* 문장제 문제는 그림으로 바꾼다
* 복잡한 문제는 문장을 의미 단위로 끊어서 읽는다
* 도표, 그래프와 친해지다
* 수학적 사고에 필요한 언어력을 발달시켜야 한다
* 수학됴 외울 것은 철저히 외워야 한다
* 사칙연산은 지릿수를 맞추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 나눗셈은 어림짐작이 필요하다
03 과학 - 관찰과 실험을 통해 원리를 찾아내는 우직한 공부다
* 관찰은 과학의 시작이다
* [실험방법 - 결과 - 알 수 있는 것] 순으로 정리한다
* 어려운 과학 용어는 쉬운 우리말로 바꾸어 준다
*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지식을 배운다
04 사회 - 간접 체험과 직접 체험이 어우러져야 이해가 빠르다
* 표, 그림과 친해져야 교과서가 재밌다
* 사회는 비교하면서 공부해야 한다
* 유사 환경을 만들어 본다
* 상상력이 기억을 끌어올린다
05 영어 - 영어로 생각나는 틀을 갖추고 영어의 감각을 익혀야 한다
* 통문장 암기는 절대로 하지 마라
* '대표 문형 암기' 는 필요하다
* 상황에 맞는 말을 배워야 한다
* 나만의 회화 테이프를 만든다
* 영어로 혼잣말하기
* 영어 체험 기관을 활용하자
Chapter 5 모두에게 꼭 필요한 공부 환경 만들기
01 공부가 쉽게 되는 공부방 만들기
02 성적 향상의 절대 조건, 건강한 몸 만들기
Chapter 6 전문가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아이들
01 발음이 부정확할 때
02 '앗, 실수로 틀렸네' 가 너무 많을 때
03 담임선생님이 지적할 때
04 아이가 학교 가기를 싫어할 때
05 어느 날은 천재, 어느 날은 바보 같을 때
06 난청, 약시, 사시가 의심될 때
07 책을 잘못 읽을 때
08 우울증, 불안 증세를 보일 때
부록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학교의 과학 수업은 일상생활에서 많은 것을 경험하고 관찰했다는 가정 아래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유치원과 초등학교 다닐 때 많은 현상(봄에 꽃이 피고, 여름에 과일이 영글고, 가을에 나뭇잎과 과일이 땅으로 떨어지는 자연 현상을 비롯한 모든 현상)을 경험해야 합니다.
그러나 반드시 산이나 바다로 나가야만 '관찰'을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바닥에 물이 묻었을 때 미끄러지는 것, 공을 위로 던지면 밑으로 떨어지는 것 등 살아가면서 접하는 모든 현상이 과학의 관찰 대상이 됩니다.
이런 현상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느끼게끔 도와주어야 합니다. 탁자 위에 물을 흘리거나 하면 야단만 칠 것이 아니라 탁자를 기울여서 물이 모두 밑으로 떨어지는 것을 보여 주고, '물이든 무엇이든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거야.'라고 가르쳐 주세요. '관찰'하는 힘이 과학의 시작입니다. - 본문 147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