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한국전쟁 이후~현재
· ISBN : 9788990816269
· 쪽수 : 780쪽
· 출판일 : 2006-04-21
목차
초판 서문
개정판 서문
프롤로그 ― 나와 노동자 연구
1. 10년 전의 나
제헌절 아침녘에 그를 생각해내다|아버지의 추억|'오! 한강'과 13년
2. 연구자, 타자(他者)로서 살아가기
김소진과 에드워드 톰슨|'간장선생'|지식과 현실의 거리|좌파와 타자|입장과 담론
3. 민중, 민족 그리고 오늘의 민중
광주의 역사 해석, 드라마 '낮에도 별은 뜬다'|삼일절과 민(民), 그리고 민중
식민지는 오래 지속된다|'민중'이란 단어|전쟁과 반공국민
4. 밑바닥에서 세상 읽기
삼류인생|드라마 읽기: 노희경과 김운경
5. '여공'으로 가는 길
초기 프로포잘|구성신화를 되묻다|<전태일 평전>의 재해석: 지식인이 본 전태일
'중성적' 노동사?: 민주노조 담론 비판|여성전사: 전사.투사론
6. 푸코를 만나다: 계보학을 통한 여성 담론 분석
푸코읽기(1): 계보학|푸코읽기(2): 계보학
7. 왜 '여공'인가?: 여공담론의 대상과 사료
1장 식모는 위험했나? ― 산업화 시기 주변부 여성노동을 둘러싼 담론들
식모: 잊혀진 여성 노동자들|식모: 그들은 누구였는가?|'무작정 상경'과 농촌 출신 누이들
"무서운 서울역전"|식모와 '요보호 여성'|식모의 하루, '가정'의 이질적 존재|'부녀'라는 이름
'요보호 여성', 잠재적 윤락 여성|'식모는 위험하다': 주변부 여성 노동에 대한 담론들
중산층 가족 형태와 '식모폐지론'|'근대적 노동윤리'와 근검절약하는 여성
핵가족 이데올로기와 근대적 모성|'식모 폐지론'을 둘러싼 담론
<부록1-1> 식모 관련 사회문제 사건 목록, 1960~1979
<부록1-2> 박정희 정권 노동윤리 관련 문헌들
2장 여공 되기 ― 희생양 담론과 공장 동경
희생양 담론|여공의 이농과 가족|농촌 탈출과 가족의 생계: 여공의 담론들
익명적 지식: 공장 동경|다락방 담론과 공장 동경|'인간시장'과 다락방 담론
"평화시장 아가씨들은 3년만 고생하면 고물이 된다"|여공들의 '공장 동경'|
2장 공장을 들여다보니 ― 여성들은 어떻게 공장에 들어갔나?
여공의 공장 동경|한국 여성 노동력의 창출 구조: 개괄적 개요|사회통계를 통해 본 '여공'의 삶
일상에서 여공의 경험과 삶: 주거 공간|판자촌의 벌집의 위생담론|여공들의 주거 공간 구조
여공들의 식사|여공의 이농과 가족|세 여공의 이야기: 여공들의 생애사|여공과 공장 동경
작업장 내부 여성의 신체 배치|시다, '이름없는' 소녀들|'오야 맘대로', 평화시장 봉제공장
사람 잡는 기계들, 섬유업종|도급제와 공임제|소녀들의 손을 잡어먹은 '캔디'
미숙련공의 생활: 요꼬쟁이 모가지는 아흔아홉 개|실 잇기 시험 희생양|담론과 여공
3장 힘세고 건강한 소녀들 ― '여성노동'과 성별분업
여공의 저임금, 생계보조적 임금|잔업 논쟁: 여공 보호론과 잔업 불가피론
'열등함'의 상징, 여성 노동|작업장 폭력과 남성적 심리구조|성적 통제, 순결을 통한 여공의 관리의인화된 권위, 완장 찬 반장 언니|작업장 질서와의 공모, '제도화된 경쟁'
산업화 시기 전통의 '재발명'|가족 공동체: 가족 같은 회사
비정한 아버지, 고용주: "당신에게 나, 은혜 입은 거 없어!"|'새마음운동'과 박근혜
'모범 노동자들'의 이야기|민족공동체 담론: '수출은 성전(聖戰)이다'
여공의 다른 이름, 산업전사|'여성노동' 범주와 성별 노동분업
<부록3-1> 남성 생계부양형 가족과 가족임금
<부록3-2> '대중경제론'과 노동문제 인식
<부록3-3> 산업화 시기 여성 노동운동에 대한 지배적 해석
<부록3-4> 산업화 시기의 시다
<부록3-5> 1970년대 마산수출공업단지와 여성노동자
<부록3-6> 종법사상(宗法思想)과 가부장제도
<부록3-7> 홉스바움과 '전통의 발명'
<부록3-8> 전전 일본과 산업화 시기 한국의 국가주의 담론
<부록3-9> 조국 근대화를 위한 일상적 의례와 상징들
4장 계집들이 노조를 만든다고! ― 여성들의 노조 만들기
민주노조 담론의 형성과 모순|생산적 남성지배 노조 담론|'여성' 민주노조에 대한 지배적 담론들
"내일 잘 산다고 오늘 굶을 수는 없지 않소?": 초기 노동자들의 노조관
'어용노조' 대 '민주노조'|남성지배 노조|잃어버린 '이름' 찾기|'여성' 노조 만들기
여성노조와 리더십|여성 민주노조의 네트워크: 대의원 제도|민주노조 10년과 소모임, 원풍모방
여공과 '정치적인 것'
<부록4-1> 박정희 시기 노동조합의 유형
<부록4-2> 여성의 공적 참여에 대한 유교 담론
<부록4-3> 유교 담론에서 음양설
5장 여공들은 '투사'였나? ― '민주화 담론'의 구성신화 비판
청계피복노조, 지식인의 정치적 실험장|학생운동 식의 활동방식|학생운동식 활동방식
동일방직, 1970년대 민주노조의 신화|문명순, 숨겨진 '어용'의 이름
조작된 신화: 외부화 투쟁을 둘러싼 담론|'교회단체'와 '노동운동'
초기 교회 담론의 변화: 산업전도에서 산업선교로|공존의 차이: 산선과 지오세
"都産하면, 倒産한다"|최영희와 한순임|민주대 어용이란 신화|여성노조와 중성적 투사
신화 뒤집어 보기, '민주화 담론의 국가화'
<부록5-1> 청계피복 노조 노동교실
<부록5-2> 청계피복 노조 9.9투쟁과 '결사선언'
<부록5-3> 청계피복 노조와 9.9 투쟁
<부록5-4> 중앙정보보 '조정관'
<부록5-5> YH 노조의 신민당사 농성 과정
<부록5-6> 고 김경숙의 일기
<부록5-7> 산선 비난 문건 '산업체, 농촌사회 외부세력 침투 실태'
<부록5-8> 교회단체와 여성 노동자
6장 공순이, 타락했냐? ― 여성 노동자들에 대한 사회적 시선
공순이, 거세된 여성성|여대생 되기|'여공은 난잡하다'|'신성한 모성'과 여공
국가의 여공담론: '윤리와 과학이 조화되는 가정'|여공과 가족 그리고 결혼
여공들의 사랑, 동거문화와 이성애|'미래의 모성'과 여공의 욕망
<부록6-1> 1960~70년대 버스 차장을 둘러싼 신문 기사들
<부록6-2> 일본에서 여공을 둘러싼 지배적 해석과 비판
<부록6-3> 1970년대 기생관광의 실태
<부록6-4> 산업화 시기 여성노동자의 욕망에 대한 입장들
7장 남진, 나훈아에 열광했던 여공들 ― 여공의 일상과 문화
일상에서 여공의 경험과 삶: 주거 공간|판자촌의 벌집의 위생 담론|여공들의 주거 공간
기숙사, 관리와 연대의 대립항|기숙사의 특수한 규율, 몸 수색과 외출표|기숙사에서 여공들의 일상
눈물의 '보름달빵 계'|기숙사 자치회, 대항 담론의 산실|소모임의 형성과 확산
소모임의 내용과 역할: 수다에서 불만으로|소모임은 '의식화의 성채'였나: 소모임의 한계와 의의
여긍의 문화|여공들이 읽었던 책들, 여공의 '지성사'|'트로트'와 여공의 세계|노동가와 노동조합
'여공문화=민중문화'인가?|여공문화와 '자매애'
<부록7-1> 광주대단지 사건과 도시 빈민
에필로그 ― 그녀들의 세계를 본 뒤
방법론적 토론: 계보학과 미시사|익명적 지식|담론 분석의 의미|미시사와 여공의 작은 세계
'밑으로부터의 노동사'의 전통과 그 변용|미시사: 방법, 사료, 지향
미시사와 산업화 시기 '여공'|한국 노동사에서 남성주의적 담론|한(恨)과 '한국적 계급 정체성'
'정치적인 것'과 여성 노동|산업화 시기 여성 노동에 대한 계보학적 연구
참고문헌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주목해야 할 사실은 산업화 시기, 특히 1970년대 이후 '공순이'라고 여성 노동을 천시했던 지배적 담론이 1950~60년대에는 적용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50~60년대의 경우 여공은 천대받는 식모보다 훨씬 안정된 직업이었다.
당시에 "10환짜리 한 장이 귀하기 짝이 없는 농촌에서 연약한 여자의 힘으로 송아지도 사고 옷가지도 장만하고 밭떼기도 장만할 수 있는 길이란 방직공장 직공벌이 아니고서는 생각할 수 없는 일"로 여겨졌다(이임하 2002, 63).
1968년 실시된 한 조사에서도 다수 여성들이 공장 취업을 원하고 있었지만 서울에서 그녀들을 위한 일자리는 거의 없었다. 단적인 예로 공장지대인 영등포에서 1만 명 이상의 여공들을 고용하고 있는 대기업체의 일자리는 물론이고 버스 차장, 식당 종업원의 경우도 사람을 뽑는 곳은 극히 드물었다. - 본문 142쪽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