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시간관리/정보관리 > 정보관리
· ISBN : 9788990994028
· 쪽수 : 222쪽
· 출판일 : 2010-01-16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제1장 속독(速讀)
속독으로는 머리가 좋아지지 않는다
속독은 지식을 단시간에 얻기 위한 독서법
매주 천 페이지 이상의 읽기 과제로 발견한 속독법
속독의 핵심은 요점 파악
사례연구를 위한 속독일 때는 숫자나 고유명사에 주목
이럴 때도 속독이 필요
신문으로 속독을 연습
속독능력을 단련하는 방법
고미야식 신문ㆍ잡지 파일링 기법
속독을 하기 위해서는 기본지식이 필요
속독 정리
제2장 1단계 통독(通讀)
처음부터 끝까지 읽는 것이 통독
가설을 세우고 읽기
타인의 집약된 경험을 내 것으로 만드는 수단
일류 경영자가 일반인을 대상으로 쓴 책을 선택
마케팅은 실천적인 책으로 즐기면서 읽기
입문서로 회계의 감 잡기
재미있는 우화로 조직과 인재관리의 노하우 습득
경제 입문서로 기초 다지기
가짜가 아닌 진짜 투자 책 읽기
소설로 읽는 비즈니스
내용의 논리 수준에 따라 읽는 방법 분류
제3장 2단계 통독(通讀)
논리적 사고력을 높이고 머리를 좋게 만드는 2단계 통독
경제의 본질은 일류 학자의 책으로 파악
피터 드러커를 통해 배우는 경영의 본질
성공한 사람을 벤치마킹해야 성공
전쟁의 전략론에서 비즈니스 전략의 본질을 습득
사회과학은 절대성이 아닌 규범성을 추구
세계적인 경영인에게 경영의 본질을 습득
경영서의 고전으로 배우는 경영이념의 중요성
마케팅의 고전으로 배우는 마케팅의 기본
회계는 세부적인 내용보다 본질을 파악하는 데 중점
인재관리도 본질을 좇는 책으로 공부
경영을 위해서는 심리학 공부가 필수
빼놓을 수 없는 영어 공부
어려운 책도 OK
이해가 안 되면 차라리 원서로
통독은 이동하는 시간에
통독 정리 : 1단계와 2단계 분류는 이렇게
제4장 숙독(熟讀)
숙독은 머리가 좋아지는 독서법
정확히 이해한다는 말의 의미
참고문헌을 참조하며 읽기
필요한 부분만 읽기
관념적인 책보다는 논리적인 책이 적합
30시간이면 전문가 수준에 도달
1인자가 쓴 입문서와 전문서를 번갈아가며 읽기
동기부여를 위해 업무와 관련된 분야부터 시작
짧은 시간에 한 글자도 빼놓지 않고 읽는 특수한 숙독법
숙독 정리
제5장 중독(重讀)
인간 내면을 성장시키는 책은 중독으로
《채근담》과 《논어의 활학》
늘 곁에 두고 싶은 일류 경영인의 가르침
중독 정리
제6장 독서력을 높이는 8가지 테크닉
언제 어디에서 읽을까?
인터넷을 활용한다
컨디션이 좋을 때 읽는다
매일 읽는다
독서력을 늘리는 가장 빠른 방법은?
독서로 실무와 이론을 연결한다
정체 상태에 빠졌을 때가 기회다!
쓰는 습관을 들여라
부록 : 비즈니스맨을 위한 분야별 필독서
이 책으로 경제를 배우자!
이 책으로 마케팅을 배우자!
이 책으로 경영을 배우자!
이 책으로 회계를 배우자!
이 책으로 인재관리를 배우자!
이 책으로 삶의 지혜를 배우자!
그 밖의 추천 도서
맺음말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복잡한 문제를 가능한 한 실수 없이 올바르게 판단하는 힘을 얻기 위해서는 자신의 논리 수준을 높일 필요가 있고, 그러기 위해서는 논리 수준이 높은 사람이 쓴 책을 읽고 그 논리를 ‘모방’하는 것이 대단히 좋은 방법이 된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속독으로는 수준 높은 논리를 모방하는 일이 어렵다.
속독으로는 머리가 좋아지지 않는다 중에서
속독이란, 어떤 의미에서는 처음부터 어느 정도 결정을 하고 읽는 독서법이다. 얻어야 할 정보와 버릴 정보를 순간적으로 판단하면서 읽는 방법이란 말이다. 이 경우, 잘못 버리면 본질을 얻을 수 없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경험과 그때까지의 공부가 중요해진다.
속독의 핵심은 요점 파악 중에서
신문에는 큰제목, 중간제목, 소제목이 있고, 큰제목 다음에 반드시 요점이 정리되어 있다. 우선 제목을 보고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인지 아닌지를 순간적으로 판단한다. 모든 제목을 본다고 해도 그다지 많은 시간이 걸리지는 않는다. 제목은 대체로 굵은 글씨로 쓰여 있기 때문에 눈에 확 들어온다. 그 다음에는 필요성에 따라서 어느 정도까지 기사를 읽는다. 이때 통독할 것인가 말 것인가를 결정하면 된다. 신문으로 속독을 연습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