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부동산/경매
· ISBN : 9788990994585
· 쪽수 : 288쪽
· 출판일 : 2007-10-1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중국 부동산은 황금알을 낳는 거위인가?
중국 부동산 개발의 현주소
중국 부동산 열기
대륙에 부는 부동산 바람
01 중국 부동산의 원칙과 편견
낙관론(6가지): 서울1동경에 비해 많이 싸다
북경올림픽 후 오른다
세계는 중국으로 모인다
도농 간 격차가 생길 것이다
경제발전은 부동산가격을 상승시킨다
환율절상으로 환차익이 생긴다
장기저리융자가 부동산을 폭발시킨다
비관론(3가지): 거품으로 폭락할 수 있다
개인의 재산권행사가 불투명하다
공급 과잉현상이 벌어진다
환금성이 떨어진다
오른 임대료는 절대 내려가지 않는다
정확한 정보가 투자성을 높인다
중국은 자금의 출처를 문제 삼지 않는다
한국인을 상대로 한 임대업도 승산 있다
골프장은 적자난, 그래도 투자한다
이유는 무엇일까?
골프장은 대박으로 가는 길목
골프장이 다 대박은 아니다. 검토 또 검토
레저 개발은 금맥일 가능성이 높다
레저 붐! 가파른 성장 예측
중국의 토지가격과 전망
북경 도심 평당 2천 5백만 원
2007년 북경 한인타운의 아파트 실례
최근 5배 정도가 올랐다
중국의 아파트가격 결정요인
2007년도 부동산시장 10대 예측
02 중국 부동산 개요
중국에서 부동산이란 용어의 정의
왜 중국에서는 부동산을 방지산(房地産)이라 하는가?
부동산가격의 구성에 대하여
부동산가격을 형성하는 주요 요소
부동산가격의 유형
토지소유권가격과 토지사용권가격
토지 징용가격(征地價格)ㆍ임대가격(批租地價)ㆍ양도가격
총 가격ㆍ단위(?位)가격ㆍ지상단위건축면적토지가격
토지가격과 건물가격의 관계에 대하여
중국 토지사용권가격의 실제
중국 부동산업 행정관리
부동산 행정관리기구
부동산 산권 관리
03 중국 부동산 어떻게 투자할 것인가
어떻게 중국 부동산에 투자할 것인가?
중국에 송금하기
투자자금 조달 방법
개인인 경우
법인인 경우
개인의 해외부동산 취득 허용범위
중국에서 집사기
상품방 아파트를 구매할 경우
상가나 오피스를 구입해서 임대하기
상품방 아파트와 상가의 재임대사업에 대하여
사무실 혹은 상품방 아파트 구매 후 판매
상가 임대 시 유의사항
인테리어 및 리모델링 사업
실제적인 부동산 개발사업과 투자에 대하여
북경 한인타운 왕징 지역을 중심으로 한 투자전략
중국은 '다른 나라'라는 표현으로는 부족한 '다른 세계'이다
임대 전문대리업체의 횡포에 대하여
권중부록 : 사례연구
성공사례 실패사례
중국 부동산 성공투자 7가지 원칙
중국에서 부동산으로 망하는 14가지 방법
중국에서 성공한 한국기업
무영건축
(주)창조E&C
북경 건양부동산 유한공사
04 중국 부동산의 투자와 개발
중국의 토지 개념
국가가 강제로 환수할 수도 있다
중국 부동산은 분리된 소유권
중국에서의 건물 매매
중화인민공화국 토지관리법
중국에서 토지의 가치
개발 목적과 규모에 따라 사용료가 변한다
토지의 사용권과 사용기간
중국에서 부동산 투기를 보는 시각
05 중국의 토지제도
토지사용권
토지사용권의 사용기한
토지사용권의 양도
토지대금 지급방식
토지가격
토지의 용도
토지사용권에 대한 재산권 행사
토지사용권 취득시의 유의사항
외국투자 기업의 중국 토지 취득방법
국유토지사용권 취득
집체 소유토지의 사용방법
토지시장의 종류
1급 토지사용권 시장
2급 토지사용권 시장
농촌 토지징용 시장
06 중국의 주택제도
주택의 종류
상품방(商品房)
경제적용방(??适用房)
염조방(廉租房)
안거주택(安居住房)
방개방(房改房)
미리방(微利房)
해곤방(解困房)
외국인 주거용 부동산 매매
아파트 구매 및 판매 관련규정
신축아파트 예약구매
기존 아파트 구매
외국인 주거용 부동산 임대
주택 구입관련 세금 및 비용
주택 구입시의 세금 및 비용
주택 보유과정의 세금 및 비용
주택 판매시의 세금 및 비용
07 중국 부동산 개발 절차
부동산개발이란
부동산 개발기업
프로젝트 설정 및 기업 설립
기본계획 설계
토지사용권의 획득
수용토지 철거 및 이주 보상
공정건설
시장판매
사후관리
08 중국 부동산의 아주 짧은 역사
개발 붐, 거래 붐, 투자 붐!
부동산시장 형성과정
중국의 주택보급률
월급이 적은데도 비싼 집을 사는 중국 사람들
한국인의 중국 부동산 투자
1차시기(1992년?1996년)?초기 탐색시기
2차시기(1997년?2000년)?초기투자 몰락기
3차시기(2001년?2005년)-건설사와 시행사 재진입기
4차시기(2006년?현재)-외국인 투자 제한과 정착준비
베이징의 대형 개발프로젝트 사례들
왕푸징(王府井)주변개발
창안지에(長安街)의 동방광장
차오양(朝陽)구의 중심상업구역
북경 남부의 BDA(Beijing Development Area)
속출하는 부동산 재벌
짧은 시간 엄청난 발전 그리고 산통
중국 부동산에 투자 잘하면 세계 갑부된다
부동산시장으로 몰려드는 돈
건설현장은 만만디가 없다
부동산 시장으로 몰려드는 인재들
초호화 고가아파트 봇물
우리가 중국 가서 배운다
중국 사람들 부동산 열공 중
09 중국 부동산정책의 흐름
중국의 대책
부동산의 금융조절 및 통제
부동산의 개발과 투기억제정책
10 중국 부동산의 미래 전망
중국 부동산시장의 미래
인구증가와 도시화
주택의 자연적인 수요
*에필로그
중국 부동산 투자에 관심을 가진 한국인들에게
투자의 필요성은 분명히 있다
중국은 극심한 변환기이다
변환기에는 분명 기회가 숨어 있다
현지화는 매우 중요하다
*특별기고
한국정부의 對중국 정책을 위한 제언
권말부록
부동산 거래관련 세금
보유단계
매입단계
양도단계
부동산 관련법령
《중화인민공화국 도시부동산관리법》
《도시부동산 개발경영관리조례》
부동산중개인 자격취득 및 영업 관련 사항
북경 유명 아파트단지
부동산용어
저자소개
책속에서
일반적으로 2008년 북경올림픽 이후 중국의 부동산가치가 30~40% 상승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중국이 비록 자본주의 성향이 강하기는 하지만 아직은 공권력이 막강한 공산주의 국가이며, 구소련이나 스페인 등은 올림픽 이후 침체의 늪을 걸은 사례도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본문 30p 중에서
북경의 왕징 지역이나 상해의 롱커우 지역, 청도의 한인타운 등은 어느 아파트단지이든 임대가 잘 나가고 임대가격도 타 지역보다 다소 높은 편이다. 시기에 따라 고급 형태로 변화해가는 속도도 가장 빠르고 이 지역의 국제적인 관리관례도 많이 개선되었기 때문에 투자처로 적당하다.-본문 87p 중에서
우리의 부동산에 해당하는 중국의 방지산이란, 방산(房産)과 지산(地産)의 합칭이며, 방옥(房屋:건축물)과 토지(土地)는 경제관계에서 현실적으로 나타나는 자산의 범위에 속한다. 법적으로 말하면 토지와 방옥(건축물)은 유형물 형태로서의 자산을 의미한다.
방옥(건축물)과 토지는 물질의 속성과 형태를 표현하는 것이며, 방산과 지산은 상응하는 생산관계(즉 소유권, 사용권, 저당권, 처리권 등 법적인 권리)를 갖게 된다.-본문 61p 중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