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학습법
· ISBN : 9788991058323
· 쪽수 : 196쪽
· 출판일 : 2005-11-05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효과적인 학습기술은 과학적 원리에 바탕
시험의 왕도1 시간을 정복하라
생각해 보세요 : 민우의 시간관리 비결은 무엇일까요?
1. 몸풀기 게임
2. 스스로 점검해 보는 자신의 시간관리
3. 시간관리를 꼭 해야 하는가?
4. 자신이 그린 숲은? - 월간 계획
5. 숲 속에는 몇 그루의 나무가 있을까요? - 주간 계획
6. 숲 속의 나무가 보이나요? - 일일 계획
시험의 왕도2 집중력을 키워라
생각해 보세요 : 모험생 현우에게 도대체 무슨 일이 생긴 걸까요?
1. 몸풀기 게임
2. 스스로 점검해 보는 자신의 집중력
3. 집중력 키우기
- 공부환경 점검하기
- 단계적으로 생각하기
4. 상황별 집중력 다지기
5. 게임으로 집중력 다지기
6. 수업시간 집중력 다지기
- 수업시간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
- 수업시간 잡념 퇴치법
- 수업내용에 푹 빠져들기
- 집중력을 높여 주는 음악
- 집중력을 높여 주는 음식
시험의 왕도3 기억술을 높여라
생각해 보세요 : 진영이와 혜성이의 기억방법은 어떻게 다를까요?
1. 몸풀기 게임
2. 공부시간 대비 공부효과
3. 스스로 점검해 보는 자신의 기억술
4. 기억의 과정과 절차
- 기억의 과정
- 기억의 구조
5. 기억력을 높이는 기본전략1 - 단계적 읽기법(SQ3R기법)
- 읽기 습관 점검하기
- 단계적 읽기법 : SQ3R 기법
- 단계적 읽기법(SQ3R) 연습하기
6. 기억력을 높이는 기본전략2 - 효과적인 쓰기기술
- 개념지도 작성법
- 효과적인 노트필기 요령
7. 구체적인 기억술 전략
- 첫글자 따서 기억하기
- 시각적 이미지로 기억하기
- 의미 부여하여 기억하기
- 조직화해서 기억하기
- 장소로 기억하기
- 핵심단어로 기억하기
- 기억술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 연습하기
시험의 왕도4 시험을 잘 보는 데도 기술이 있다
생각해 보세요 : 동민이 성적이 영진이보다 좋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1. 몸풀기 게임
2. 스스로 점검해 보는 자신의 시험치기 기술
3. 열심히 공부해도 성적이 오르지 않는 이유
- 시험에 대한 잘못된 태도
- 위험한 벼락치기 공부
- 시작에의 두려움을 버려라
4. 시험계획 세우기
- 시험준비는 3주일 전부터
- 시험계획 세우는 방법
5. 시험공부 방법
- 핵심적인 뼈대에서부터 서서히 살을 붙여 나간다
- 교과서와 노트, 문제집 중심으로!
- 중요한 것에는 색다른 표시를 한다!
- 스터디 그룹을 만든다
- 단어카드를 활용하라
- 반드시 핵심정리는 스스로 하라
- 시험 전날 공부방법
6. 시험 잘 보는 방법
- 식사와 등교
- 시험지를 받은 즉시 해야 할 일
- 후회 없는 시험치기
7. 시험이 끝난 후 반드시 해야 할 일
- 시험이 끝난 후 체크할 일
- 오답노트 작성으로 시험을 마무리
- 오답노트 만드는 방법
시험의 왕도5 시험 스트레스 벗어나기
생각해 보세요 : 다빈이가 시험에 실패한 이유가 무엇일까요?
1. 몸풀기 게임
2. 시험을 망치게 하는 시험불안
- 시험불안의 영향
- 시험불안을 쉽게 느끼는 사람들의 특징
3. 스스로 점검해 보는 자신의 시험불안
4. 시험불안의 실체
- 시험에 대한 자신의 생각 파악하기
- 시험불안을 일으키는 생각들
5. 시험불안을 일으키는 생각의 오류 바꾸기
- 과잉일반화
- 이분법적 생각
- 극단적 생각
- 당위적 생각
6. 시험불안을 극복하는 방법
- 시험을 치르기 3분 전 긴장이완법
- 자기 지시법
저자소개
책속에서
개념지도를 작성하는 대표적인 방법에는 '계층지도(hierarchial mpas)'와 '마인드맵(mind maps)' 작성하기가 있습니다. 이들은 교과서에 나오는 주요정보들을 읽기 쉽고 암기하기 쉽도록 시각적으로 표현함으로써 보다 빠르게 암기하고 쉽게 기억해낼 수 있게 하는 방법들입니다.
종이 상단 중앙에 네모 칸이나 원을 그린 다음, 그 안에 가장 핵심적인 주제나 제목을 적습니다. 그리고 그 원 아래로 선을 그어 내리고, 같은 방법으로 핵심적인 주제나 제목을 가장 잘 설명하는 주요개념들을 네모나 원 안에 적어 넣습니다.
마찬가지로 주요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하위수준의 보다 구체적인 세부정보에 이르기까지 이 과정을 반복하면 됩니다.
- 본문 109쪽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