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아하! 과학 상식

아하! 과학 상식

(교과서 과학 실험을 한 권으로 모은)

모리시타 (지은이), 이근아 (옮긴이), 곽효길 (감수)
북로드
1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아하! 과학 상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아하! 과학 상식 (교과서 과학 실험을 한 권으로 모은)
· 분류 : 국내도서 > 어린이 > 과학/수학/컴퓨터 > 과학 일반
· ISBN : 9788991239463
· 쪽수 : 214쪽
· 출판일 : 2008-09-11

책 소개

2002 노벨물리학상 고시바 마사토시 교수 추천 도서. 어린이 과학 웹사이트와 메일매거진 '천재어린이 NET 과학 상식! 왜? 뭐? 어떻게?'에서 인기있는 질문들을 모아서 엮은 책이다. 아이들이 일상에서 흔히 궁금해할 수 있는 47가지 물음을 주제별로 모아 각각의 질문들에 대해 아이들 스스로 곰곰이 생각해보고, 실험해본 후 원리를 터득할 수 있도록 돕는다.

목차

제1장 이 정도는 기본이지!
1. 공기가 뭐예요?
2. 비는 어떻게 내려요?
3. 밤과 낮은 어떻게 생기는 거예요?
4. 지구는 정말 둥글어요?
5. 소리는 어떻게 들리나요?
6. 전구는 어떻게 환하게 빛나나요?

제2장 분자 · 원자 · 전자라고?
7. 풍선을 따뜻하게 하면 왜 터져요?
8. ‘분자’와 ‘원자’가 뭐예요?
9. 철과 자석은 왜 달라붙어요?
10. 전기가 뭐예요?
11. 공기는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나요?

제3장 지구와 우주
12. 바닷물은 왜 짜요?
13. 간조와 만조가 뭐예요?
14. 우주에는 왜 공기가 없어요?
15. 달이나 별은 왜 나를 졸졸 따라와요?
16. 별은 왜 반짝반짝 빛나요?
17. 유성은 왜 빛나요?
18. 높은 곳에 가면 왜 추워져요?
19. 왜 우리는 지구 자전을 못 느껴요?
20. 지구는 왜 자전을 하나요?
21. 지구 내부는 어떻게 생겼어요?
22. 지진은 왜 일어나요?
23. 오로라는 어떻게 만들어져요?

제4장 빛과 열
24. 왜 하늘은 파란색이에요?
25. 무지개는 어떻게 생겨요?
26. 컵 속의 빨대는 왜 꺾여 보여요?
27. 불꽃은 왜 여러 가지 색깔이에요?

제5장 자연과 생물
28. 나뭇잎은 왜 초록색이에요?
29. 나뭇잎은 왜 단풍이 들어요?
30. 천둥은 왜 쳐요?
31. 물고기는 어떻게 숨을 쉬나요?
32. 산호가 동물이라고요?

제6장 신기한 현상
33. 100℃ + 100℃ = 100℃?
34. 물이 증발하는 것과 끓는 것은 어떻게 다를까?
35. 선풍기 앞에서는 목소리가 이상하게 들려요!
36. 후추랑 비눗물은 사이가 안 좋은가요?

제7장 편리한 기계
37. 냉장고는 왜 차가워요?
38. 비행기는 어떻게 하늘을 날아요?
39. 배는 어떻게 물 위에 떠요?
40. 크리스마스트리의 불은 왜 깜빡깜빡해요?
41. 다림질을 하면 어떻게 주름이 펴져요?
42. 리모컨은 어떻게 작동할까?
43. 팩스는 어떻게 문자를 보낼 수 있어요?
44. 텔레비전은 어떻게 보이는 거예요?
45. 어떻게 DVD에서 소리와 그림이 나오나요?
46. 컴퓨터의 구조는 어떻게 되어 있나요?
47. 컴퓨터는 어떻게 작동하나요?

저자소개

모리시타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04년부터 어린이들의 소박한 질문에 답해주는 메일매거진〈천재어린이 NET〉을 발간해서 운영하고 있다. 현재〈천재어린이 NET 과학 상식! 잡학 왜? 뭐? 어떻게?〉는 발행 부수가 2만 부가 넘는 인기 잡지다. 2005년 말에는 ‘2005 올해의 메일매거진’ 라이프스타일 부문상과 ‘마구마구 메일매거진 대상 2005’의 교육·연구 부문에서 3위를 수상했다. 두 명의 자녀를 둔 학부모 입장에서 아이들이 과학에 대한 흥미를 잃지 않도록 아이들의 언어로 설명하고자 노력한 결과 이 책을 집필하게 되었다. 현재 어린이 축구팀의 코치를 맡고 있으며, 업무와 집필 등 다방면으로 바쁜 일과를 보내고 있다. 1966년 시즈오카 출생. 대학 시절 전기공학을 전공, 졸업 후 컴퓨터 회사에 입사해서 대형 컴퓨터 개발 설계를 하다가 몇 년 전부터는 외국계 IT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다.
펼치기
이근아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일어일문과를 졸업했다. 출판편집자로 오랫동안 일했고 현재는 전문번역가로 활동 중이다. 옮긴 책으로는 《병 안 걸리고 사는 법》, 《병 안 걸리고 사는 법 2 실천편》, 《아토피 교과서》, 《당뇨병엔 밥 먹지 마라 실천편》, 《당뇨병엔 밥보다 스테이크를 먹어라》, 《병 안 걸리는 식사법》, 《몸 안의 독소를 빼는 쾌변 건강법》, 《당질 제한식 다이어트》, 《음식을 바꾸면 뇌가 바뀐다》, 《성실함을 버리면 병 안 걸린다》, 《지금 있는 암이 사라지는 식사》, 《치매를 산다는 것》, 《상처는 절대 소독하지 마라》 등이 있다.
펼치기
곽효길 (감수)    정보 더보기
고려대 생물학과, 연세대 교육대학원을 졸업하고, 현재 대성중학교 과학 교사로 재직하고 있다. Jinro종합연구소에서 효모 연구 및 개발을 하였으며, 서울과학교사모임에서 재미있는 과학 실험 및 온라인 과학 수업에 관심을 가지고 활동하고 있다. 함께 쓴 책으로 ≪시크릿 스페이스≫, ≪교과서 과학실험 노트≫, ≪핵심 High Top 중학교 과학1≫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빗물은 어디서 생기는 걸까? 주전자에 물을 넣고 팔팔 끓이면 뜨겁고 하얀 김이 올라가는 게 보이지? 그 김처럼 호수, 강, 바다 등 여러 곳에 있는 물도 조금씩 수증기가 돼서 하늘로 올라가는 거야.
이렇게 하늘로 올라간 수증기는 지표면에서 멀어질수록 기온이 떨어지면서 응결해 아주 작은 물이나 얼음 알갱이가 된단다. 그런데 크기가 워낙 작고 가벼워서 하늘에 둥둥 뜨게 되는 거야. 이게 구름이지. 그리고 이 작은 알갱이에 다시 수증기가 붙어서 알갱이가 점점 커지면, 무게를 이기지 못해서 작은 물방울로 쪼개져서 아래로 떨어지게 돼. 이 작은 물방울들이 바로 비야!
잘 이해가 안 된다고? 그럼 직접 확인해볼까? 조금 아까 미리 목욕탕에 뜨거운 물을 잔뜩 받아두고 문을 꼭 닫아놓았지? 욕조에 받아둔 뜨거운 물 위를 봐. 하얀 김이 보일 거야. 이건 물이 변신해서 공기 중으로 올라가는 거야. 하얀 김은 원래는 공기처럼 투명해서 눈에 보이지 않는 수증기였는데, 날아가는 도중에 온도가 내려가면서 하얗게 변해 그 모습을 들켜버린 거지.
이렇게 보이지 않는 기체 상태의 물을 수증기라고 해. 물이 수증기로 변신하면 가벼워져서 위로 올라가게 돼. 고개를 들어서 목욕탕 천장을 한번 보렴. 천장에 작은 물방울들이 송글송글 맺혀 있는 게 보이니? 목욕탕에서는 천장보다 더 위쪽으로 올라갈 수 없으니까 수증기가 천장에 계속 붙어서 다시 물로 돌아가게 되는 거야.
- 비는 어떻게 내려요? pp.22~25


바닷물은 왜 짤까? 그건 바닷물에 소금이 잔뜩 들어 있기 때문이란다. 그럼 왜 바닷물에는 소금이 잔뜩 들어 있을까? 그건 지구의 모든 물의 최종 도착지가 바다이기 때문이지.
강물이나 바닷물은 수증기가 되어 하늘로 올라가 구름이 되고, 구름은 비가 되어 내린다는 것 기억나니? 비는 지구의 여러 곳에 내리는데, 산에 내린 비는 흙이나 바위를 지나 강으로 흘러간단다. 그럼 강물이 마지막으로 도착하는 곳은? 맞아, 바다야. 이렇게 물은 지구의 여러 곳을 돌아다니다가 마지막으로 바다에 도착하게 돼. 이때 물은 바위나 흙 속에 조금씩 들어 있던 소금을 녹여서 모아 온단다. 이 소금을 바다까지 운반하는 거지. 그런데 바다에서 하늘로 올라가 구름이 되는 물은 소금을 바다에 전부 두고 간단다. 그래서 바다의 소금 양은 점점 많아지는 거지.
- 바닷물은 왜 짜요?_pp.64~65


산호는 뭘까? 나무 같은 식물? 벌레? 동물? 겉모습은 나무 같지만 딱딱한 걸 보니 돌 같기도 하고 말이야. 사실 산호는 동물이란다. 놀랍지? 해파리나 말미잘과 비슷한 종류지만 아주 신비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산호를 자세히 보면, 작은 구멍이 뚫려 있는데 이게 입이야.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이 입을 가지고 있는 작은 몸이 여러 개 모여 산호 전체를 이루고 있는 거지. 그리고 입 가까이에는 손같이 생긴 촉수가 있단다. 그 촉수로 플랑크톤이라는 아주 작은 생물을 먹는 거야. 즉, 산호는 육식을 한다고 할 수 있지.
산호는 생김새가 꼭 나무같지? 산호의 몸에는 우리가 흔히 먹는 다시마나 미역, 김 같은 것이 살고 있어. 그런데 이런 해조류는 광합성을 하기 때문에 여기서 만들어진 영양분도 산호가 흡수하고 있단다. - 산호가 동물이라고요?_pp.143~144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