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시와 인생에 대하여

시와 인생에 대하여

(김광섭 자서전, 나의 이력서)

김광섭 (지은이)
한국기록연구소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시와 인생에 대하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시와 인생에 대하여 (김광섭 자서전, 나의 이력서)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88991404724
· 쪽수 : 318쪽
· 출판일 : 2014-08-25

책 소개

'성북동 비둘기', '저녁에' 등의 시로 잘 알려진 한국의 대표적 시인 김광섭의 자서전. 자서전에는 그의 출생부터 세상을 떠나기 직전까지의 삶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실제로 그는 이 글의 연재가 끝나고 몇 개월 후 세상을 떠나게 된다. 그러니 김광섭의 생애 마지막 글인 셈이다.

목차

자서전, 나의 이력서

6남매의 장남 / 새로운 희망 / 신학문의 유혹 / 죽마의 죽음 /대학진학 / 소천과의 교우 / 졸업논문 / 8년만의 귀국 /중동교사 시절 / 극연활동 / 시작(詩作) 활동 / 유치장 생활 /처녀(處女)시작(詩作) / 일본 교육계 시찰 / 액운의 날 /자백강요 / 쓰라린 기억 / 흐르는 눈물 / 독방생활 /검사의 심문 /
판사 앞에서 / 엉뚱한 판결 / 죄수의 승진 /조국의 광복 / 반공활동 / 민중일보 편집국장 / 군정청 공보국장 / 정부수립 전후 / 대통령 공보비서 / 경무대의 6.25 / 신국방의 호언 /국민방위군 사건 / 보도 막고 오해 / 프 여사의 입김 / 검소했던 이박사 / 팬클럽 창설 / 유럽 첫나들이 / 자유문학 시절 / 보람의 52세 / 문협(文協)의 탄생 / 자유문학의 폐간 / 병상(病床)의 시상(詩想) /병상서 모친 임종 / 성북동 비둘기 / 아내도 먼저 가고 / 인생은 나그네

부록1 現代詩와 知性에 대한 管見
부록2 詩에의 登程
어린 시절(時節) / 편력시대(遍歷時代) / 처녀(處女) 시집 『동경(憧憬)』 /해방전후(解放前後) /
『자유문학(自由文學)』과 후기시집(後期詩集)들 /시(詩)와 인생(人生) / 시전집(詩全集)을 내고

김광섭 연보(年譜)

저자소개

김광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05년 9월 22일 함경북도 경성군 어대진 송신동 148번지에서 태어났다. 그는 어린 시절 한약방을 경영하던 할아버지의 갑작스런 사망으로 가문이 기울면서 온 가족이 함께 북간도로 이주했다. 1917년에 경성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924년에는 서울 중동학교를 졸업한 뒤에 일본으로 건너갔다. 1926년 와세다대학 제1고등학원 영문과에 입학해 당시 불문과 2학년생이던 이헌구(문학평론가)를 만나 함께 자취 생활을 하기도 했다. 1927년에는 와세다대학교 조선인 동창회보인 ≪R≫지에 시 <모기장>을 발표해 시인의 길에 들어섰다. 1929년에는 제1고등학원을 졸업하고 와세다대학교 영문과에 입학했다. 1932년에 와세다 대학을 졸업하고 이듬해부터 모교인 서울의 중동학교에서 영어 교사로 부임해 후진 양성에 힘을 썼다. 이 시기에 ‘극예술연구회’에 가담해 활동하면서 서항석(徐恒錫), 함대훈(咸大勳), 모윤숙(毛允淑), 노천명(盧天命) 등의 문인들과 교유를 활발히 했다. 이때부터 각종 신문에 시와 평론을 본격적으로 발표하기 시작했다. 1938년에는 첫 시집인 ≪동경(憧憬)≫을 발간했다. 1941년에는 수업 시간에 창씨개명을 공공연히 반대하면서 학생들에게 민족의식을 고취했다는 이유로 구속되어 3년 8개월 동안의 옥고를 치렀다. 1945년 광복을 맞이하면서 민족진영 문인들과 ‘중앙문화협회’를 창립했으며, 1946년에는 ‘전조선문필가협회’의 총무부장으로 활동하는 한편 ≪민주일보≫의 사회부장을 맡아 언론인의 길로 들어섰다. 이듬해에는 ‘전국문화단체총연합회’의 출판부장과 ≪민중일보≫의 편집국장을 맡았으며, 일시적으로 미 군정청의 공보국장을 맡기도 했다. 1948년에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함께 이승만 대통령의 공보 비서관으로 취임했으며, 이듬해에 제2시집 ≪마음≫을 발간했다. 1950년에는 문예지에도 관심을 기울여 ≪문학≫ 창간호를 발간했으나 6·25동란으로 중단했다. 1951년 대통령 공보 비서관을 사임하고, 1952년에는 대전에서 발간되는 ≪대한신문≫의 사장에 취임했다. 1952년에는 경희대학교 교수로 부임했고, 다음 해에는 ‘국제펜클럽 한국 본부’ 중앙위원으로 취임했다. 1955년에는 ‘한국자유문학자협회’ 위원장으로 선출되기도 했다. 1956년에는 문예지 ≪자유문학≫을 창간해 문단의 활성화에 많은 기여를 했으며, 1957년에는 제3시집인 ≪해바라기≫를 발간했다. 1958년에는 ≪세계일보≫ 사장에 취임했으며, 보리스 파스테르나크의 시집 ≪서정시집≫을 번역해 출간하기도 했다. 1959년 전국 ‘문화단체총연합회’의 상임 최고 위원과 ‘국제펜클럽 한국 본부’ 부위원장에 재선되었다. 1961년에는 ‘한국 문인협회’ 발기 준비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부이사장으로 선출되기도 했다. 1964년에는 많은 정성을 기울였던 ≪자유문학≫이 운영난으로 휴간되자 정신적 충격을 받고 고혈압 증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1965년에는 뇌출혈로 입원해 치병을 하다가 이듬해에는 제4시집 ≪성북동 비둘기≫를 발간했다. 이후 1971년에는 제5시집 ≪반응(反應)≫을 발간하고, 1974년에는 ≪김광섭 시 전집≫을 발간해 문학적 생애를 총 정리했다. 1976년에는 자전적인 문집 ≪나의 옥중기≫를 발간하고 그 이듬해에 숙환으로 별세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소천(宵泉)형과 친구들의 권유로 《극예술연구회》에 가입한 나는 본격적으로 신극운동에 참여했다. 대학시절 애란(愛蘭)의 극예술에 많은 관심을 가졌던 처지로서, 애란의 민족이 그랬었던 것처럼 극예술을 통해 민족혼을 되찾고 싶었던 것인지 모른다. 극예술을 통해 민족의 염원을 표현하고 그 정신으로 하여 한국문예부흥운동의 불씨가 되고자 했던 것이다. 그때 나와 함께 가입한 회원들로는 박용철(朴龍喆), 이웅(李雄), 유형목(兪亨穆), 임학선(林學善), 현정주(玄正柱), 심재홍(沈載弘), 조용만(趙容萬), 윤태림(尹泰林), 윤정섭(尹正燮), 고장환(高長煥), 조리연(趙履衍), 이무영(李無影), 김희창(金熙昌), 모윤숙(毛允淑), 김수임(金壽任), 김영옥(金映玉) 등이 있었다.


나는야 간다
나의 사랑하는
나라를 잃어버리고
깊은 산 묏골속에
숨어서 우는
작은 새와도 같이
나는야 간다
푸른 하늘을
눈물로 적시며
어둠속으로
나는야 간다.
이 시는 1941년 5월 31일 내가 서대문형무소로 넘어가던 날 종로경찰서 유치장 벽에다 써 놓은 시이다. 그 동안 암기했던 것을 이 기회에 다시 적어본다. 그 날 나는 나라를 잃은 채 눈물을 흘리며 컴컴한 형무소로 끌려가고 말았다.


그날 검사와 나 사이엔 이런 대화가 오갔다.
"황국신민서사는 왜 반대했는가?"
"조선사람들은 일본말을 다 아는 것이 아닌데 일본말 모르는 사람도 붙잡아 세우고 황국신민서사를 읽으라니 감정적으로 반대하는 것이 당연하지 않겠습니까."
"학교에서도 학생들에게 아직도 일본말이라 하는가?"
"국어라고 하면 학생들이 웃습니다. 나를 비웃는 것 같아서 일본어라고 합니다."
"조선어 폐지는 반대하는가?"
"반대합니다."
"신문사 폐간도?"
"물론입니다. 신문은 사회의 목탁이요, 우리 한국인들의 의사를 반영해 주는 신문을 없앤다는 것은 곧 우리의 눈과 귀와 입을 막아버리는 일이 아닙니까?"
"창씨개명도 반대하는 거지?"
"그렇습니다. 만일 일본인들에게 미국식으로 윌리암이니, 존슨이니, 헨리니 하는 식으로 창씨개명을 하라 하면 하겠습니까?"
검사는 순간 이리의 얼굴을 하더니 책상을 치며 이렇게 입을 열었다.
"뭐라구! 이 자식이 못할 말이 없군. 말이면 다 말인 줄 알아!"
그와 나 사이에는 한동안 침묵이 흘렀다. 얼마쯤 지났을까. 그는 다시 입을 열더니 날카롭게 쏘아보며 이렇게 물었다.
"한국의 독립을 희망하지?"
나는 이 물음에 고개를 끄덕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