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성경의 이해
· ISBN : 9788991720596
· 쪽수 : 350쪽
· 출판일 : 2011-04-19
책 소개
목차
간행사
역주자 서문
일러두기
성경 약호표
1장
천지(우주)와 세계 창조 (1:1-2:3)
우주를 창조하신 하나님의 기쁨 (1:1-10)
식물을 창조하신 하나님의 기쁨 (1:11-13)
해, 달, 별을 창조하신 하나님의 기쁨 (1:14-19)
동물을 창조하신 하나님의 기쁨 (1:20-25)
하나님 형상을 따른 인간 창조 (1:26-28)
사람과 동물의 양식을 창조하신 하나님의 기쁨 (1:29-31)
2장
하나님의 거룩하신 휴식休息 (2:1-3)
인간 창조와 낙원樂園 생활 (2:4a-25)
하나님께서 흙과 생기生氣로 인간 창조 (2:4a-7)
에댄과 중동 문명 4대 발상지發祥地 (2:8-15)
에댄의 선악과善惡果 (2:16-18)
말의 시작과 생물 이름 (2:19-20)
골육지친骨肉之親의 가정 (2:21-25)
3장
사람의 타락墮落 (3:1-24)
모계母系 중심 배경과 최초의 죄의식罪意識 (3:1-12)
죄의 유혹誘惑, 타락墮落과 저주咀呪받음 (3:13-15)
부계父系 사회와 고통의 운명運命 (3:16-19)
가죽옷을 입음과 낙원 추방追放 (3:20-24)
4장
카인과 해밸 (4:1-24)
인간 최초의 직업과 제의祭儀 (4:1-7)
카인이 아우 해밸 살해 (4:8-16)
카인의 자손과 직업의 분화分化 (4:17-24)
셰트와 애노쉬, 그리고 원시原始 야웨의 이름 (4:25-26)
5장
아담에서 노아흐까지의 계보系譜 (5:1-32)
6장
신神의 아들들의 타락墮落과 야웨의 후회後悔 (6:1-8)
하나님께서 노아흐 자손의 선택과 방주方舟 준비 (6:9-22)
7장
대홍수大洪水 (7:1-24)
8장
홍수의 그침과 방주方舟에서 나옴 (8:1-19)
노아흐의 번제燔祭와 야웨의 약속 (8:20-22)
9장
하나님께서 노아흐 자손의 번성을 명하심 (9:1-7)
하나님께서 노아흐와 계약 (9:8-17)
노아흐의 세 아들에 대한 저주와 축복의 신탁神託 (9:18-29)
10장
노아흐의 세 아들 솀과 함과 얘팻의 계보 (10:1-32)
11장
바밸 건축과 언어 혼란 (11:1-9)
솀의 족보 (11:10-26)
태라흐의 족보와 하란 거류居留 (11:27-32)
12장
하란에서 아브람의 소명召命과 가나안 이주移住 (12:1-9)
이집트에서 아브람 족장의 액운厄運 (12:10-20)
13장
아브람이 베트엘 동쪽의 야웨 제단祭壇을 찾음 (13:1-7)
아브람과 롯트의 헤어짐 (13:8-13)
아브람의 해브론 이주移住 (13:14-18)
14장
아브람과 세 동맹군의 롯트 구출 (14:1-16)
말키채댁이 아브람을 하나님의 이름으로 축복 (14:17-19)
아브람의 십일조十一租와 세 동맹군과 분깃 (14:20-24)
15장
야웨께서 아브람 혈통의 약속과 아브람의 의로움 (15:1-6)
야웨께서 아브람과 계약 (15:7-21)
16장
사라이와 이집트인人 소실 하가르 사이의 불화 (16:1-6)
하가르의 도망과 이쉬마엘의 출생 (16:7-16)
17장
야웨의 영원한 계약과 아브라함으로 개명改名 (17:1-8)
하나님과 맺은 계약의 징표徵標로서 할례割禮 (17:9-14)
사라로 개명改名과 이츠하크의 출생 약속 (17:15-19)
아브라함이 이쉬마엘과 자기 집 모든 남자와 할례 (17:20-27)
18장
아브라함에게 들른 세 남자와 사라의 아들 약속 (18:1-15)
소돔을 위한 아브라함의 중보 기도仲保祈禱 (18:16-33)
19장
두 수호천사守護天使를 해하려는 소돔 사람들 (19:1-11)
소돔과 아모라 멸망과 롯트 가정의 구출 계획 (19:12-22)
소돔과 아모라의 유황 불 멸망과 롯트의 구출 (19:23-29)
롯트의 두 딸이 모압과 암몬 조상을 낳음 (19:30-38)
20장
아비맬랙의 위해危害를 모면한 사라와 아브라함 (20:1-18)
21장
이츠하크의 출생 (21:1-7)
아브라함이 하가르와 이쉬마엘을 내쫓음 (21:8-16)
하나님께서 하가르와 이쉬마엘을 살려 주심 (21:17-21)
아비맬랙이 아브라함과 브에르섀바 우물 계약 (21:22-34)
22장
이츠하크를 번제물로 바치라는 하나님의 시험과 요구 (22:1-10)
이츠하크의 번제를 철회撤回하시는 야웨의 명령 (22:11-19)
아브라함이 아들 대신 숫양을 번제물로 드림 (22:11-14)
복 주신다는 맹세의 확인 (22:15-19)
나호르의 후손 (22:20-24)
23장
사라의 죽음과 막펠라 묘지墓地 구입 (23:1-20)
24장
이츠하크가 립콰를 아내로 맞이함 (24:1-67)
25장
아브라함의 후처 컷투라의 자손과 아브라함의 운명 (25:1-11)
이쉬마엘의 자손 (25:12-18)
에사우와 야코브의 출생 (25:19-26)
에사우가 야코브에게 장자 신분長子身分 매도 (25:27-34)
26장
그라르에서 이츠하크와 립콰의 위해危害 상황 (26:1-11)
그라르의 목자牧者들과의 우물 싸움 (26:12-21)
르호보트와 브에르섀바 우물과 제단祭壇 (26:22-25)
아비맬랙이 이츠하크와 브에르섀바 우물 계약 (26:26-33)
에사우가 헤트 족속 아내를 얻음 (26:34-35)
27장
이츠하크의 축복을 야코브가 속임수로 받음 (27:1-29)
에사우가 상실한 장자의 축복 (27:30-40)
립콰가 야코브에게 하란으로 피신 권유 (27:41-46)
28장
이츠하크가 야코브를 외가外家 파단 아람으로 보냄 (28:1-5)
에사우가 이쉬마엘의 딸 마할랏을 아내로 취함 (28:6-9)
야코브의 베트엘에서의 꿈과 하나님의 집을 세움과 십일조 서약 (28:10-22)
29장
야코브가 우물가에서 라헬과 라반을 만남 (29:1-14)
야코브가 라헬을 얻으려 7년을 일함 (29:15-20)
야코브가 자매인 레아와 라헬과 혼인 (29:21-30)
레아의 네 아들 르우벤, 쉼오온, 레위, 유다 (29:31-35)
30장
라헬의 몸종 빌하의 두 아들 단, 납탈리 (30:1-8)
레아의 몸종 질파의 두 아들 가드, 아셰르 (30:9-13)
레아가 잇사쉬카르, 즈불룬과 고명딸 디나를 낳음 (30:14-21)
라헬이 요세프를 낳음 (30:22-24)
야코브가 라반과 품삯을 정하고 계략으로 재산을 늘림 (30:25-43)
31장
야코브가 라반에게서 도망 (31:1-21)
라반의 야코브 추격 (31:22-42)
라반과 야코브의 협약協約 (31:43-54)
32장
야코브가 형 에사우와 만날 준비 (32:1-22)
야코브의 얍보크 강가의 씨름과 이스라엘로 개명改名 (32:23-33)
33장
야코브와 형 에사우의 만남과 화해和解 (33:1-16)
야코브의 셔캠 정착定着 (33:17-20)
34장
야코브의 딸 디나가 셔캠에게 겁탈劫奪당함 (34:1-7)
거짓 혼인 약속과 할례割禮 요구 (34:8-24)
쉼오온과 레위가 셔캠 사람들을 살육 (34:25-31)
35장
야코브가 베트엘에서 복 받음과 이스라엘로 개명 (35:1-15)
벤야민의 출생과 라헬의 사망 (35:16-22)
야코브의 12아들 (35:23-26)
해브론에서 이츠하크의 임종臨終 (35:27-29)
36장
에사우 곧 애돔의 후손들 (36:1-19)
호리 족속族屬인 세이르의 자손 (36:20-30)
애돔의 초창기 왕들 (36:31-39)
애돔의 족장族長들 (36:40-43)
37장
야코브의 아들 요세프의 꿈과 형들의 증오憎惡 (37:1-11)
요세프가 이집트로 팔려감 (37:12-36)
38장
유다와 세 아들 에르, 오난, 쉘라 (38:1-5)
타마르와 유다 아들들의 형사취수혼兄死娶嫂婚 (38:6-11)
유다와 타마르의 비상非常한 관계 (38:12-26)
타마르의 쌍둥이 아들 페레츠와 재라흐 (38:27-30)
39장
요세프가 환관宦官 호위대장 포티파르 집 관리인이 됨 (39:1-6)
요세프를 유혹한 포티파르 아내의 무고誣告 (39:7-18)
감옥에 갇힌 요세프 (39:19-23)
40장
요세프가 감옥 죄수들의 꿈 해석 (40:1-23)
수감된 두 시종장侍從長의 시중꾼 요세프 (40:1-8)
술 맡은 시종장의 길몽吉夢 (40:9-15)
빵 굽는 시종장의 흉몽凶夢 (40:16-19)
술 맡은 시종장의 복직과 빵 굽는 시종장의 교수絞首 (40:20-23)
41장
파라오의 꿈의 7암소와 7이삭 (41:1-7)
해몽가解夢家를 찾는 파라오 (41:8-13)
요세프가 풀이한 7년의 풍년, 7년의 흉년 (41:14-36)
이집트 실권자 요세프가 온의 제사장 딸 아세낫과 결혼 (41:37-45
요세프의 이집트 기근 구제와 두 아들 므낫섀와 애프라임 (41:46-57)
42장
가나안 땅의 기근과 야코브 아들들의 1차 이집트 여행 (42:1-8)
정탐꾼 누명陋名을 쓴 10형제들 (42:9-14)
볼모가 된 쉼오온 (42:15-25)
요세프 형들의 가나안 귀향 (42:26-38)
43장
벤야민과 야코브 아들들의 2차 이집트 여행 (43:1-15)
요세프의 친동생 벤야민과 형제들을 위한 잔치 (43:16-34)
44장
요세프의 친동생 벤야민을 붙들려는 계략 (44:1-13)
유다의 벤야민 석방 탄원釋放歎願과 볼모 자청自請 (45:14-34)
45장
요세프가 이복형異腹兄들의 악을 선으로 대함 (45:1-8)
요세프와 파라오가 야코브 가족에게 이집트 이주 초청 (45:9-28)
46장
야코브 가족의 이집트 이주移住 (46:1-27)
야코브가 브에르섀바에서 하나님 음성을 들음 (46:1-4)
이집트로 이주한 야코브의 70인 가족들 (46:5-27)
야코브의 고섄 땅 정착 (46:28-34)
47장
야코브의 파라오 알현과 축복, 라아므세스 땅 하사받음 (47:1-12)
파라오가 굶주린 백성의 가축과 전답田畓 매입 (47:13-26)
야코브가 유언으로 막펠라 동굴 묘지에 안장安葬 요청 (47:27-31)
48장
야코브가 애프라임과 므낫섀를 아들로 삼고 축복함 (48:1-22)
49장
야코브의 12아들에 대한 축복의 신탁神託 (49:1-28)
야코브의 운명殞命 (49:29-33)
50장
해브론에 미이라로 매장埋葬된 야코브 (50:1-14)
악을 선으로 바꾸신 하나님의 역사와 요세프의 임종 (50:15-26)
주 석
부 록
히브리어 고유명사 등의 국어음가國語音價 표기 원칙
인명·지명 등 히브리어 음역音譯 비교표
히브리 시문과 운율학韻律學(Metrik)
참고문헌
편집후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 간행사 ]
우리나라가 반만년의 찬란한 문화를 꽃피워 오는 과정에는, 우리 고유의 사상과 민간 신앙에 불교佛敎와 유교儒敎 그리고 도교道敎 등이 접합되어 독특한 한국 문화를 이루는 데 기여하였다.
그 중에서도 기독교基督敎는 근현대 한국 문화에 크게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와 같이 각 종교와 그 경전은 문화의 기초이고 근간이며, 결국은 세계 고전이 되어 있다.
본회에서는 종교간의 이해를 통하여 갈등과 투쟁과 파국을 예방豫防하자는 뜻으로 ≪경전으로 본 세계종교≫라는 세계 7대 종교의 방대한 경전을 비교종교학적比較宗敎學的 관점에서 간행한 일이 있다. 실제로 본회는 동양 고전東洋古典의 전문 번역기관이지만, 여러 경전 번역과 편찬에도 관심을 지녀 왔다.
간혹 비기독교 번역기관에서 기독교 경전을 번역 출판하는 데 의아해하는 분이 있는 듯하다. 그러나 우리는 그간 위와 같이 각 종교의 경전에 관심을 가져 왔고, 창세기 번역은 고전 번역의 다양성과 발전을 위하여 자유롭고 진보적인 사역私譯의 시도이며, 또한 기독교 경전은 서양 고전西洋古典의 정수인바, 동서 고전을 통한 문화 교류文化交流는 상호 이해와 평화와 발전을 위하여 기여하는 의미가 크다고 생각하여 왔다.
이 ≪창세기≫의 번역 계획은 방석종方錫淙 구약학 교수가 지도하는 은평감리교회의 목사, 장로, 권사 여러분이 참여한 ?모세오경 연구과정?에서 시작되었다.
이 ≪창세기≫는 그간 독일에서 정통 신학正統神學과 고전어古典語를 연구하고, 감리교신학대학監理敎神學大學에서 계속 고구考究한 방 교수의 연구서이다. 다만 성경 원문의 난해성難解性과 역주의 현대성現代性 등을 신중하게 충분히 검증하고 완전히 한국화하려는 계획을 다 이루지 못한 아쉬움이 남아 있다.
본서의 특징은 히브리어 마소라본을 역주함에, 서구西歐에서 일반화된 본문(원문) 비평原文批評과 번역 비평飜譯批評을 시도하였으며, 또한 외국어 표기는 원음주의原音主義를 따르고, 주요 어휘 및 어구를 교감校勘하였으며, 어휘의 바른 이해를 위하여 한자漢字를 병기倂記하였다.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객관적인 번역 비평이 정서적으로 어려운 형편이지만, 번역 문화의 발전과 세계화를 위하여 역주자가 과감히 번역 비평을 시도하였다.
본서는, 번역문은 중등학생中等學生이면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주석은 신학도와 신진 교역자 그리고 지식인知識人들에게 일반성一般性과 전문성專門性을 갖추어 신선하고 혁신적인 번역본이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한편, 이 역주서는 교회에서 시작하여 결과까지의 과정을 보면 은평감리교회의 작품作品이라 하겠다. 그간 은평감리교회에서 5년여의 강독에서 역주까지 헌신하신 방석종 교수께 우선 감사를 드리고, 근 3년에 걸쳐 이 책을 빛나게 하여 주신 교열, 자문, 감수, 윤문, 교정 등 관계 선생님과 이 사업의 길을 펼쳐 주신 은평감리교회 김영헌金永憲 담임목사님 등 헌신하신 모든 분께 무한한 감사를 드린다. 또한 5년간 함께한 모세오경 연구과정 회원 동지께 특별히 감사를 드린다.
또한 이 귀한 책을 발행하기까지 물심양면으로 도와주신 여러분과 은평감리교회, 그리고 출판을 지원하여 주신 한국법령(주) 이종구 대표이사와 임직원 여러분께 심심한 감사를 드린다.
끝으로 ≪창세기 역주≫가 햇빛을 보기까지 격려와 지도를 아끼지 않은 모든 분과 독자 여러분의 질정叱正을 바라며, 내내 평강과 행복, 건승과 소망이 이루어지기를 간절히 기원한다.
2011. 3. 1
전통문화연구회 회장 이계황 재배
[ 역주자 서문 ]
≪창세기 역주≫는 현재 예배용 공용 성경 개역개정(1997), 천주교성경(2005)과는 다른 사역私譯입니다. 그리고 공동번역(1978)과 표준새번역(1993)의 공용 번역과도 다릅니다.
≪창세기 역주≫ 1부의 히브리어 원문 번역은 본문(원문) 비평을 거쳤으며, 4대大 공용 번역을 비평적으로 검토하였습니다. 그리고 두 가지 측면인 책의 편집 형태와 원문 해석으로 나누어서 우리말 성경의 세계화에 목표를 두었습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개역개정은 우리나라 성경 번역의 오랜 전통에 따라, 구두점과 병행문 및 충실한 소제목과 각주들이 소홀히 다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고유명사인 인명과 지명들에서 원문 음가에 대한 음성학적인 표현이 불완전합니다. 어휘와 어구들이 일관성 없이 다루어졌습니다.
현대 서구의 성경들인 영역, 독일어역, 불어역에는 원문의 내용이 원의原義에 잘 맞게 표현되어 있지만, 현재 우리말 예배용 및 공용 번역에는 구절 내용이 적지 않게 난해한 상태로 남아 있습니다.
그래서 역주자는 본문 비평을 통하여 원문을 충실하게 번역하려고 했으며, 마소라 본문이 난해한 경우, 고대 역본들을 출전出典으로 삼아 문법적으로 검토 정리하였습니다. 그리고 우리말 성경이 마소라 사본의 장절 단락 표기인 열린 절(프투하 ?=?)과 닫힌 절(스투마 ?=?)을 살리고 있는 것은 좋지만, 마소라의 단락 표기에 일치하지 않고 있음을 보고, 역주자는 마소라의 단락 표기에 따라 정리하였습니다.
≪창세기 역주≫ 2부는 주석註釋으로, 창세기 각 장절의 어휘, 문장, 용어들을 현대 전문적-학술적인 서구 주석서와 성서, 세계 역사, 정치, 고유 풍습과 문화 연구서를 근거로 해설하였습니다.
특히 창1-2장의 우주 창조와 세계 창조는 신화적인 사상에서 벗어나 우주와 생명 과학적인 관점에서, 창3-11장의 선사시대先史時代는 인류 문명사적인 관점에서 고대인의 신앙을 이해하려고 했습니다. 그 외의 것들은 일러두기에 항목별로 나열된 것을 참고할 수 있습니다.
우선 역주를 세밀하게 검토하면서 어휘, 구절과 신학적인 문제를 지적하여 교정하게 하신 김영일 교수님, 김중은 교수님, 구영철 객원교수님, 정길남 교수님(국어학), 성기철 교수님(국어학), 신학과 우주창조 과학의 보완관계를 일러주신 홍승수 교수님, 박순경 교수님에게 감사합니다.
이번 성경 창세기 사역私譯을 하는 동안 수년 간 매주 ?모세오경 연구과정?에서 함께 독회讀會하신 장로님들, 그리고 독회반에서 수고하신 이용권, 김기숙 권사님 부부에게 감사합니다. ≪창세기 역주≫의 오류를 검토해 주신 은평감리교회 교역자 분들과 장로님들에게 감사합니다.
이런 ≪창세기 역주≫가 잉태되어 세상에 나오기까지 모세오경 독회반을 마련하고, 사랑으로 격려와 자문諮問하신 김영헌 담임목사님께 감사드립니다.
그리고 창세기 번역에서 출판까지의 여러 작업이 전통문화연구회의 연구원과 교정위원 분들의 협력으로 이루어졌음을 감사합니다. 특히 이 작업은 이계황 회장(은평감리교회 장로)이 평생 남다르게 연마하고 축적한 번역 이론과 헌신적인 성경 탐구에 도움을 받았습니다.
일일이 이름을 밝히지 못하지만, 그동안 도와주시고 협력하신 분들께 이 자리를 빌어 감사드립니다.
2011. 3. 31
방석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