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학습법
· ISBN : 9788991731837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4-03-24
책 소개
목차
Prologue 두근두근거리는 공부이기를
Part 1 진짜 공부의 시작, 공부 동기 _왜 공부 동기인가?
01 우리는 왜 공부 동기를 말하나
공부를 잘하고 싶다면 공부 동기에 주목하라
공부 동기는 공부의 본질이다
자기 자신과 잘 맞아야 가장 좋은 공부 동기다
공부 동기에 원칙은 없다
다른 사람의 공부 동기는 최선의 자극제다
02 나만의 공부 동기를 찾아라
책상 앞에 앉기까지 ‘공부 동기 5단계’
공부 동기를 찾아나가는 과정
공부 동기의 네 가지 유형
03 나에게 맞는 공부 동기는 무엇일까
Part 2 공부 동기에 집중하라 _명문대 합격생 20인 심층 인터뷰
Type 01 꿈 추구형
‘그날’이 불러온 기적 _신동윤(연세대학교 노어노문학과 12학번)
엄마, 전 인형이 아니에요 _정윤진(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11학번)
게임 폐인의 달콤한 공상 _유진호(고려대학교 경영학과 10학번)
꿈이 가져온 긍정 에너지 _이인혜(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11학번)
어느 교통사고의 바람직한 후유증 _조은찬(연세대학교 응용통계학과 12학번)
쉬어가기 01 명문대 합격생의 스트레스 해소법
Type 02 환경 극복형
비극 속에서 건져낸 짜릿한 희극 _강현준(고려대학교 경영학과 07학번)
기적 = Σ열망 _윤영주(연세대학교 응용통계학과 11학번)
시골 소년, 전국 0.2%를 찍다 _이재욱(서울대학교 사회교육과 11학번)
공부는 나의 인센티브 _한민욱(고려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10학번)
도피하지 말고, 도피를 준비하자 _박경환(고려대학교 환경보건학과 12학번)
쉬어가기 02 명문대 합격생에 대한 편견
Type 03 경쟁 모방형
두근두근 그 남자, 나를 공부하게 만들다_ 이지윤(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08학번)
아버지의 성적표, 선생님의 말 한마디 _최준영(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09학번)
가족들이 있어 가능했던 ‘공부의 탄생’ _채병진(서울대학교 경영학과 12학번)
부정적인 에너지를 긍정적으로 바꿔준 그 사람 _권나연(고려대학교 사회학과 10학번)
1003호 공부방 _이수혜(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1학번)
쉬어가기 03 명문대 합격생의 학창 시절 애장품 BEST 7
Type 04 단기 목표 성취형
계단을 오르다 _오현주(고려대학교 영어교육과 11학번)
나만의 레이스를 펼쳐라 _김상연(고려대학교 인문학부 12학번)
동네를 휘젓던 말썽꾸러기의 연세대 입성기 _백지현(연세대학교 행정학과 10학번)
아까워서, 꽂혀서, 두고 보라고! _장세희(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 10학번)
공부행 티켓을 손에 쥐기까지 _이가윤(고려대학교 국어교육과 11학번)
쉬어가기 04 명문대 합격생의 말, 말, 말
Part 3 공부 동기를 극대화하라 _명문대 합격생들의 특별한 공부법
01 스터디 플래너
휴식이 있는 플래너 _이채림(고려대학교 중어중문학과 09학번)
전략이 있는 플래너 _엄호정(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11학번)
평가가 있는 플래너 _박원정(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10학번)
피드백이 있는 플래너 _추휘서(고려대학교 경영학과 12학번)
스터디 플랜, 나는 이렇게 세웠다
02 필기
예쁘고 화려한 필기 _김현준(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09학번)
핵심이 돋보이는 필기 _손연지(서울대학교 사회교육과 11학번)
한 권으로 끝내는 필기 _박경진(고려대학교 경영학과 10학번)
가끔은 장난스러운 필기 _하종환(연세대학교 수학과 09학번)
필기, 나는 이렇게 했다
03 암기
꼼꼼한 암기 비법, 플래시 카드 _김보미(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12학번)
틈새 시간 공략, 녹음기 활용법 _박용우(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 09학번)
확실한 암기 보장, 선생님 되기 _진동일(고려대학교 역사교육과 10학번)
04 성취감 활용
시간을 모아라, 스톱워치 _정세미(고려대학교 경영학과 10학번)
열정을 모아라, 다 쓴 펜 _심규덕(서울대학교 간호학과 11학번)
05 마인드 컨트롤
공부할 힘이 나는 일기 쓰기 _김진호(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10학번)
유혹을 극복하는 버킷리스트 _강서영(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과 11학번)
06 문제 풀이
언어 영역 문제 박살내기 _홍우석(연세대학교 치의학과 11학번)
수리 영역 문제 박살내기 _손상협(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 10학번)
외국어 영역 문제 박살내기 _윤송이(고려대학교 노어노문학과 12학번)
Epilogue 명문대 합격생 100인 명단
리뷰
책속에서
제대로 된 교육 환경이 조성되지 않았던 예전과는 달리, 요즘은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여러 가지 공부법을 접하고 시도해볼 수 있다. 그리고 때로는 그 정도가 지나쳐 오히려 문제를 일으키기도 한다. 많은 학생들이 인지 발달에 치우진 조기 교육과 소위 스파르타식 사교육 속에서 상당한 스트레스를 받고, 그 과정 속에서 너무나 자연스럽게
공부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공부를 싫어하니 당연히 잘될 리가 없다. 따라서 진짜 문제는 공부하는 방법이 아니라 공부를 받아들이는 학생의 마음, 즉 ‘공부 동기’이다.
- '공부를 잘하고 싶다면 공부 동기에 주목하라' 중에서
공부 동기는 또한 공부의 본질이기도 하다. 공부란 원래 새로운 것을 배우는 행위이므로 공부하는 주체가 공부 그 자체에서 흥미를 느껴야지만 바람직한 공부라 할 수 있다. 과연 우리나라의 중고등학생들 중 공부에 재미를 느끼는 학생이 몇이나 될까.
오래전부터 우리나라 학생들은 대학 입시에만 매달려 기계적으로 공부하며 공부의 재미를 잃어버린 채 공부의 본질마저 망각하고 있다. 기계적인 공부는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기 마련이다. 하기 싫은 것을 억지로 하다 보니 책상 앞에 오랫동안 앉아 있기만 할 뿐 이해력과 집중력은 그 시간에 비례하지 않는다. 단순히 노력만 하는 사람은 즐기는 사람을 절대 이길 수 없다. 따라서 명확한 공부 동기를 갖고 공부한다는 것은 공부의 본래 의미를 찾는 길이자, 진정한 공부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다.
- '공부 동기는 공부의 본질이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