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디자인/공예 > 디자인이야기/디자이너/디자인 실기
· ISBN : 9788991847521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08-03-20
책 소개
목차
서문
구조주의자들과 디자이너들 | 눈으로 볼 수 있는 컴퓨터 | 우리 이야기를 어떻게 읽어야 할까? 혹은 우리가 말하지 않은 것은 무엇일까? | 디지털 아트의 의미심장함
제1장 텍스트 레인 | 디지털 경험
시그래프 2000 아트 갤러리 | 텍스트 레인 | 컴퓨터는 미디어(미디어 형식들의 새로운 형태)가 된다 | 디지털 인공물을 디자인하는 것은 경험을 디자인하는 것이다 | 디지털 디자인이 비가시적인 것이 되려고 애쓸 필요는 없다
제2장 나무 거울 | 투명성의 신화
나무 거울 | 소멸의 역사 | 포토리얼리즘의 컴퓨터 그래픽 | 우리 시각 문화에서 GUI | 컴퓨터 창문 | 인터페이스 사라지게 하기 | 매킨토시 인터페이스 | 투명성 신화 | 가상현실과 자연스러운 인터페이스의 신화 | 투명성의 위험 | 또 다른 전략
제3장 노체 테 입숨 | 디지털 거울로 너 자신을 보라
노체 테 입숨 | 반성성: 투명성의 대응물 | 우리 문화에서의 다중성 | 인터페이스 디자인 | (디자인 전략들 사이에서) 진동이 지닌 중요성 | (말 그대로) 마이크로소프트 창문 | 인터페이스 보기 | 진정한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거울로서의 인터페이스
제4장 마술 책 | 뉴미디어에서 새로운 것과 낡은 것
마술 책 | 인터페이스로서의 <마술 책> | 디지털 아트가 재매개하는 방식 | 실재성의 차용 | 미디어 형식들 1| 재매개는 영원하지 않다 | 디지털 재매개의 다양성 | 메타포와 재매개 | 재매개의 리듬 | 의식적인 디자인 전략으로서 재매개
제5장 가짜 상점 | 뉴미디어의 다양성
가짜 상점 | 융합의 신화 | 월드와이드웹의 다양성 | 시그래프 2000에 전시된 브리콜라주 | 유비쿼터스 미디어 | 입을 수 있는 미디어 형식들 | 인포메이션 응용기기에서 미디어 형식들로 | 미디어스케이프
제6장 T-정원 | 뉴미디어의 물질성
T-정원 | 탈신체화의 신화 I: 인공지능 | 탈신체화의 신화 II: 사이버스페이스 | 탈신체화된 디자인? | 가상현실과 신체화 | 신체적으로 구체화된 디자인
제7장 종말의 시간 | 맥락에 따른 디자인
종말의 시간 | 플라톤적 디자인 | 디지털 아트: 맥락들을 다시 떠올리게 하다 | 컴퓨터 소프트웨어 디자인: 플라톤적 디자인에서 HCI까지 | 디지털 아트와 맥락적 디자인
제8장 시그래프 2000의 아트 갤러리
경험 디자인으로서 갤러리 | 디지털 초점
제9장 시그래프 2000의 전과 후
구조주의자들과 디자이너들 | 디지털 아트의 세계 | 거울과 뉴미디어 | 재매개: 디지털 미디어와 여타 미디어 사이의 관계 | 융합과 다양성 | 가상적인 것을 신체화하기 | 맥락에 따른 디자인
간행기록: 엑스크레시아 그리고 반성적 경험으로서의 독서
이 책의 디자인에 대해 | 엑스크레시아 | 반성적 인터페이스로서의 글쓰기 | 글쓰기에서 물질성과 신체성, 그리고 맥락
책을 옮기고 나서
재매개란 | 비매개와 하이퍼매개 | 재매개 방식들
책속에서
시그래프 2000의 브리콜라주는 융합이라는 신화가 어떤 방식으로 투명성 신화의 또 다른 판본이 될 수 있는지 잘 보여준다. 융합 신화를 언급하는 미디어 교주들은 미디어가 언제나 자연스러워야 하며 또 눈에 띄지 않게 사라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사람들은 미래에는 융합 미디어가 궁극적으로 투명해질 것이라고 가정한다. 대형 고화질 TV가 왜 궁극적인 미디어가 될 것인지에 대한 해답이 바로 이것이다. 미디어 광신자들은 상호 작용적인 고화질 텔레비전을 우리가 아무것에도 방해받지 않고 곧장 투과해서 볼 수 있는 미디어라고 선전한다. 이것은 그야말로 투명한 창문을 통해 볼 수 있는 순수한 경험의 세계일 것이다. 그러나 시그래프 2000의 작품들은 이런 주장과는 어울리지 않는다. 그것들은 흩어져 있으며 여기저기 나누어져 있다. 그래서 그것들은 그 자체로 관심을 끄는 것이다. 우리는 그것들을 단순히 투과해서 볼 수 없다. 왜냐하면 그것은 반성적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것들이 투영하는 것은 자기들이 한데 묶은 옛 미디어 형식들과 새로운 미디어 형식들 사이의 관계다. - 본문 143쪽, '가짜 상점'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