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마케팅/세일즈 > 마케팅/브랜드
· ISBN : 9788991851276
· 쪽수 : 323쪽
· 출판일 : 2009-09-22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Part 01
왜 스페이스 마케팅으로 서울을 볼까?
01 도시 패러다임의 변화마케팅과 도시
02 사회 변화 속의 도시
03 도시를 변화시키는 새로운 요인
기업 유치를 경쟁하다
문화 가치를 발견하다
04 The winner takes it all
05 도시 경쟁력
06 스페이스 마케팅과 도시
도시 소비자
도시 소비자 분석
계층 분석
정체성과 차별화
브랜드
포지셔닝
브랜드 포지셔닝
도시의 베블런 효과
트랜드와 문화, 얼리 어댑터
도시 개발의 패러다임 변화
고밀도 도시를 이끄는 경제적 가치
축적의 도시
07 도시 스페이스 마케팅 요소
도시 브랜드를 위한 콘텐츠
적합성의 법칙
지속 가능한 도시 전략
스페이스 마케팅
브랜드 캐릭터 전략:문화 도시
경험의 법칙:분산된 집중의
입체 공간
차단하는 공간과 연계된 공간
경험의 법칙:보행의 공간
경험의 법칙:입체 도시
도시의 소비자, 공간 권리 찾기
브랜드 캐릭터:매력적인 도시경관
재개발 공존을 위한
‘소필지 건축설계공탁제’
효과적인 브랜드 마케팅
:스타 디자이너
Part 02
서울을 위한 스페이스 마케팅 제안
08 그들의 공간과 서울
우리는 누구인가? 마케팅 주체 서울
도시 경쟁력을 위한 요소
스페이스 마케팅 시티 전개의
문제점:주거공간의 단순화
스페이스 마케팅 시티 전개의
문제점:블로킹 현상
새로운 공간 니즈 Needs:Network
새로운 공간 니즈 Needs:Green
초고층 브랜드:신흥 도시 전략
초고층 공간 활성화를 위한 프로그램
지속 가능한 마케팅을 위한 프로그램
스페이스 마케팅 시티의 핵심 과제
:주거의 다양성
스페이스 마케팅 시티의 핵심 과제: 전환적 사고로 서울 보기
스페이스 마케팅 시티의 핵심 과제: 주차 도시
가치의 프리미엄 공간
:역사 History
가치의 프리미엄 공간:
문화 Culture
도시 콘텐츠:창의 공간
브랜드 페르소나
:문화 고유성(Original Identity)
09 서울 스페이스 브랜드 창출
서울 스페이스 브랜드:한옥
서울의 스토리텔링 공간:길
서울의 스토리텔링 공간
:낙산 에스컬레이터
Collaboration City
Green Marketing:Urban Green Pot
Green Marketing:Green Road
관상용 한강과 생활 속 한강
유혹의 장소
실패하는 랜드마크와
성공하는 랜드마크
10 서울 스페이스 마케팅의 성공적 기원
서울, 공간 리모델링의 프로그램
에필로그
저자소개
책속에서
스페이스 마케팅을 전개할 브랜드는 서울이다. 도시를 브랜드로서 해석해야 한다. 도시를 브랜드 전략으로 활용하겠다는 것은 단지 관광 브랜드로서의 효용성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도시라는 것은 단순히 공급되는 상품이 아니라 수많은 사람들이 거주하고 일하는 배경이며 학습하고 생산하는 공간이다. 그러한 도시가 브랜드 전략을 고민하는 이유는 오늘날 도시는 단순히 지리적 공간의 개념을 넘어 경제적 이익을 발생시키는 브랜드 이미지를 가지기 때문이다.
서울의 전체 주택 중 아파트가 차지하는 비율이 56%에 이른다. 주거형식에 대한 통계와 맞물려 해석하면, 현재 서울의 주거형식이 매우 단순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단순성은 선택할 상품구성이 적다는 것이고, 여전히 공급자 중심의 주거시장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점차 사라지는 단독주택은 단순히 주거형식의 감소 차원이 아니라, 다양한 계층과 문화의 단순화를 의미한다. 표준화된 공간이 사람들의 공감대를 형성하기 쉽다는 장점도 있지만, 경험에서 오는 가각의 다양한 이해를 부족하게 할 수도 있다.
스페이스 마케팅을 도시에 적용할 때 서울에 거주하는 다양한 사람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교육, 생활, 직업, 주거, 여가, 환경 등의 요소들이 잘 조합되어 제공되면 사람들의 만족도 또한 높아진다. 이러한 요소들은 사실 지난 수십 년 동안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에도 많은 문제들이 제기되었다. 우선 대중의 주거문제다. 앞에서도 몇 번 언급했던 것처럼 한 도시의 인적 구성은 매우 다양하다. 선진 산업국에서는 이를 심각하게 생각해서 사회 주택(Social house) 또는 임대주택들을 공급하여 주거안정을 유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