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한국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91851429
· 쪽수 : 236쪽
· 출판일 : 2011-11-07
책 소개
목차
Ⅰ 2010년 서울 vs 1990년 도쿄 부동산 연착륙 가능한가?
01 1991년 거품 붕괴가 시작된 시점의 도쿄 보고서
02 일본 거품의 붕괴 이유 - 사회
03 일본 거품의 붕괴 이유 - 경제
04 일본 거품의 붕괴 이유 - 문화
05 경제대국의 경제양극화는 왜 나타나는가
06 일본 도심재생 프로젝트(뉴타운·재개발·재건축)는 성공했나?
07 2007년 서브프라임 사태 이후 서울의 집값 보고서
08 서울 부동산 하락세 랠리
Ⅱ 일본의 선택 & 한국의 선택 잃어버린 10년 한국에도 오나?
01 1991년 집값 하락 시작 후 일본의 정책들
02 서울이 도쿄 버블기 이후 장기적인 침체의 전처를 밟을 것인가
03 일본적 상황과 한국적 상황
04 도쿄 버블기 이후 집값 및 부동산 가격의 변화
05 전국의 빈집이 서울의 주택 만큼 증가한다면
06 계약금만으로 내 집을 구입할 수 있는 시대로 변화
07 영원한 테마 자가주택 vs 임대주택
Ⅲ 2020년 한국 경제의 재구성 경제 연착륙을 실현하라!
01 집은 자산가치에서 공간 소비재로 변화하고 있다
02 부동산 하락기 정책이 나아갈 방향
03 서민들의 주택 구매 방법
04 선진국의 자산비중 분석 및 투자 성향 보고
05 일본을 따라가는 주택 양상 - 그래도 부동산은 뜬다
06 저성장·저금리 시대의 대비
■에필로그
저자소개
책속에서
[거품경제의 원인과 시작]
일본의 거품경제는 달러화와 엔화를 고정환율에서 변동환율로 전환시킨 1985년 9월 플라자 합의부터라고 할 수 있다. 1980년대 초 미국의 레이건 정부는 경제의 재활성화를 통하여 미국의 재건을 위한 선진 5개국 경제재정장관과 고달러화를 저달러화로 시정하는 회담을 통하여 재정 건전화를 추진하였다.
이로 인하여 일본의 엔화의 가치가 상승하여 엔고화가 시작되면서 수출기업은 대타격을 받게 되었다. 엔고 현상으로 경기불황의 도래를 예측한 일본재무성과 일본은행은 대폭적인 금융완화책으로 저금리에의한 경기부양과 내수확대 정책을 실시하였다. 일본은행은 금리를 1986년 1월 30일 5%에서 4.5%로 내렸고, 1987년 2월까지 1년 사이에 7회에 걸쳐 2.5%까지 인하하였다. 이로 인한 정부의 초금융완화책에 따른 시중자금이 주식시장과 부동산시장에 몰려들었다. 이에 부동산 가격과 주가는 연일 천정부지로 폭등하게 되었다. 거품경제 속에서 주가나 땅값의 상승률이 대출금리의 이율보다 크게 상회할 경우 중금리가 인하되면 될수록 차익이 증대하기 때문에 주식이나 토지에 자금이 몰려드는 것이 거품경제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