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창업/취업/은퇴 > 창업정보
· ISBN : 9788991851450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2-07-09
책 소개
목차
Part 1 카라반 캠핑장“홀리데이파크”창업 이야기
나에게 있어서 홀리데이파크는 아주 특별한 회사이다 16 | 홀리데이파크 사업을 결심하다 18 | 홀리데이파크만의 고유 카라반 모델을 만들다 20 | 직영점 4곳을 오픈하다 22| 직영점 확장을 위해 오너십 제도를 도입하다 24 | 새로운 2011년형 카라반을 개발하다 26 | 카라반 렌탈 금융 상품을 만들다 28 | 전국 직영점 10개로 확장하다 31 | 2012년형 3인용 카라반을 개발하다 38 |전국 가맹점 구축사업에 뛰어들다 40
Part 2 펜션이 몰고 온 변화의 물결
도시인구의 지방 분산을 촉진시키다 44 | IMF 이후 퇴직자들에게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다 47 |자연친화적인 개발이 대세 49 |산간 오지개발을 촉진시키다 51 |러브호텔 퇴조하다 53 | 다양한 체험형 레포츠 산업이 뜬다 55 | 농어촌 풍경이 달라진다 57
Part 3 국내 레저 시장의 트렌드가 변하고 있다
펜션은 지고 캠핑 카라반이 뜬다 60 | 30~40대 가족이 레저의 주 세대로 떠오르다 63| 1박2일 단기여행 선호추세가 계속된다 65 | 다양한 체험형 레저가 대세다 67 | 1시간 이내 대도시 근거리가 적격 69 | 스키·골프 인구가 감소한다 71 | 해양 레저가 떠오른다 73 | 아름다운 건물보다 아웃도어 환경을 중시한다 75 | 고정건물보다 소형 이동식이 대세 76
Part 4 오토캠핑 문화의 확산과 전망
향후 레저는 오토캠핑과 함께 80 | 오토캠핑장 창업이 늘고 있다 83 | 불황기에 오토캠핑장 사업이 뜨는 이유 86 |오토캠핑 문화 확산의 조건 89 |캠핑카 관련 용어 93
Part 5 외국의 캠핑 문화 이모저모
외국의 홀리데이파크·RV파크 98 | 국가별 오토캠핑장 시장 규모 비교 101 | 외국의홀리데이파크와 국내 오토캠핑장의 차이 102 |미국의 베케이션하우스 단지 106
Part 6 국내 오토캠핑 사업 현황
국내 오토캠핑장 현황 110 | 전국 체인망을 갖춘 홀리데이 카라반 파크 112 |동해 망상오토캠핑장 114 | 연천 한탄강 오토캠핑장 116 | 가평 자라섬 오토캠핑장 118 | 텐트와 카라반의 레저 비용 비교 120 |캠핑카, 캠핑 카라반, 모빌홈 122
Part 7 캠핑 관련 사업이 뜨고 있다
캠핑카·캠핑 카라반 제조업 128 | 오토 캠핑장(카라반 파크) 운영업 130 | 캠핑카 렌탈업 132 | 캠핑 카라반 렌탈업 134 | 캠핑용품 판매 및 대여업 138 | 모빌홈·이동식화장실 제조업 140
Part 8 캠핑 카라반 활용하기
농림지역에도 카라반 캠핑장 사업이 뜨고 있다144 | 골프장에 카라반 설치로 숙박시설 대체 147 | 상수원 보호 수변구역에도 카라반을… 150 | 현장숙소도 카라반으로 152| 주말주택(농장) 단지를 카라반으로 분양하기 154 | 펜션 앞마당에 카라반 설치하기 157 | 휴양림·수목원에 카라반을 160 | 박람회·축제 행사에도 카라반을… 162 |낚시터에 캠핑 카라반이 들어간다면 164
Part 9 오토캠핑장 개발과 창업
오토캠핑장 최적지는 170 | 캠핑장 개발 유형 174 | 자동차 야영장업 시설기준 180 |관광진흥개발기금 대출 활용 방법 181 | 캠핑장 개발 절차와 요령 193 | 카라반 캠핑장 창업! 1억 원 투자로 월 600만 원 매출 올려 200 | 펜션과 카라반 창업 비교 202 | 은퇴 후 고민(?) 카라반 캠핑장 창업이 답이다 203 | 펜션 VS 카라반 캠핑장 창업비용 및 수익성 비교 205
Part 10 캠핑 카라반, 그것을 알고싶다
캠핑 카라반의 종류 208 | 주행용과 고정식 숙박용의 차이 210 | 고정식 카라반은 숙박업에 해당하나? 212 | 캠핑 카라반 재질 비교 214 | 외국산 카라반 vs 국내산 카라반 216 | 바퀴만 달면 모두 카라반인가? 219 | 캠핑 카라반 설치방법 222
Part 11 전국 홀리데이 카라반 파크
태안 몽산포 홀리데이파크 228 | 안산 대부도 홀리데이파크 229 | 가평 운악산 홀리데이파크 230 | 청평 홀리데이파크 231 | 평창 홀리데이파크 232 | 파주 홀리데이파크 233 | 도봉산 홀리데이파크 234 | 화성 제부도 홀리데이파크 235 | 공주 마곡사 홀리데이파크 236
Part 12 오토캠핑 사업의 향후 시장 전망
캠핑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한다 240 |카라반 파크가 전국적으로 확산된다 241 |카라반 100만 대 시대가 열린다 243
Part 13 호주의 홀리데이파크 직접 둘러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선진국일수록 오토캠핑 문화가 발달한다고 한다. 콘도는 국민소득 3,000달러를 넘어서면서 발달하고, 펜션은 10,000달러를 넘어야 발달하며, 오토캠핑은 20,000달러가 넘어서야 발달한다고 한다. 오토캠핑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캠핑 카라반 문화는 유럽이나, 미국, 캐나다, 호주, 일본 등 전 세계적으로 국민소득이 30,000달러를 넘어선 나라들에서 대중화되어 있다. 오늘날의 캠핑 문화는 1970∼80년대의 텐트 문화와는 차원이 전혀 다르다.
캠핑 문화는 인간을 자연에 한 걸음 더 가까이 다가가 다양한 체험을 가능하게 해주는 새로운 레저 문화이며 얼마나 인간이 자연과 잘 조화를 이루며 더불어 살 것인가 하는 공생과 환경의 문화이기도 하다. 또한 모든 첨단 과학의 발달은 자연을 가까이에서 관찰하는 데서 오는 만큼 캠핑 문화는 과학과 교육의 문화이기도 하다.
요즘 도시에서 자란 아이들을 보면 개미나 꿀벌, 하루살이나 나방만 보아도 무서워한다. 일부는 자연 그 자체가 더럽고 불편하며 무섭다고만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캠핑 문화가 발달할수록 자연을 있는 그대로 느끼고 받아들이는 자세가 필요하며 하나의 돈벌이로 간주하여 인위적으로 조성하고 파괴하는 행위는 가급적 지양해야 한다.
따라서 오토캠핑장이 자연과 어우러져 하나의 건전한 가족사랑의 장으로서 다양한 체험교육의 장으로서 거듭나길 바라는 마음 간절하며 미래의 훌륭한 레저 문화로서 활짝 꽃피울 수 있기를 기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