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북비 1부 1

북비 1부 1

(별메를 찾아드는 별들)

하용준 (지은이)
글누림
9,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0개 4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북비 1부 1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북비 1부 1 (별메를 찾아드는 별들)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역사소설 > 한국 역사소설
· ISBN : 9788991990371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06-11-24

책 소개

조선 숙종 때 태어나 영조 연간에 활약한 실존인물, '이석문(李碩文: 1713-1773)'을 주인공으로 쓴 역사소설. 이석문을 비롯하여 왈패 두목 정섭치, 영조의 정치적 비호 아래에 있는 노론 세력과 사도세자를 감싸고 있고 소론 세력, 그리고 민간에 스며 있는 여러 군상들의 삶을 그려내고자 했다. 전15권으로 완간될 예정이다.

목차

1권
제1장 생문(生門)
제2장 무곡성(武曲星)의 정기
제3장 와우지형(臥牛之形)
제4장 하늘의 요체
제5장 두 사내
제6장 바람의 길
제7장 소터의 꿈
제8장 신맥(神脈)을 찾아서
제9장 또 한 사내
제10장 무(武) 앞에서
용어풀이

2권
제1장 영산재 풍경
제2장 자객과 과객
제3장 비익조(比翼鳥)
제4장 신기(神氣)
제5장 천 근 강궁
제6장 충의의 이면
제7장 무예와 쌈질의 차이
제8장 불붙는 팔도
제9장 관례(冠禮)
제10장 팔문금사진(八門金蛇陣)
제11장 천하에 살 자격
용어풀이

3권 무원(武元)의 길
제1장 전옥서의 죄인들
제2장 파문(破門)
제3장 칼이 아닌 칼
제4장 눈 뜨는 시체
제5장 향사례(鄕射禮)
제6장 피먹임을 위하여
제7장 해사라
제8장 스승의 좌화(坐化)
제9장 숙명은 우연처럼
제10장 을묘년의 일들
용어풀이

4권
제1장 두 여인
제2장 투전판에서
제3장 지둥 소리
제4장 슬픔을 캐내는 이름
제5장 한양으로
제6장 부민(負民)은 누가
제7장 식년(式年) 무과(武科)
제8장 떠오르는 의혹
제9장 책사, 그리고 와주(窩主)
제10장 옥사에서 보낸 하루
제11장 마루 밑에 서는 뜻
제12장 웃다방골 사연
용어풀이

5권
제1장 소경 중의 수수께끼
제2장 스승과 제자
제3장 여양댁의 정체
제4장 호소용등(虎嘯龍登)
제5장 무너지는 서강단
제6장 뽕밭의 두 늙은이
제7장 꿈꾸는 무원(武苑)
제8장 가포관(假捕官)이 되어
제9장 사무선(四武仙)
제10장 병과(丙科) 이십이인(二十二人)
제11장 백 년 전의 족자
용어풀이

6권
제2부 제6권 천리부동속(千里不同俗)

제1장 한 냥 여덟 돈
제2장 왈패와 거지
제3장 다모 출두
제4장 무인(武人)의 눈
제5장 장군배나무 댁
제6장 천금시(天金矢)를 쏘다
제7장 인연의 노래
제8장 시류(時流) 앞에서
제9장 전운(戰雲)
제10장 또 다른 물굽이
제11장 세 갈래 길
제12장 길마재에 선 남매
용어풀이

6권
제3부 주신의 땅 제7권 삭풍(朔風)도 신음하는데

제1장 북으로 흐르는 바람 제2장 죽 파는 시녀(市女)
제3장 폐사군(廢四郡) 제4장 간자(間者)의 그림자
제5장 호지(胡地)에서 제6장 아비 모를 딸
제7장 매 사냥 제8장 쫓겨나는 상궁들
제9장 공삼(貢蔘) 제10장 사라진 상소문

용어풀이

저자소개

하용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소설가・시인. 대하소설 《북비(北扉)》 《정기룡》, 장편소설 《유기(留記)》 《신생대의 아침》 《쿠쿨칸의 신전》 《태종무열왕》 《아라홍련》 《섬호정》 《제3의 손》 《장군 정기룡》, 동화 《방울샘 이야기》 등 다수의 소설, 시, 동화 등을 발표하였다. 대하소설 《정기룡》을 각색한 웹툰 <제가 조선의 운명을 바꿔 보겠습니다>가 카카오페이지에 연재되었다. 장편소설 《고래소년 울치》는 2013년 문화관광부 최우수 도서와 올해의 청소년 도서에 동시 선정되었다. 시집 《멸(滅)》은 세종도서 문학나눔에 선정되었다. 제1회 문창문학상, 제5회 이태원문학상을 수상하였다. 2022년 1월부터 12월까지 영남일보에 기명 칼럼 ‘하용준의 한담만필(閑談漫筆)’을 연재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백련정강.
한 온 벅이 접어 지은 가장 경강한 쇠라는 말이었다. 신월수는 그 백련정강이 다름 아닌 조선의 쇠를 두고 말한다는 것을 알았다. 옛 나라 밝잣 땅에서 임금이 금지와 진왕에게 내린 칼은 반드시 백련철로 성녕했다는 문적으로 말미암았다.
'그렇다면, 정녕 천련철도 지을 수 있는 얘긴가? 참된 일도 덧말 치레도 내림되면 기담이 되고 만다고? 그래 그럴지도 모르지. 천련철을 떠올려 고개가 가로저어지는 것은 옛적에는 시러 성녕했던 솜씨를 엱에 와서 모두 잃어버린 탓일 게야. 잃어버린 부끄러움을 굽어보기는커녕 오히려 옛사람을 믿지 못해 이말저말 가져다 붙이다가 그만 사람이 이루지 못할 바로 여기고 만 것이겠지.' - 1권 본문 250쪽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