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역사소설 > 한국 역사소설
· ISBN : 9788991990371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06-11-24
책 소개
목차
1권
제1장 생문(生門)
제2장 무곡성(武曲星)의 정기
제3장 와우지형(臥牛之形)
제4장 하늘의 요체
제5장 두 사내
제6장 바람의 길
제7장 소터의 꿈
제8장 신맥(神脈)을 찾아서
제9장 또 한 사내
제10장 무(武) 앞에서
용어풀이
2권
제1장 영산재 풍경
제2장 자객과 과객
제3장 비익조(比翼鳥)
제4장 신기(神氣)
제5장 천 근 강궁
제6장 충의의 이면
제7장 무예와 쌈질의 차이
제8장 불붙는 팔도
제9장 관례(冠禮)
제10장 팔문금사진(八門金蛇陣)
제11장 천하에 살 자격
용어풀이
3권 무원(武元)의 길
제1장 전옥서의 죄인들
제2장 파문(破門)
제3장 칼이 아닌 칼
제4장 눈 뜨는 시체
제5장 향사례(鄕射禮)
제6장 피먹임을 위하여
제7장 해사라
제8장 스승의 좌화(坐化)
제9장 숙명은 우연처럼
제10장 을묘년의 일들
용어풀이
4권
제1장 두 여인
제2장 투전판에서
제3장 지둥 소리
제4장 슬픔을 캐내는 이름
제5장 한양으로
제6장 부민(負民)은 누가
제7장 식년(式年) 무과(武科)
제8장 떠오르는 의혹
제9장 책사, 그리고 와주(窩主)
제10장 옥사에서 보낸 하루
제11장 마루 밑에 서는 뜻
제12장 웃다방골 사연
용어풀이
5권
제1장 소경 중의 수수께끼
제2장 스승과 제자
제3장 여양댁의 정체
제4장 호소용등(虎嘯龍登)
제5장 무너지는 서강단
제6장 뽕밭의 두 늙은이
제7장 꿈꾸는 무원(武苑)
제8장 가포관(假捕官)이 되어
제9장 사무선(四武仙)
제10장 병과(丙科) 이십이인(二十二人)
제11장 백 년 전의 족자
용어풀이
6권
제2부 제6권 천리부동속(千里不同俗)
제1장 한 냥 여덟 돈
제2장 왈패와 거지
제3장 다모 출두
제4장 무인(武人)의 눈
제5장 장군배나무 댁
제6장 천금시(天金矢)를 쏘다
제7장 인연의 노래
제8장 시류(時流) 앞에서
제9장 전운(戰雲)
제10장 또 다른 물굽이
제11장 세 갈래 길
제12장 길마재에 선 남매
용어풀이
6권
제3부 주신의 땅 제7권 삭풍(朔風)도 신음하는데
제1장 북으로 흐르는 바람 제2장 죽 파는 시녀(市女)
제3장 폐사군(廢四郡) 제4장 간자(間者)의 그림자
제5장 호지(胡地)에서 제6장 아비 모를 딸
제7장 매 사냥 제8장 쫓겨나는 상궁들
제9장 공삼(貢蔘) 제10장 사라진 상소문
용어풀이
저자소개
책속에서
백련정강.
한 온 벅이 접어 지은 가장 경강한 쇠라는 말이었다. 신월수는 그 백련정강이 다름 아닌 조선의 쇠를 두고 말한다는 것을 알았다. 옛 나라 밝잣 땅에서 임금이 금지와 진왕에게 내린 칼은 반드시 백련철로 성녕했다는 문적으로 말미암았다.
'그렇다면, 정녕 천련철도 지을 수 있는 얘긴가? 참된 일도 덧말 치레도 내림되면 기담이 되고 만다고? 그래 그럴지도 모르지. 천련철을 떠올려 고개가 가로저어지는 것은 옛적에는 시러 성녕했던 솜씨를 엱에 와서 모두 잃어버린 탓일 게야. 잃어버린 부끄러움을 굽어보기는커녕 오히려 옛사람을 믿지 못해 이말저말 가져다 붙이다가 그만 사람이 이루지 못할 바로 여기고 만 것이겠지.' - 1권 본문 250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