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마하트마 간디 불편한 진실

마하트마 간디 불편한 진실

(비폭력 성자와 체제 옹호자의 두 얼굴)

E. M. S. 남부디리파드 (지은이), 정호영 (옮긴이)
한스컨텐츠(Hantz)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0개 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마하트마 간디 불편한 진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마하트마 간디 불편한 진실 (비폭력 성자와 체제 옹호자의 두 얼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운동 > 사회운동가/혁명가
· ISBN : 9788992008471
· 쪽수 : 292쪽
· 출판일 : 2011-08-16

책 소개

진보적 관점으로 간디를 조명한 간디 평전. 흔히 생각하는 것처럼 완전무결한 ‘성인’이 아니라 문제적 인물, 논쟁적 인물이였던 간디에 대해 인도 진보운동의 거목 남부디리파드가 냉철한 비판지성과 깊은 존경심으로 써내려간 책이다. 작가는 텐둘카르의 전기를 레퍼런스로 준용하고 사회적, 역사적 맥락, 국내외 경제 상황과 국제 정세의 변화를 고려해 간디의 유산과 공과(功過)를 총체적으로, 균형 있게 밝힌다.

목차

옮긴이의 글
간디에 대한 E. M. S. 남부디리파드의 입장 ? 프라카시 카라트(CPIM 총서기)
재판 서론(1959년)
재판 서문(1981년)

서론
초창기
비협력운동
첫 번째 불화
푸르나 스와라지
소금 사티아그라하 국면
은퇴
통일 전선
공직 수락과 그 이후
운영위원회와의 충돌
Quit India와 그 이후
8월 15일 : 승리인가 패배인가?
간디주의의 의미
간디 이후의 간디주의
제도화(1981년)
간디 암살의 정치학(1998년)

[부록] - 정호영(옮긴이)
간디 중심의 국민회의 역사에서 벗어나기
현재 인도에서의 부단운동
이 책을 위한 짧은 연표
지은이 소개

저자소개

E. M. S. 남부디리파드 (지은이)    정보 더보기
20세기 인도를 대표하는 좌파 정치인. 케랄라 주 총리를 두 차례 역임했다. 조국의 독립, 카스트 차별 철폐, 토지개혁, 문맹 타파, 경제발전에 일생을 바쳤으며, 민중을 향한 한결같은 헌신과 청렴한 삶, 높은 학식과 덕망으로 좌우를 넘어 두루 존경받았다. 1909년 최상층 카스트인 브라만 가문에서 태어났지만, 어린 시절부터 카스트 차별주의 및 보수주의와 맞서 싸웠다. 1931년 독립 투쟁에 뛰어들어 사티아그라하운동을 벌이다 투옥되었으며, 1934년 인도국민회의 전인도공동서기가 되는 등 일찍부터 두각을 나타냈다. 하지만 간디주의 및 국민회의와 결별하고, 모두가 평등한 세상을 향한 혁명의 길을 걸었다. 인도공산당(CPI) 중앙위원과 정치국원을 거쳐 총서기를 지냈으며, 1964년 인도마르크스주의공산당(CPIM)으로 당적을 옮겨서도 오랫동안 중앙위원과 정치국원, 총서기를 역임했다. 그는 인도를 대표하는 좌파 이론가 겸 저널리스트로도 명성이 높았다. 1939년 마드라스 주 의회 의원을 지낸 바 있는 그는 1957년 인도공산당을 이끌고 나선 케랄라 주 선거에서 승리해 초대 주 총리로 선출되었다. 이는 세계 최초로 민주 선거에 의해 공산당이 집권한 사례이자, 인도 독립 후 처음으로 비(非)국민회의가 집권한 사례였다. 하지만 케랄라 공산당 정부를 눈엣가시로 여겨 헌법 독소조항인 356조를 발동한 중앙정부에 의해 2년 만에 강제 해산되었다. 그러나 1967년 선거에서 무슬림연맹 등 7개 정당 연합으로 집권해 다시 주 총리를 역임했다. 집권하지 못했을 때는 케랄라 주 의회 야당 대표로 활동했다.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아마르티아 센은 그가 수행한 케랄라 모델을 개발경제의 모범으로 평가하기도 했다. 명문가 브라만 출신으로서는 드물게도 모든 기득권을 버리고 무산계급을 위해 일생을 바친 데서 보듯, 그의 삶은 희생과 소박함 그 자체였다. 그는 감옥과 의회, 지하활동과 주 총리를 오가며 반세기 넘게 정치가, 혁명가, 이론가의 길을 걸은 인도 진보정치의 거목이었다.
펼치기
정호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사회학으로 박사를 받았다. 『마하트마 간디 불편한 진실』, 『콜론타이의 붉은 사랑』, 『카렌 암스트롱의 바울 다시 읽기』 등을 번역했고 『인도는 울퉁불퉁하다』 등을 썼다.
펼치기

책속에서

물론 이때가 간디가 처음으로 단식에 의지하던 시기는 아니다. 그러나 투쟁하는 민중의 전투성을 점검하기 위해서 단식에 의지한 것으로는 처음이었다. 여기서 그들에게 보여준 것은 단번에 대중을 모을 수도 있고 그들이 전투적인 행동을 하는 것을 막을 수도 있는 투쟁의 기술이 존재한다는 것이었다.
― <비협력운동> 중에서


간디는 구자라트의 케다 지역 민중들 사이에서 ‘모든 촌락마다 20명씩 모병하기’란 슬로건을 내걸고 운동을 전개하면서 이 기술을 사용했다. 우리가 상기해야 되는 것은 이 시기에 영국은 성공적인 전쟁 수행을 위해서는 수천 명의 인도인들을 모병해야 하는 절박한 요구가 있었다는 것이다. 총독은 델리에서 전시회의를 열고 누구보다도 먼저 간디를 초청하였다. 간디는 모병 결의에 대해서 지지한다고 말했고, 단 하나의 조건은 힌두-우르두어로 말하는 것을 허락해달라는 것이었다. 총독은 기꺼이 이에 동의했다.
― <비협력운동> 중에서


폭력에 대한 혐오를 아주 많이 거론하였지만 이것은 단지 노동자계급이 자신이 가진 투쟁의 무기 - 정치적 총파업 - 로 정치적 행동으로 들어가게 되면 운동은 설정한 한계를 넘어서게 된다는 사실에 대한 부르주아지로서의 본능적인 공포일 뿐이다. 이것이 제국주의의 피비린내 나는 전쟁터에 총알받이로 ‘모든 촌락마다 20명씩 모병하기’를 요구하면서 어떤 망설임도 없었던 그가 민중, 노동자, 농민들이 조직된 정치 세력으로 행동의 영역으로 들어갈 때 발생되는 사소한 폭력 사건들에 몸서리를 쳤던 이유이다. 이것이 일관되게 자신의 강령에 중농, 빈농, 토지 없는 가난한 이들의 요구인 고리대금업자의 빚 청산, 지대의 획기적인 경감, 토지분배 등을 포함시키지 않은 이유이다.
― <비협력운동>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