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경영자 스토리 > 국내 기업/경영자
· ISBN : 9788992043878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08-10-20
책 소개
목차
저자서문 - IT 코리아 신화를 다시 한번 되새겨 보는, 우리나라 정보통신 역사에 대한 하나의 기록
1장 IT 최강국, 코리아의 신화는 계속된다
IT강국 코리아 건설의 大드라마 ┃ 세계를 흔들고 있는 한국의 정보통신기업
정보통신 분야의 ‘보랏빛 소’를 꿈꾸며
2장 황무지에서 일구어낸 IT Korea
통신서비스의 독점체체 붕괴 ┃ 확대되는 통신시장의 경쟁체제
WTO 대비 글로벌 경쟁체제 구축 ┃ 통신 서비스의 고도화
국가성장 동력으로서의 IT ┃ 유비쿼터스 사회의 전주곡
3장 경쟁과 혁신 그리고 정보통신 시대의 개막
건국 후 40년간 지속된 유선전화 적체 ┃ 한국전기통신공사의 설립
민영 KT 시대 개막 ┃ 한국데이타통신의 설립 ┃ 하나로텔레콤의 탄생
4장 정보통신 최강국으로의 화려한 비상
정보사회를 위한 첫걸음 ┃ 초고속인터넷의 확산
차세대 인터넷 인프라 확충 ┃ 인터넷에 의한 산업과 사회의 변화
굴뚝산업 위협하는 온라인 산업
5장 황금알을 낳는 거위, 이동통신
세상을 바꾸는 힘 : 이동성(Mobility)과 휴대성(Potability)
차세대 이동통신의 분수령 IMT-2000 ┃ 이동통신의 최강자 SK텔레콤
고토(古土) 회복 노리는 KTF ┃ 독자생존의 기틀을 다진 LG텔레콤
6장 내 손 안에 온 세상이 펼쳐진다
정보통신 기술의 결정체 : 휴대전화 단말기
한국 IT기술의 대표주자, 휴대전화 ┃ 한국 이동통신 시스템의 역사
한국의 휴대전화 개발사 ┃ 본격화되는 휴대전화 수출
차이나쇼크와 중소기업의 시련 ┃최강자 대열에 우뚝 선 삼성전자와 LG전자
7장 디지털 컨버전스의 빅뱅
전 산업으로 확산되는 디지털 컨버전스 ┃ 산업간 컨버전스(Cross-Industry Convergence)
컨버전스로 열리는 새로운 세상 ┃ 방송과 통신의 융합
방송통신의 융합의 원인과 유형 ┃ 방송통신위의 탄생
저자소개
책속에서
정보통신혁명의 숨은 주역, 중견기업들의 약진과 활약
국내 이동통신시장은 전세계적으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속도로 급성장했다.1996년 4월 디지털 셀룰러 통신 서비스 개시, 1997년 9월 PCS 서비스 개시 등에 따라 가입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1999년 3월 가입자 1,500만 명을 돌파했다. 자연히 기존 무선호출기 시장은 쇠락의 길로 접어들었다. 따라서 1990년대 초반 무선호출기로 두각을 나타냈던 어필텔레콤, 팬택, 텔슨전자 등 이른바 `삐삐 3인방'도 변화를 모색해야 했다. 1994년 8월 설립돼 광역 무선호출기 시장에서 `어필' 돌풍을 불러일으킨 어필텔레콤은 1998년 5월초 79g짜리 세계 최소형 휴대전화 `어필PCS'를 선보이며 휴대전화 업계에 진입했다.
또 1991년 3월 이동통신 기기부품을 공급하는 `구멍가게'로 시작했던 팬택은 1994년 국내 최초로 무선호출기를 개발, 이목을 끌기 시작했지만 1997년 말에는 무선호출기 사업을 중단했고 1998년부터 CDMA 이동전화 단말기 사업으로 주력사업을 전환했다. - 본문 중에서
디지털 컨버전스의 빅뱅과 새로운 패러다임
디지털 컨버전스는 앞으로 인간, 사물, 공간 등으로 그 영역을 더욱 확장하면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것보다 더 큰 사회변 화를 초래할 전망이다. 즉 모든 영역간 경계가 허물어지는 새로운 공간과 커뮤니케이션이 등장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뿐만 아니라 산업구조를 개편하는 비즈니스가 창출된다는 것. 우선 디지털 컨버전스가 인간에 적용되는 대표적인 것으로 생체인식 기술과 인체의 결합을 들 수 있다. 최근 생체인식기술은 보안이나 접근 제한을 위해 지문, 망막, 얼굴 등 인간의 생체정보를 이동통신, 노트북에 적용하기 시작했으며 법정 증거자료로 DNA와 지문 이외에 얼굴인식을 채택하는 사례도 등장했다.
특히 미국의 9.11 사태와 영국의 테러 발생 이후 테러리스트 색출 등을 목적으로 생체정보를 내장하는 ID카드나 여권을 도입하는 국가도 늘어나고 있다. 생체인식 기술은 비단 범죄자 색출뿐만 아니라 의료기기, 교통.유통 등 그 적용영역이 다양화되고 복합 기능화로 확대되고 있다.
인간과 기계의 결합인 `사이보그'의 등장도 컨버전스의 한 예이다. 사이보그는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와 오가니즘(Organism)의 합성어로 지난 1960년에 처음 고안됐으며 인체내장형 생체칩(VerChip) 이식 등 인간과 기계를 접목해 신체장애를 극복하는 의료기술로 발달하기 시작했다. 로봇도 인간과 유사한 기능을 갖춘 휴머노이드(Humanoid)로 발전하고 있다. - 본문 중에서
세계를 평정하고 있는 한국의 휴대전화
삼성전자는 2008년 세계 휴대전화 시장이 전년대비 10% 내외 성장한 12억 3천만 대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미국, 유럽 등 선진시장과 아시아, 중동의 신흥시장의 특성에 맞는 판매 전략을 구사해 2억 대 이상 판매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물론 전세계 톱 제조업체로서의 위상에 걸맞게 신흥시장 공략을 확대하되 HSUPA 등 신기술을 적용한 최첨단 휴대전화를 적기에 출시하며 프리미엄 리더십을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2006년 11월 집중적인 광고나 화려한 이벤트 없이 150달러 수준의 가격에 출시됐던 무명폰인 `SGH-250'이 아시아와 중남미에서 2천만 대나 판매된 것은 이같은 목표가 과장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준다.
LG전자는 LG텔레콤 사장을 지낸 남 용 부회장이 사령탑을 맡으면서 휴대전화 사업이 되살아나기 시작했다. LG전자는 터치 스크린폰의 원조격인 초코릿폰이 첫 테이프를 잘 끊었다. LG전자는 특히 미국 애플사의 아이폰이 출시되기 앞서 최첨단 프라다폰, 뷰티폰 등을 선보이며 2천만 대 판매를 눈앞에 두고 있는 초콜릿폰의 뒤를 이어 터치폰의 우위를 계속 지켜나가고 있다.
한국 휴대전화 제조업체 2개사가 세계 4위권에 포함될 정도로 위상이 격상되면서 휴대전화는 한국 최고의 수출상품으로서의 자리를 더욱 굳히고 있다. 또한 그 반사효과로 글로벌 휴대폰시장에서 돋보이는 성장가도를 달리고 있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강해진 부품 구매력(바잉 파워)에 힘입어 원가절감 효과를 만끽하고 있다. - 본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