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서양사 > 서양사일반
· ISBN : 9788992114028
· 쪽수 : 768쪽
· 출판일 : 2006-05-2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1. 기다림 Waiting
2. 만남 Meeting
3. 조우 Encounter
4. 육화 Embodiment
5. 욕망 Desire
6. 언어 Language
7. 폭로 Disclosure
8. 입맞춤 Kissing
9. 젠더 Gender
10. 힘(권력) Power
11. 타인들 Others
12. 질투 Jealousy
13. 자아성 Selfhood
14. 청혼 Proposal
15. 결혼 Wedding
16. 섹스 Sex
17. 결혼생활 Marriage
18. 종말 Ending
맺음말
감사의 글
옮긴이의 말
남녀 주인공의 나이
소설 인명
참고도서
그림목록
찾아보기
책속에서
문학과 미술의 발전은 조우의 현상학의 출현에 상응한다. 로크와 홉즈의 세기 이후 영국 소설의 발흥은 개인의 경험을 탐구하기에 적합한 문학 형식을 낳았다. 영국은 극적인 조우를 통해 어떤 사람을 개인으로 정의하는 경험을 자극했기 때문이다. 이언 와트(Ian Watt)는 디포(Daniel Defoe)의 <로빈슨 크루소(Robinson Cruesoe)>(1719)를 데카르트이 코지토 명제에 필적할 만한 "개인적 경험의 우선성을 대담하게 제기한" 소설로 해석한다.
실제로 크루소의 이야기는 사회화 과정을 재구성한다는 점에서 자기 경험에 대한 데카르트의 '증명'에 상응하는 문학작품이다. 크루소에게 타자와의 접촉은 공황상태로 시작된다. 15년 동안이나 섬에 홀로 있던 그는 어느 날 모래 위에 찍힌 사람 발자국을 발견하고, 이후 10년 동안은 이 보이지 않는 타자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미친 듯이 나무를 심고 동굴 밖에 벽을 세운다. 그와 프라이데이가 만난 뒤부터 두 사람은 언어와 인종, 계급, 교육의 차이점을 극복하려고 애쓴다. 이것은 주인과 노예의 관계이지만 디포는 결코 인간관계 자체의 가능성을 묻지 않는다.
"나를 고립시키고 그래서 이 고립된 주체로부터 타자를 향해 나아갈 길을 찾아야 하는" 방식으로 인간관계에 접근하는 철학에 대한 하이데거의 비판은 <로빈슨 크루소>에서 대다수의 19세기 소설에 이르기까지 많은 작품에 나타난 인간관계에 대한 주석이다. 이들 작품의 등장인물은 타자에 이르는 길을 찾는 고독하고 자족적인 개인들이다. 그 길에는 방해물이 있을 수 있지만 작가들은 그 방해물을 둟고 갈 가능성을 캐묻지 않는다. 뿐만 인간의 관계성 자체를 주제화하는 경우도 드물다. - 본문 88~89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