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달빛 아래 연경에서 노닐며

달빛 아래 연경에서 노닐며

(조선인의 눈에 비친 19세기 연경의 시적 형상화)

홍석모 (지은이), 이관성 (옮긴이)
문진
3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4,000원 -10% 1200원 20,400원 >

책 이미지

달빛 아래 연경에서 노닐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달빛 아래 연경에서 노닐며 (조선인의 눈에 비친 19세기 연경의 시적 형상화)
· 분류 : 국내도서 > 고전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88992229319
· 쪽수 : 658쪽
· 출판일 : 2010-12-10

책 소개

<유연고>의 저자 홍석모는 이조판서와 대제학을 지낸 이계 홍양호의 손자이며, 역시 대사헌과 이조판서 등 청화요직을 지낸 홍희준의 아들이다. <유연고>에서 홍석모는 완벽하게 이념의 논쟁을 벗어나지 못했지만, 우수한 청 문화와 대한 동경과 앞선 시장 경제에 대하여 선망의 눈길을 보내면서 청나라 자체의 우월성을 여러 곳에서 직접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목차

游燕藁 天
3_병술년(1826) 10월 27일 동지정사로 떠나는 아버지를 모시고 홍제원 역을 출발하며 마음속의 생각을 기술하다.丙戌十月二十七日 陪家親正使之行 出弘濟院站述懷
5_29일 임진강을 건너다.二十九日渡臨津
6_송경을 지나면서 부사 신재식 대감의 운에 화답하다.過松京和副使申台在植韻
7_11월 1일에 청석관을 지나다.十一月初一日過靑石關
8_11월 2일 아침에 평산을 출발하다.初二日朝發平山
9_총수를 지나다.過蔥秀
10_서흥에 도착하다.夜到瑞興
11_11월 3일에 검수로 가는 도중에初三日?水路中
12_봉산으로 가는 도중에 장난삼아 짓다.鳳山路中戱作
13_길 위에서 눈이 내리다.道中遇雪
14_11월 4일 동선령을 지나다.初四日過洞仙嶺
15_황주 월파루黃州月波樓
16_태허루太虛樓
17_죽루에서 할아버지가 지은 시판의 운을 공경히 차운하다.竹樓敬次王考板上韻
18_11월 6일에 중화로 가는 도중에 눈이 내리다.初六日中和道中遇雪
19_저녁에 평양에 도착하다.暮到平壤
20_기성에서 옛날을 회상하며箕城感古
21_연광정練光亭
22_부벽루浮碧樓
23_11월 9일 늦게 기주를 출발하였다.初九日晩發箕州
24_봉산의 수령인 이식에게 주다.寄贈鳳山守李弁?
25_11월 10일 숙천의 기생인 난심당 설란에게 절구 두 수를 주었다.初十日書贈肅川妓蘭心堂雪蘭二絶詩
26_11월 11일 안주의 달밤에 백상루에 오르다.十一日安州月夜登百祥樓
27_아침에 다시 백상루에 오르다.平朝又登百祥樓
28_시판 위의 할아버지 운자에 공경히 차운하다.敬次王考板上韻
29_11월 13일 박천의 나루터를 향하다.十三日向博川津頭
30_가산으로 향하는 도중에向嘉山道中
31_11월 14일 효성령을 넘다.十四日踰曉星嶺
32_정주에서 자다.宿定州
33_11월 15일 선천의 의검정 달밤에 시판 위의 할아버지 운에 공경히 차운하다.十五日宣川倚?亭月夜 敬次王考板上韻
34_11월 16일 아침에 출발하여 철산을 향하다.十六日朝發向鐵山
35_철산으로 가는 도중에鐵山路中
36_청북에서 부사 신재식의 운에 화답하다.淸北和副使韻
37_길을 떠나는 노래去路吟
38_용천의 양책관에서 묵으면서, 밤에 청류당과 천연정에 올라 공경히 시판의 할아버지 운자에 차운하다.宿龍川良策館 夜登聽流堂天淵亭 敬次王考板上韻
39_용천의 기생 풍능이 정조를 지킨다고 하니, 듣고 가상하게 생각하여 시를 지어 기록하다.龍川妓風能守潔操 聞甚嘉尙詩以紀之
40_11월 17일 용만으로 가면서 청류당 시판 위의 운자를 사용하여 짓다.十七日向灣上 用聽流堂板上韻
41_소곶으로 가는 도중에所串路中
42_전문령을 넘어 비로소 강 밖의 여러 산을 보다.踰箭門嶺 始見江外諸山
43_통군정에서 할아버지의 운에 공경히 차운하다.統軍亭敬次王考韻
44_백일원에서 장수와 기녀가 말달리는 것을 보고, 시판 위의 할아버지 운자에 공경히 차운하다.百一院觀將士妓女馳馬 敬次王考板上韻
45_벗 정원효의 운에 화답하다.和鄭友源孝韻
46_취승당은 선조가 머물렀던 곳으로, 올라가서 보니 감회가 일었다. 임금이 지은 운에 공경히 차운하다.聚勝堂卽宣廟朝駐?之所 登臨有感 敬次御製韻
47_밤에 통군정에 올라 봉화를 올려 수자리 병사와 주고받다.登統軍亭擧火與戍卒相應
48_용만의 여관에서 동지를 지내니, 느낌이 일어 두보의 <지일>의 운을 사용하여 짓다.灣?遇冬至有感 用杜工部至日韻
49_용만의 기생인 세류월이 말을 잘 탄다. 칠언절구를 한 수를 지어 기리다.灣妓細柳月善馳馬 書贈一絶以賞之
50_용만의 여관에서 장난삼아 짓다.灣?戱吟
51_용만의 관부에서 읊다.灣府吟
52_강을 건너기 전날 밤에 내선각에서 술자리를 여니 앞의 운자를 다시 써서 짓다.渡江前日夜 來宣閣設酌疊前韻
53_11월 27일 압록강을 건너다.二十七日渡鴨綠江
54_정원효의 운에 화답하다.和源孝韻
55_구련성 역참에서 점심을 먹다.午炊九連城站
56_금석산을 지나 온정을 향하여過金石山向溫井
57_온정의 역참에서 노숙하다.露宿溫井站
58_11월 28일 총수를 지나다.二十八日過?秀
59_책문에 도달하다.到柵門
61_11월 30일 안시성을 지나다.三十日過安市城
63_봉황성에서 점심을 먹다.午炊鳳凰城
64_마고령을 지나다.過麻姑嶺
65_송참에서 묵다.宿松站
66_12월 1일 황가장에서 점심을 먹고 통원보에서 묵다.臘月初吉千炊黃家庄 宿通遠堡
67_태평거는 매우 가볍고 빨라 멀리까지 갈 수 있다. 도중에 즐거운 마음으로 시를 쓰다.太平車甚輕快 可以致遠 路中喜賦
68_12월 2일 초하구에서 점심을 먹다.初二日千炊草河溝
69_등주의 수재인 추유전에게 화답하여 주다.和贈登州秀士鄒維田
70_연산관에서 묵다.宿連山關
71_12월 3일 새벽에 출발하여 도중에 읊다.初三日曉發路中口占
72_호랑곡을 넘다.踰虎狼谷
73_첨수의 역참에서 점심을 먹고 청석령을 지나다.午炊?水站過靑石嶺
75_저녁에 낭자산의 역참에 도달하다.暮抵娘子山店
76_12월 4일 일찍 출발하여 마천령을 넘다.初四日早發踰摩天嶺
77_우문령을 넘다.踰石門嶺
78_왕보대에서 점심을 먹고 아미장을 지나 비로소 요동의 들판에 들어서다.午炊王寶臺過阿彌庄始入遼野
79_요동성에 들어가다.入遼東城
81_백탑白塔
83_태자하太子河
84_12월 5일 영수사로부터 출발하여 난니보에서 점심을 먹고, 비로소 너른 들판을 보다.初五日自迎水寺 午炊爛泥堡 始見大野
85_다시 짓다.又
86_12월 6일 십리하보에서 새벽에 출발하여 백탑보로 향하다.初六日自十里河堡 曉發向白塔堡
87_심양에 들어가다.入瀋陽
89_교수인 계남 유승겸에게 시를 지어 올리다.奉贈劉溪南敎授承謙
90_유승겸이 화답한 시附和詩
91_12월 7일 아침에 심양을 출발하여 숭덕 황제의 원당사와 보승사를 구경하다.初七日朝發瀋陽 歷見崇德願堂寶勝寺
93_대방신에서 점심을 먹다.午炊大方身
94_달빛을 받으며 고가자로 향하다.帶月向高家子
95_역참에서 밤에 달빛을 걸으며 한 수를 짓다.店夜步月得一絶
96_12월 8일 신민둔에서 점심을 먹다.初八日午炊新民屯
97_백기보로 향하다.向白旗堡
98_관제묘를 읊다.詠關帝廟
99_12월 9일 일판문에 도착하여 의무려산을 바라보았다.初九日到一板門 望見醫巫閭山
100_이도정에서 점심을 먹고 소흑산으로 향하다.午炊二道井 向小黑山
101_집을 그리워하며思家吟
102_토자정을 지나면서 원숭이 놀이를 보다.過土子井見猿戱
103_12월 10일 중안보에서 점심을 먹다.初十日午炊中安堡
104_길 가면서 돼지를 잘 모는 사람을 보고 짓다.路見牧人善御猪畜有作
105_광녕으로 향하는 도중에向廣寧路中
106_광녕의 새로 지은 역참에서 묵다.宿廣寧新店
107_책문에 들어온 뒤에 본 것을 기록하여 잡시 37수를 지었다.入柵後紀所見 演成雜詩三十七首
124_12월 11일 여양역에서 점심을 먹다.十一日午炊閭陽驛
125_십삼산十三山
126_요동 들판에서 8일째인데, 기후가 맑고 따뜻하니 참으로 기이한 일이다. 즐거운 마음으로 절구를 짓다.遼野八日 天氣晴暄 ?是奇事喜賦一絶
127_길을 가는 노래行路吟
129_석산의 역참에서 묵다.宿石山站
130_12월 12일 아침에 심삽산에 오르다.十二日朝登十三山
132_대릉하에서 점심을 먹다.午炊大凌河
133_12월 13일 쌍양의 역참으로부터 금주로 들어가다.十三日自雙陽店入錦州
134_제둔으로 가는 길에 보다.觀齊屯路中
135_달빛을 맞으며 고교보에 이르러 묵다.帶月到高橋堡止宿
136_12월 14일 눈보라를 무릅쓰고 탑산을 지나다.十四日冒風雪過塔山
137_계명산을 지나며 구혈대를 바라보다.過?鳴山望嘔血臺
139_길 가는 사이에 풍속을 기록하다.路中記俗
140_영원성 밖에서 묵다.宿寧遠城外
141_12월 15일 성의 남문으로 들어가 조대수의 패루를 보다.十五日入城南門見祖大壽牌樓
143_청돈대를 지나 바다를 바라보다.過靑墩臺望海
144_사하소를 향하여 가는 도중에向沙河所路中
145_사하소에서 점심을 먹고 동관을 지나 중후소로 향해 가다.午炊沙河所 過東關向中後所
146_12월 16일 양수하에서 점심을 먹고 이주경의 시에 화답하다.十六日午炊兩水河 和李財經韻
147_대송령구를 지나 장성이 바다에 뻗친 것을 보다.過大松嶺溝 望見長城入海
148_중전소에서 묵다.宿中前所
149_12월 17일 팔리보를 향해 출발하다.十七日向八里堡
150_강녀묘姜女廟
153_강녀를 대신하여 시로 신랑 범칠을 부르다.代姜女招范郞詩
154_범랑을 대신하여 시로써 강녀에게 화답하다.代范郞答姜女詩
155_팔리보에서 점심을 먹고 사방장대에 오르다.午炊八里堡登四方將臺
156_장성長城
158_산해관에 들어가다.入山海關
159_망해대를 오르다.登望海臺
161_저녁에 홍화점에 이르다.夕抵紅花店
162_심하에서 장군 김응하를 기리다.河懷金將軍應
163_12월 18일 봉황점에서 점심을 먹다.十八日午炊鳳凰店
164_유관에서 묵다.宿?關
165_12월 19일 무녕현을 지나면서 수재인 여헌 양덕신에게 써서 주다.十九日過撫寧縣 書贈楊礪軒秀才德新
167_음마하의 행궁을 지나면서 보다.歷見飮馬河行宮
168_영평성의 밖에서 묵다.宿永平城外
170_12월 20일 영평성의 안에 들어가 태공묘를 보고 청절사에서 점심을 먹다.二十日八永平城內見太公廟 午炊淸節祠
175_12월 21일 사하역에서 출발하여 진자점에서 점심을 먹고 시장을 구경하다.二十一日自沙河驛 午炊榛子店觀場市
176_계문란을 생각하며 벽에 쓴 운자를 사용하여 짓다.憶季文蘭用題壁韻
178_백초와를 지나면서 다시 광야를 보다.過白草窪 又見曠野
179_풍윤현을 거쳐 문창각에 오르다.到?潤縣登文昌閣
180_우정가牛鼎歌
183_12월 22일 고려보를 지나다.二十二日過高麗堡
184_사유하에서 점심을 먹고 옥전의 행궁을 지나다.午炊沙流河 過玉田行宮
185_옥전현에서 묵다.宿玉田縣
186_12월 23일 대소고수점을 지나면서 고수행을 짓다.二十三日過大小枯樹店 作枯樹行
189_오산을 향하여 가는 길에 연기 낀 숲을 보다.向鱉山路中微見烟樹
190_12월 24일 오산鰲山에서 출발하여 눈을 맞으면서 가니, 오늘이 납일이다.二十四日自鱉山冒雪而行卽臘日也
192_길을 가면서 눈을 읊다.道中詠雪
193_방균에서 점심을 먹고 백간점을 지나다. 향림사에 들어가 흰 줄기의 소나무를 보다.午炊邦均 過白澗店 八香林寺見白?松
194_단가령을 지나면서 낙타를 보다.過?家嶺見??
195_저물녘에 눈이 그쳐 안개 낀 숲을 바라보다.晩後雪晴天朗見烟樹
196_호타하를 건너다.渡??河
197_12월 25일 연교진에서 점심을 먹다.二十五日午炊燕郊鎭
198_통주에서 묵다.宿通州
199_12월 26일 대왕장에서 점심을 먹고 동악묘를 자세히 구경하다.二十六日午炊大王庄 歷見東嶽廟
201_조양문을 거쳐 연경에 들어가다.由朝陽門入燕京
203_12월 28일 사신을 모시고 중화궁의 잔치에 나가다. 대궐에 들어가 유구국의 사신을 보았다. 해마다 조공을 바치는 다른 나라는 오직 이 나라뿐인데, 이역에서 만나니 기이한 일이다.二十八日陪使臣進重華宮宴 入闕見琉球國使臣 外服年貢 只此一國 異域相逢 誠奇事也
204_12월 29일 남관에서 제석을 맞이하여 읊다.二十九日南?除夜口占



游燕藁 地
207_정해년 설날에 회상하다.丁亥元朝述懷
208_사신을 모시고 태화전의 뜰에 들어가 설날 조회하는 반열에 참여하다. 오문 밖에서 수레를 끄는 두 마리의 코끼리를 보고 짓다.陪使臣入太和殿 庭?正朝賀班 午門外見駕輅二象有作
211_경천주擎天柱
212_1월 2일 장춘사에서 구련보살의 형상을 보고 느낌이 일어初二日長春寺見九蓮菩薩像有感
213_자인사에서 가마에서 변한 관음상을 보다.慈仁寺見?變?觀音像
214_1월 4일 시헌국에서 서양인이 만든 역법 계산하는 기계를 보고 시를 짓다.初四日時憲局見西洋人制作奇巧賦一絶詩
217_역대제왕묘歷代帝王廟
219_1월 5일 관소에서 환희를 보다.初五日館所見幻戱
221_1월 7일 옹화궁을 구경하다.初七日往見雍和宮
223_태학벽옹太學?雍
225_석고시石鼓詩
232_석경가石經歌
237_승상 문천상의 사당文丞相祠
239_북해 태수 이옹이 쓴 운휘장군 이수의 두 개의 끊어진 비석李北海邕書雲麾將軍李秀碑二片石
241_융복사 곁의 화초 가게隆福寺傍花草?
243_1월 9일 입춘날에 명나라 율시에 화운하다.初九日爲立春年拈明律
245_유리창琉璃廠
246_길옆에서 희자의 복색을 보고 느낌이 일어 세 수를 짓다.路傍見戱子服色有感作三章
247_새 가게禽鳥?
248_연경을 회고하며 여덟 수를 짓다燕京懷古八首
252_발을 싸매 비틀거리며 걷는 중국 여자를 보고 짓다.唐女?足??而行有作
253_청나라 사람들이 의관을 하지 않는 것을 읊다.賦淸人不復衣冠
254_한인과 당녀라는 호칭을 듣고 짓다.聞漢人唐女之稱有作
255_1월 12일 금어지에 가서 구경하다.十二日往見金魚池
256_정충묘精忠廟
257_1월 10일 무림 기수유를 방문하여 율시 한 수를 써서 주다.初十三日訪紀茂林樹?書贈一律
259_앞 시의 원시. 아우 무림 기수유는 절하고 쓴다.附和詩 茂林第紀樹?拜草
260_한밤중에 옥하교와 기반가에서 달맞이하다가 삼절을 얻다.十二夜步月玉河橋棋盤街得三絶
262_1월 15일 원명원을 구경하러 나서 각생사에 들어가 구경하고 화엄대종가를 짓다.十五日往圓明園之路 歷入覺生寺 作華嚴大鍾歌
265_원명원의 산고수장각에서 사신을 배행하며 장등희를 구경하다.圓明園山高水長閣陪使臣觀張燈諸戱
271_등희가燈戱歌
276_호랑이 우리虎圈
278_1월 17일 서산 곤명호의 십칠교에서 바라본 경치를 기록하다. 十七日西山昆明湖十七橋紀諸勝
282_서산잡영 7수西山雜詠七首
284_만수사에서 해관과 청암 두 대사와 이야기를 나누다.萬壽寺與海觀淸巖兩大師?話
285_대진각사 5탑大眞覺寺五塔
287_고량교高梁橋
288_1월 19일 백운관에서 도사가 연구절이라는 제사를 지내는 것을 보다.十九日白雲觀 見道士設醮稱燕九節
292_천녕사 수문제 탑天寧寺隋文帝塔
293_1월 20일 대통교를 지나다.二十日過大通橋
294_삼충사三忠祀
295_관상대觀象臺
296_운객 웅앙벽에게 주다.贈熊雲客?碧
297_1월 21일 사인 시령 장상하의 집에서 7언 절구에 화답하다.二十一日詩?張舍人祥河宅走和一絶
298_장상하의 시. 도애가 찾아온 것을 기뻐하여 즉석에서 지어 주다. 동오의 장상하.附原韻 喜陶厓來訪走贈東吳張祥河
299_1월 23일 여순양의 사원을 구경하다.二十三日往見呂純陽祠
300_아라사관俄?斯館
303_1월 24일 신목창에 가서 구경하고 신목가를 짓다.二十四日往見神木?作神木歌
306_염화사拈花寺
309_석조사에서 벽 위의 고송부와 쌍송도를 보다.夕照寺見壁上高松賦雙松圖
310_법장사 미타탑法藏寺彌陀塔
312_장시령에게 보내다.奉寄張詩?
313_중서성 옥수 조강에게 보내다.奉贈曺玉水中書江
314_옥수 조강의 화답시. 동생 옥수 조강이 도애 선생에게 받치다.附和詩 奉酬陶厓先生玉水弟江
315_1월 25일 운장 대가회 집에서 그에게 7언 절구를 지어 주다.二十五日戴雲莊嘉會宅書贈一絶
316_등지 진연은에게 주다.奉贈陳登之延恩
317_진연은의 화답시.附和詩
319_1월 26일 사신을 모시고 서원에 들어가 태액지, 오룡정, 만불사, 옥동교 등의 경치를 구경하다.二十六日陪傲世入西苑 觀太液池五龍亭萬佛寺玉?橋諸勝
325_1월 27일 장시령 집 잔치에서 조옥수, 서성백과 만났는데, 육기손이 뒤늦게 와 함께 시를 짓다.二十七日詩?宅餞席 與曹玉水徐星伯約會 陸祁孫追到共賦
326_앞 시의 원운. 죽순을 구워 잔치를 하며 작별하는 도애선생에게 드리는 시附原韻 ?筍爲陶厓先生作別口占
327_화답시. 장시령의 운자에 맞춰 도애 선생에게 드리다.和詩 依詩?韻呈陶翁
328_서성백이 화답시를 요구하자 즉석에서 주다贈徐星伯卽席要和
329_앞의 시에 화답한 시. 장시령 댁의 잔치자리에서 동갑인 도애에게 답하는 시附和詩 詩?座上答陶厓同庚之作
320_몽고 사람蒙古人
331_앵무새鸚鵡
332_1월 29일 진등지 댁에서 진석사와 만나기로 약속하여 그가 왔다. 또한 진자학과 이야기를 나누다가 돌아갈 즈음에 앞의 운자를 사용하여 시를 지어 진등지의 부채에 써 주었다.二十九日陳登之宅約陳石士來會 又與陳子鶴?話臨歸 用前韻書贈登之便面
333_소천 장월의 집에서 웅운객, 미사 유민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었다. 장소천에게 이별하는 시 2수를 화답하여 주었다.蔣少泉鉞宅 與熊雲客劉眉士玟會話 和贈少泉別詩二首
335_앞의 시의 원운附原韻
337_1월 30일 웅운객과 옥수의 집에서 만나 석별의 정을 나누었다. 그리고 옥수에게 시를 한 수 지어 주었다.三十日約雲客會玉水宅?別 留贈玉水
338_웅운객의 이별시에 화답하여 주다.和贈熊雲客別詩
339_웅운객의 원래의 시. 미진서사에서 운간 웅앙벽은 절하면서 쓰다.附?詩 雲間熊?碧拜?於味眞書舍
342_미사 유민에 답한 시酬劉眉士玟
343_이소체 4장으로 지어 도애에게 드리는 시附?行騷體四章
346_난고 가한의 시에 화답하다.酬賈蘭皐漢
347_가한이 준 원래의 시附贈詩 嘉禾賈漢初草
349_다농 장심에게 시 세 수를 주다.贈張茶農深三首
351_장심이 화답한 시附答詩 茶富春江張深拜稿
352_웅운객의 시에 화답하다. 소천 장월이 썼다.和贈雲客詩 少泉蔣鉞走草



游燕藁 人
355_2월 1일 눈 내리는 가운데 노구를 향하다.二月初一日雪中向盧溝
356_노구교에서 건륭황제가 지은 시의 운자에 차운하다.盧溝橋次乾隆御韻
358_2월 2일 진등지가 찾아와 작별할 때, 율시 한 수를 주다.初二日陳登之來訪 ?別書贈一律
359_황성잡영 백수皇城雜詠百首
404_낙타와 나귀를 읊다詠?驢二物
405_연경팔경燕京八景
405_경도의 봄 그늘瓊島春陰
406_태액의 가을바람太液秋風
406_옥천에 드리운 무지개玉泉垂虹
406_눈이 그친 서산西山晴雪
407_계문의 이내 피는 숲?門烟樹
407_노구의 밝은 달盧溝曉月
408_거용관의 첩첩한 푸른 산居庸疊翠
408_금대의 저녁 햇빛金臺夕照
410_2월 4일 황성에서 출발하다.初四日自皇城離發
411_2월 5일 통주의 백하를 지나며 강남의 배를 보다.初五日通州白河見江南舡
412_2월 6일 방균에세 반산의 소림사로 들어가다.初六日自邦均入盤山少林寺
414_반곡에서 옛날을 회상하며 2수를 짓다.盤谷懷古二首
415_2월 7일 계주성에 들어가 와불사를 보고 태백필가를 짓다.初七日入?州城 見臥佛寺 作太白筆歌
417_어양교를 지나다.過漁陽橋
418_계문의 이내 낀 숲?門烟樹
419_2월 8일 아침에 옥전을 출발하여 사류하로 향하다.初八日朝發玉田 向沙流河
420_고려보를 지나다.過高麗堡
421_2월 10일 난하를 지나면서 감회가 일어 청절사를 슬피 바라보다가 짓다.初十日過?河有懷 淸節祠?望而作
422_영평부에 도착하여 양산으로 가서 이장군의 사호석을 보다.到永平府 往陽山見李將軍射虎石
424_2월 11일 배음보로 가는 도중에 옛일을 기록하다.十一日背陰堡道中述古
426_창려 문필봉을 바라보고 감회가 일어望昌黎文筆峰有感
427_2월 13일 산해관을 나오다.十三日出山海關
428_부사에게 바치다.呈副使行軒
429_중전소의 달 뜬 밤에中前所月夜
430_2월 14일 양수하로 가는 도중에十四日兩水河路中
431_분서 이주경의 시에 화답하여 2수를 짓다.和汾西李周經二首
433_벗 홍일능에게 주다.贈洪友一能
434_2월 15일 일찍 중후소를 떠나다.十五日早發中後所
435_사하소 가는 도중에 2수를 짓다.沙河所路中二首
436_벗 정원효의 시에 화답하여 2수를 짓다.和鄭友源孝二首
438_밤에 영원에 머물면서 달 밤에 산책하면서 운자를 불러 곧바로 짓다.夜宿寧遠步月呼韻卽就
439_원효의 영원 회고시에 차운하다.和源孝寧遠懷古韻
441_2월 16일 연산역으로 가는 도중에十六日連山驛路中
442_탑산을 지나다.過塔山
443_2월 17일 일찍 고교보를 출발하다.十七日早發高橋堡
444_행산과 송산의 사이에 있는 고전장을 지나며 감회가 일어杏山松山之間 過古戰場有感
445_2월 18일 일찍 대릉하를 건너다.十八日早渡大凌河
446_심삽산에 도착하다.到十三山
447_2월 19일 일찍 상흥점을 출발하다.十九日早發常興店
448_의무려산을 바라보며望醫巫閭山
449_도화동으로 가는 도중에 읊어 부르다.向桃花洞路中口占
450_도화동에 들어가 여러 경치를 구경하다.入桃花洞觀諸勝
454_북진묘北鎭廟
456_광녕성에 들어가 영원백 이성량의 패루를 보다.歷入廣寧城見寧遠伯李公成樑牌樓
457_뢰자관이 표류하던 사람을 데리고 왔는데, 그 사람이 집안의 편지를 가지고 있어서 보게 되었다. 이에 나라와 집안이 평안한 것을 알게 되자 기쁜 마음에 2수를 짓다.?咨官令漂人入來 得見家書 知家國平安喜成二詩
458_2월 20일 소흑산의 객점에 묵었는데, 객점의 주인 마문소가 시 3수를 지어주었다. 이에 재빨리 화답하여 그의 깊은 마음에 답하였다.二十日宿小黑山店舍 主人馬君文召 贈以三詩 走筆和之以謝其意
460_2월 21일 토자정을 지나다가 월봉에 올라 요동의 들판을 내려다보니, 참으로 장관이었다. 기쁜 마음으로 율시 한 수를 짓다.二十一日過土子井 登月峯 俯瞰遼野 誠一壯觀 喜題一律
461_일판문을 지나 백기보로 향하다.過一板門向白旗堡
462_2월 22일 유하를 지나 배를 타고 주류하를 건너다.二十二日過柳河溝渡周流河
463_요야행遼野行
468_2월 23일 일찍 고가자를 떠나다.二十三日早發高家子
469_심양에 도달하여 앞 시의 운자를 사용하여 계남 유교수에게 드리다.到瀋陽用前韻 呈溪南劉敎授
470_소년 오덕기에게 써서 주다.書贈吳少年德基
471_2월 24일 아침에 심양을 출발하였으니, 이 날은 바로 춘분이다.二十四日朝發瀋陽卽春分日也
472_백탑보에서 점심을 먹고 십리하보를 향하여 떠났는데, 먼지 바람이 크게 불고 저물녘에 눈이 내리다.午炊白塔堡 向十里河堡 風塵大起 晩又灑雪
473_2월 25일 난니보에서 점심을 먹다.二十五日午炊爛泥堡
474_요동성을 지나다.過遼東城
475_영수사로 향하다.向迎水寺
476_2월 26일 아버지 생신을 맞이하여 음식을 장만하고 일행들과 함께 기쁨을 나누다. 二十六日家親?辰 設饌與一行齊會志喜
477_2월 27일 낭자산의 역참을 떠나 계명사에 오르다.二十七日自娘子山店 登?鳴寺
478_연산관으로 향하다.向連山關
479_2월 29일 건자포에서 자다.二十九日宿乾子浦
480_3월 1일 책문을 향하다.三月一日向柵門
481_안시성을 낱낱이 구경하다.歷見安市城
483_책문에 도달하다.到柵門
484_책문에 머물면서 세 가지 뛰어난 것을 듣다.留柵記聞得三絶
486_3월 3일 총수를 지나면서 말 위에서 짓다.初三日過?秀馬上口呼
487_3월 4일 압록강을 넘다.初四日還渡鴨江
488_4월 20일 임진강을 건너다.二十日渡臨津
489_오는 도중에 벗인 신희세가 율시 2수를 보냈는데, 급하게 지어 화답하다.中見申友羲世寄示二律走

- 부록
홍석모의 <황성잡영皇城雜詠> 소고小考_ 491
유연고 원문

저자소개

홍석모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경부(敬敷), 호는 도애(陶厓). 조선 후기 벌열가문 출신으로, 이계(耳溪) 홍양호(洪良浩)의 손자이며 훈곡(薰谷) 홍희준(洪羲俊)의 아들이다. 1804년(순조4) 생원시에 합격하여 과천 현감, 황간 현감을 지내고, 1826년 부친을 따라 청나라에 다녀왔다. 이후 안산 군수, 남원 부사를 역임하였다. 방대한 독서와 여행 경험을 바탕으로 수천 수의 시를 남겼다. 서울의 세시풍속을 소재로 지은 「도하세시기속시(都下歲時記俗詩)」 126수와 우리나라의 세시풍속을 종합한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의 저자로 유명하다. 이 밖에 『상심록(賞心錄)』, 『유연고(遊燕藁)』, 『도애시집(陶厓詩集)』, 『도애시문선(陶厓詩文選)』 등의 저술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876388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