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경상도 우리 탯말

경상도 우리 탯말

(어머니와 고향이 가르쳐 준 영혼의 말)

하루비, 윤명희, 이대희, 심인자, 이성배 (지은이)
소금나무
1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경상도 우리 탯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경상도 우리 탯말 (어머니와 고향이 가르쳐 준 영혼의 말)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글이야기
· ISBN : 9788992359030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06-10-15

책 소개

'탯말'이란 '사람이 세상에 태어나기 전 어머니 뱃속에 있을 때부터 배운 말'을 가리킨다. 이 책은 경상도 지역의 탯말이 문학작품과 사람들이 흔히 써온 예화에서, 그리고 전통과 문화와 관습, 계절에 따라 어떻게 쓰였는지를 살펴본다. 탯말 쓰기 포럼인 '탯말 두레'에서 방대한 자료수집과 현장 녹취 등을 통해 구성.집필했다.

목차

책머리에
경상도, 사람.언어.문화
책 뒤에

1. 탯말 예화(1)
그 노인 복 있다, 복노잇있다 그러재, 호상이라이
시상 베랬잖니껴
한천 아재하고 아지매 좀 유밸시렀잖니껴?
염하기 전에는 빈소 들다 보는 게 아이따
아뱀 가실 때 어맴 병 다 가 가시라꼬요
양이 많애가 한참 써래야 되껜데
널찌머 어옐라꼬 거를 기 올라 가노
나락짚으로 만들어 노으이 까끄러버가 이마가 다 삐끼질라 카네
평토제 상(床) 한 나 못 놓을까 봐요
남우 일 보는 거맹키로 아무 생각이 안 나는지 모리겠어예
버뜩 너 자리도 맹글어 놔야 되껜데...
나이가 천지개락이라 고마, 항정도 없재
저야 대댕기마 대댕기는대로 해야지예
아까맹키로 다시 해바라
입이 까끄러버가 죽이 방굿돌매이로 입 안에 빙빙 돌아 댕기네
아이구 쭈굴시러버라
1년이사 어에 삐대도 안 할니껴?
은철이 장개 보낼 일이 걱정이구마는
수닯다꼬 캐뿟는 기라
뿍대기를 저래 뻐들어 나가 어옐꼬
우야든동 다음에사 좀 수웁게 하입시더
조오 쪼가리가 중요한 기 아이래

1. 탯말 예화(2)
오이가 오때서예?
니 진짜 와 이라는데?
가스나가 우째 저래 쑥쑥하네
갱내 맞잖아예?
이 학교에서 쌤 밸맹이 먼지 알아예?
아이라쿵께요. 키가 커삐가 치마가 짧아진 거라예
안 있나, 내 이상한 거 봤다이
니는 호부 그런 거 갖고 소문 지어내나
여슥아가 주묵질이 머꼬

2. 탯말독해
생활
음식
사람
자연

3. 문학 작품 속의 경상도 탯말
문학 작품 속의 경상도 탯말
박목월의 시
이육사의 시
박재삼의 시
박경리의 토지
이문열의 변경

4. 탯말 사전













저자소개

하루비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4년 대구에서 태어났다. 하루비는 '하루 종일 내리는 비'를 뜻하는 작가의 인터넷 ID이다. 지은 책으로 <맹목사>, <꽃잎의 유서>, <경상도 우리 탯말>(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윤명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에서 태어났다. 안동의 흥해 배씨 11대 장손집안으로 시집가서 시아버지의 3년상을 지내고 있다. 2006년 현재 고령군 성산면에서 산업기계 제작업체인 '한명산업'의 부사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펼치기
이대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남 밀양에서 태어났다. 집안의 장손출신으로 상, 제례문화에 익숙하다. 부산대 영문과를 나와 LG에서 15년 근속 후 벤처기업 CEO를 역임했다.
펼치기
심인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남 진주 출생 2012년 오누이시조 공모전 신인상 수상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창작지원금 받음 시조집 『거기, 너』 『대신이라는 말』, 공저 『경상도 우리탯말』
펼치기
이성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1년 경남 마산에서 태어났다. 2005년 ≪신문예≫로 등단했으며 저서로 ??경상도 우리 탯말??(공저)이 있다. 2011년 한국해양문학상, 공무원 문예대전을 수상했다. 경남작가회의 회원으로 활동 중이다.
펼치기
이성배의 다른 책 >

책속에서

"글케나 농사일이 걱정이던 모양이재, 아이구 와일로, 입이 까끄러가 죽이 방굿돌 매이로 입안에 빙빙 돌아 댕기네. 너 아베는 죽이라고는 입에 안 댔다. 어예 안 그렇겠노. 밀가리 아끼니라꼬 수지비도 안 끼리 묵고 밀 벙드레 끼리 무우 가미서 소 겉이 일 했다. 그케도 나는 어예라도 머어야 살재. 내 꺼정 이카머 안 되지러."

돌은 경상도에서 돌이다. 그렇지만 돌멩이, 혹은 돌부리는 '돌삐'가 된다. 발음은 '돌삐이'와 유사한데 '이'는 옛이응의 비음이 들어간다. 또한 바위는 경상도에서 '방구', '바우', 혹은 '방쿠'이며 큰 바위가 벼랑을 이루고 있는 것은 '칭덤'이라고 한다.

그러니 '방굿돌'은 바윗돌이란 얘기다. '~매이로'는 앞서 말한 '~맹키로'와 같은 말이다. 따라서 '방굿돌매이로'는 '바윗돌처럼'이란 뜻이다. 입이 까끄러울 땐 서울 사람들은 '모래알 씹는 것 같다'고 하는데 경상도 어머니는 '죽이 바윗돌처럼 입안을 굴러다닌다'고 한다. 모래와 바위, 스케일부터 다르다. - 본문 102~104쪽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