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역학 > 사주/궁합/예언
· ISBN : 9788992364713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2-06-30
책 소개
목차
제1장 무극(無極)
제2장 태극(太極)
1) 음(陰)
2) 양(陽)
3) 토(土)
제3장 오행(五行)
1) 목(木)
2) 화(火)
3) 토(土)
4) 금(金)
5) 수(水)
제4장 천간(天干)
1) 갑(甲)
2) 을(乙)
3) 병(丙)
4) 정(丁)
5) 무(戊)
6) 기(己)
7) 경(庚)
8) 신(辛)
9) 임(壬)
10) 계(癸)
제5장 천간 합(合)
1) 갑기합토(甲己合土)
2) 을경합금(乙庚合金)
3) 병신합수(丙辛合水)
4) 정임합목(丁壬合木)
5) 무계합화(戊癸合火)
제6장 천간 충(沖)과 극(克)
제7장 천간의 물상(物象)과 수리 원리(原理)
1) 물상(物象)
2) 수리의 원리(原理)
제8장 지지(地支)
1) 자(子)
2) 축(丑)
3) 인(寅)
4) 묘(卯)
5) 진(辰)
6) 사(巳)
7) 오(午)
8) 미(未)
9) 신(申)
10) 유(酉)
11) 술(戌)
12) 해(亥)
제9장 지장간(地藏干)
1) 장생지(長生地)
인(寅)
사(巳)
신(申)
해(亥)
2) 제왕지(帝王地)
묘(卯)
오(午)
유(酉)
자(子)
3) 묘지(墓地)
진(辰)
미(未)
술(戌)
축(丑)
제10장 24절기(節氣)
1) 입춘(立春)
2) 우수(雨水)
3) 경칩(驚蟄)
4) 춘분(春分)
5) 청명(淸明)
6) 곡우(穀雨)
7) 입하(立夏)
8) 소만(小滿)
9) 망종(亡種)
10) 하지(夏至)
11) 소서(小暑)
12) 대서(大暑)
13) 입추(立秋)
14) 처서(處暑)
15) 백로(白露)
16) 추분(秋分)
17) 한로(寒露)
18) 상강(霜降)
19) 입동(立冬)
20) 소설(小雪)
21) 대설(大雪)
22) 동지(冬至)
23) 소한(小寒)
24) 대한(大寒)
제11장 십신(十神)
1) 비견(比肩)
2) 겁재(劫財)
3) 식신(食神)
4) 상관(傷官)
5) 편재(偏財)
6) 정재(正財)
7) 편관(偏官)
8) 정관(正官)
9) 편인(偏印)
10) 정인(正印)
제12장 근(根) 묘(苗) 화(花) 실(實)
1) 근(根)
2) 묘(苗)
3) 화(花)
4) 실(實)
제13장 대운(大運)과 세운(歲運)
1) 대운(大運)
2) 세운(歲運)
제14장 합(合)
1) 삼합(三合)
해묘미(亥卯未)
인오술(寅午戌)
사유축(巳酉丑)
신자진(申子辰)
2) 방위합(方位合)
인묘진(寅卯辰)
사오미(巳午未)
신유술(申酉戌)
해자축(亥子丑)
3) 육합(六合)
자축(子丑)
인해(寅亥)
묘술(卯戌)
진유(辰酉)
사신(巳申)
오미(午未)
제15장 형(刑)
1) 삼형(三形)
인사신(寅巳申)
축술미(丑戌未)
자묘(子卯)
2) 육형(六刑)
인사(寅巳)
인신(寅申)
사신(巳申)
축미(丑未)
축술(丑戌)
술미(戌未)
3) 자형(自形)
진진(辰辰)
오오(午午)
유유(酉酉)
해해(亥亥)
제16장 충(沖)
1) 자오(子午)
2) 축미(丑未)
3) 인신(寅申)
4) 묘유(卯酉)
5) 진술(辰戌)
6) 사해(巳亥)
제17장 파(破)
1) 자유(子酉)
2) 축진(丑辰)
3) 인해(寅亥)
4) 묘오(卯午)
5) 사신(巳申)
6) 술미(戌未)
제18장 해(害)
1) 자미(子未)
2) 축오(丑午)
3) 인사(寅巳)
4) 묘진(卯辰)
5) 신해(申亥)
6) 유술(酉戌)
제19장 원진(怨嗔)
1) 자미(子未)
2) 축오(丑午)
3) 인유(寅酉)
4) 묘신(卯申)
5) 진해(辰亥)
6) 사술(巳戌)
제20장 12운성(十二運星)
1) 장생(長生)
2) 목욕(沐浴)
3) 관대(冠帶)
4) 건록(建祿)
5) 제왕(帝王)
6) 쇠(衰)
7) 병(病)
8) 사(死)
9) 묘(墓)
10) 절(絶)
11) 태(胎)
12) 양(養)
제21장 12신살(十二神殺)
1) 겁살(劫殺)
2) 재살(災殺)
3) 천살(天殺)
4) 지살(地殺)
5) 년살(年殺)
6) 월살(月殺)
7) 망신살(亡身殺)
8) 장성살(將星殺)
9) 반안살(攀鞍殺)
10) 역마살(驛馬殺)
11) 육해살(六害殺)
12) 화개살(華蓋殺)
제22장 공망(空亡)
청암(淸暗) 선생님의 글을 정리하면서…
저자소개
책속에서
모든 것은 리듬이 있듯이 사주 속에도 악보가 있다.
이를 합과 형 충 파 해라고 하는 것이다.
이를 정확하게 알지 못하고 사주를 감정한다는 것이 어리석음이다.
이 책 속에는 전부라고 할 수는 없지만,
그래도 다른 책에서 찾아볼 수 없는 이론을 기록하고
예문을 두어서 이해가 쉽도록 기록하였다.
그 근본을 궁리하여 본다면 사주를 상담함에 있어
역학인으로서의 자신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나를 알고 살아간다면
불행의 파도도 피할 수가 있다는 것이다.
자연에도 흐름이 있고 노래에도 악보가 있듯이
흐름을 벗어나면 이상기온이나 천재지변이 일어나며
합 그리고 형 충 파 해와 원진을 이해하지 못하고
이야기를 한다면 곤란하다는 것이다.
그리고 보조프로그램으로 신살이나 12운성 등을 응용하여
사주를 풀어야 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