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미술 > 미술사
· ISBN : 9788992486101
· 쪽수 : 696쪽
· 출판일 : 2011-11-21
책 소개
목차
총론
제1장 건축 예술과 공예 미술
제1절 도성(都城)의 건설과 궁실(宮室) 원림(園林)
제2절 사묘(寺廟)와 전탑(殿塔)
제3절 도자 공예
제4절 옻칠 공예
제5절 금속 공예
제6절 직물 자수 공예
제2장 조소(彫塑)
제1절 능묘(陵墓) 조소(彫塑)와 묘용(墓俑)
제2절 대규(戴逵)ㆍ승우(僧祐) 및 수(隋)ㆍ당(唐) 시기의 조소가(彫塑家)들
제3절 석굴(石窟) 조상(造像)
제4절 불교 채색 이소(泥塑)
제5절 금동조상(金銅造像)
제6절 석조상(石造像)과 목조상(木造像)
제3장 회화
제1절 회화 발전의 개요
제2절 고개지(顧愷之)와 육탐미(陸探微)ㆍ장승요(張僧繇)와 양자화(楊子華)
제3절 전자건(展子虔)과 이사훈(李思訓)ㆍ염립본(閻立本)과 위지을승(尉遲乙僧)
제4절 오도자(吳道子)와 한간(韓幹)ㆍ장훤(張萱)과 주방(周昉)
제5절 묘실(墓室) 벽화
제6절 석굴(石窟) 벽화
제4장 서법(書法) 예술과 서화 이론
제1절 비판(碑版)ㆍ간독(簡牘)과 사경(寫經)
제2절 위ㆍ진ㆍ남북조의 서법 명가(名家)들과 이왕(二王)
제3절 구양순(歐陽詢)ㆍ우세남(虞世南)ㆍ저수량ㆍ설직(薛稷)
제4절 손과정(孫過庭)ㆍ장욱(張旭)ㆍ회소(懷素)
제5절 안진경(顔眞卿)과 유공권(柳公權)
제6절 서품(書品)과 화품
맺음말
부록 1 위(魏)ㆍ진(晉)부터 수(隋)ㆍ당(唐)까지의 미술사 연표
부록 2 참고문헌
부록 3 중국의 연호 : 위(魏)ㆍ진(晉)부터 수(隋)ㆍ당(唐)까지
부록 4 도판목록
부록 5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