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중세사(위진남북조~당,송)
· ISBN : 9788992490016
· 쪽수 : 484쪽
· 출판일 : 2007-09-05
책 소개
목차
자치통감1 전국·진(秦)시대 차례
신종 황제가 쓴 서문 5
자치통감을 올리는 표문 11
세화 판 1권 옮긴이 머리말 17
자치통감1<전국·진시대> 개정판에 부쳐 23
옮긴이 서문 25
권1 전국(戰國)시대의 개시
진(晉)의 분열과 사마광의 예론 35
재승덕(才勝德)의 지백(智伯) 43
예양(豫讓), 위 문후(魏 文侯) 그리고 오기(吳起) 53
피살과 암살로 점철되는 상황 62
제후가 된 대부 전화(田和)와 모함 받은 오기 67
멸망하는 제후국과 기사회생하는 위 혜왕 77
권2 중원(中原)을 둘러싼 각국의 각축전
진 효공과 6국 대결의 발단 그리고 위앙 91
보배, 병법의 대가, 그리고 신불해(申不害) 102
강해지는 진(秦)과 방연의 죽음 110
상앙·오고대부(五?大夫)·맹자의 정치철학 117
소진의 합종책(合縱策) 전말 126
장의의 활약과 맹상군(孟嘗君)의 사람됨 137
권3 진(秦)의 세력 확장
진(秦)과 제(齊)의 정벌과 맹자의 논리 149
장의의 연형책과 대활약 162
무령왕과 선태후, 맹상군과 평원군 그리고 추연 177
권4 난세의 영웅들
불행한 초의 회왕과 조의 주부, 무도한 진 197
교만한 제왕들과 반성하는 백성들 206
조의 인상여와 염파 그리고 연의 낙의 219
위기 속의 제(齊)를 구한 전단(田單) 226
진에 땅을 바친 위와 진을 설득한 황헐(黃歇) 239
권5 강해지는 진(秦)과 망해버린 주(周)
조의 조사(趙奢)와 진의 재상 범휴(范?) 251
진(秦)에 대응하는 조·초·제 264
진의 강성화와 이에 대응하는 인물들 277
조를 구원한 신릉군, 여불위와 진시황 292
권5 진시황(秦始皇)의 등장
목숨을 부지한 범휴와 순경의 군사론 305
다툼하는 열국, 노중련과 신릉군 319
진의 확대와 5국 연합의 실패 331
춘신군, 여불위, 한비자의 죽음 344
원수를 갚으려 한 연 태자 단 355
권6 진시황의 중국통일
차례로 망하는 6국의 어리석은 사람들 365
시황제의 통일정책 377
시황제의 죽음과 제거된 몽씨들 391
폭압정치 속에서 다시 살아난 제후 세력들 399
권8 진(秦)나라의 멸망
스러져가는 호걸과 새로 등장하는 인물들 419
이사를 죽인 진으로 향하는 패공 유방 432
승리의 기세를 잡은 항우와 유방 445
진의 장한, 조고, 2세 황제의 최후 457
전국·진(秦)시대 각국 기년 비교표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만약에 범휴 같은 사람이라면 또한 진을 위하여 충성스러운 꾀를 낼 수 있는 사람은 아니고 바로 양후가 있던 자리를 얻으려 하였으니, 그러므로 그는 목을 쥐고 그것을 빼앗은 것뿐입니다. 드디어 진왕으로 하여금 모자의 의를 끊게 하였고, 외삼촌과 생질 간의 은혜를 잊게 하였습니다. 요컨대 범휴는 정말로 이울게 하고 위태롭게 하는 인사입니다.-p263 중에서
"내가 바라건대 한 개의 군을 얻어서 왕 노릇을 하고 싶소."
허락하지 않았다. 또 말하였다.
"바라건대 만호후가 되고 싶소."
허락하지 않았다. 말하였다.
"바라건대 처자와 더불어 검수가 되어서 여러 공자들처럼 살고 싶소."
염락이 말하였다. "신은 승상에게 명을 받아서 천하를 위하여 족하를 주살하는 것이고 족하가 비록 많은 말을 하였으나 나는 감히 보고하지 않을 것이요."-p463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