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생명과학 > 생명과학
· ISBN : 9788992525985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1-03-08
책 소개
목차
01 인종의 탄생 | 02 인종은 어떻게 인종이 되는가 | 03 인종을 반대하는 과학 | 04 유전 vs. 환경 | 05 DNA 연구, 닻을 올리다 | 06 인류의 조상 집단을 묻다 | 07 오늘날 유전자의 다양성에 대한 그림 | 08 인간 집단의 다양화 과정 | 09 인종 비즈니스 | 10 개의 유전자, 인간의 유전자 | 11 ‘인종’에 따른 고유한 유전병이 있을까? | 12 민족 맞춤형 의약품 | 13 유능한 인종과 무능한 인종 | 14 여정의 끝
책속에서
01 인종의 탄생
고대인들의 경제 시스템이 노예제도에 기초한 것이었다고는 해도 이들의 문명에서 일반적으로 한 개인이 자유인에 속하느냐 노예에 속하느냐는 겉모습이 아닌 (가족적 의미에서의) 출생 혹은 우발적인 전쟁에 의해 결정되었다. 한편 우리 시대와좀 더 가까운 르네상스 사회는 우리가 흔히 상상하는 것만큼 동질적이지는 않았다. 초대 피렌체 공작인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Alessandro de’Medici는 줄리오 데 메디치Giulio de’Medici와 아프리카인 부인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이 당시에는 언어와 종교가 소속 집단의 본질적인 요소였으며 지리적 출신은 미미한 역할만 했을 뿐이다.
심지어 독일의 인류학자 에른스트 헤켈Ernst Haeckel은 1874년 흑인종을 침팬지, 오랑우탄, 고릴라와 함께 유인원에 포함시켰다(그림3, 31쪽). 흑인종을 적어도 유인원과 인간 사이에 놓는 견해에 대해서만 그에게 동의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헤켈은 학계의 중심부에서 밀려난 광신자가 아니라 다윈의《종의 기원》을 독일어로 옮긴 권위 있는 번역자로, 독일 과학의 기초를 세운 저명 인사였다.
02 인종은 어떻게 인종이 되는가
인간 집단은 철저한 유전적 분석으로 정의하기에는 상당히 모호하며, 따라서 오늘날 통용되는 인종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다. 정치적으로 올바르면서 인종의 동의어로 간주되는 ‘민족ethnic group’이라는 용어도 마찬가지다. 한 민족은 무엇보다도 공통의 문화로 정의되며, 공통의 문화는 유전적 구성에서 유래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념적으로 중립적이며 효과적으로 측정될 수 있는 ‘조상’이라는 단어가 결국 가장 적합하다는 사실을 알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