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임상 고금 복증 신람

임상 고금 복증 신람

소천신, 이케다 다키오, 이케다 마사카즈 (지은이), 유재규, 백정흠, 이동관 (옮긴이)
의방출판사
7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임상 고금 복증 신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임상 고금 복증 신람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의약학간호계열 > 한의학 > 기초한의학
· ISBN : 9788992621403
· 쪽수 : 593쪽
· 출판일 : 2015-09-15

책 소개

복증의 강의를 보고 들고 읽으면서 복증을 자세히 알고 임상에서 정확히 진료하여 처방을 내고 침을 놓아 확실한 치료를 할 수 있게 했다. 古方을 臟腑의 八綱 辨證과 증치를 파악하여 처방과 침구치료를 병행할 수 있게 하였고, 복증을 통해 생리, 병리, 병인을 밝히고 자세한 처방해설하였다.

목차

序文
腹診法 序文
독자 여러분께
譯者 序文

總 論

제1장 腹證의 歷史와 意義
腹證의 起源과 種類
難經系의 腹診이 발달하지 못한 이유
傷寒論系의 腹診이 발달한 이유
藥物은 虛를 補하는 것인가? 毒을 瀉하는 것인가?

제2장 腹證 硏究의 問題點과 그 方法
1. 腹證 硏究의 問題點
腹證 硏究를 곤란하게 하는 이유
毒을 못보고 놓치는 것은 아닌가?
2. 腹證 硏究 方法論
腹證의 記錄 방법
背證과 椎體 X선 영상도 참고로 하다

제3장 腹診 部位의 名稱과 腹診 方法
1. 腹壁의 解剖
➊ 筋肉系
➋ 血管系
➌ 천층 림프계
➍ 神經系
➎ 요약
2. 腹診 部位의 名稱
➊ 胸部
➋ 上腹部
➌ 下腹部
➍ 腹診 部位를 결정한 이유
① 心下에 대하여 ② 臍傍에 대하여
③ 鼠蹊 上部에 대하여
3. 腹診 方法
➊ 手順
➋ 表皮의 진찰
① 視診 所見 ② 觸診 所見
➌ 皮下組織의 觸診
① 臍 直上部 ② 臍 左右 ③ 臍 下方
➍ 筋膜 및 筋鞘의 觸診
➎ 筋肉의 觸診
➏ 腹腔 內 觸診

제4장 背診 部位의 名稱과 背診 方法
1. 背診部位의 名稱
➊ 後頭部
➋ 項部
➌ 肩背部
➍ 背部
➎ 腰部
➏ 臀部
2. 背診 方法
➊ 順序
➋ 視診上의 注意
➌ 觸診上의 注意
① 後頭部 ② 項部 ③ 肩背部
④ 背部 ⑤ 腰臀部

제5장 腹中 諸塊에 대하여

➊ 食塊
➋ 風塊
實例
➌ 氣塊
➍ 血塊
實例
➎ 胎姙塊
➏ 水塊
➐ 飮癖塊
➑ 燥屎塊
➒ 生肉塊
實例 食塊

제6장 한의학 기초이론
1. 陰陽論
➊ 自然界의 陰陽
➋ 人體의 陰陽
① 素問에 의한 구별
② 經絡에 의한 구별
③ 湯液家의 구별
➌ 作用으로서 陰陽
① 氣에 대하여
② 血에 대하여
③ 津液에 대하여
④ 陽氣
⑤ 陰氣
2. 虛實에 대하여
➊ 虛란?
➋ 實이란?
➌ 證狀의 虛實
3. 한의학의 생리학
➊ 氣血의 生成과 循環
➋ 肝의 生理
➌ 心의 生理
➍ 脾의 生理
➎ 肺의 生理
➏ 腎의 生理
4. 한의학의 병리론
➊ 太陽病
➋ 陽明經病
➌ 少陽病
➍ 陽明病
➎ 少陰病
➏ 太陰病
➐ 厥陰病
➑ 肝虛證
➒ 心虛證
➓ 脾虛證
⓫ 肺虛證
⓬ 腎虛證

제7장 藥物과 經穴
1. 主要 藥物의 藥理와 藥效
➊ 藥物 各論
➋ 氣味의 해설
2. 主要 經穴의 사용법
➊ 取穴의 基本
➋ 取穴의 實際

제8장 기타 진찰법

1. 望診方法
2. 脈診方法
➊ 脈診方法의 종류
➋ 寸口部의 脈診方法
➌ 六部位의 脈狀
➍ 趺陽의 脈診方法
➎ 少陰의 脈診方法
➏ 손의 脈과, 발의 脈의 關係에 대하여
各 論

제1장 胸部의 腹證

1. 風引湯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風引湯證의 鍼灸治療 腎虛心肺熱證
➊ 風引湯의 腹證解說 胸熱
➋ 風引湯의 病因 中風
➌ 風引湯의 病理 腎虛와 心肺의 熱
➍ 風引湯의 病症 癲癎發作
➎ 風引湯의 脈證 大하고 有力
➏ 風引湯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症例 1 癲癎 風引湯合柴胡桂枝湯
症例 2 腦動脈脈瘤 수술 후의 癲癎發作 ․ 風引湯合柴胡桂枝湯
症例 3 癲癎 風引湯合柴胡加龍骨牡蠣湯
➑ 附記, 風引湯에 대하여


2. 越婢湯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越婢湯證의 鍼灸治療 脾虛肺大腸熱證
➊ 越婢湯의 腹證解說 胸熱
➋ 越婢湯의 病因 風邪
➌ 越婢湯의 病理 水氣病 風水
➍ 越婢湯의 病症 關節痛
➎ 越婢湯의 脈證 浮 또는 沈하고 有力
➏ 越婢湯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症例 1 膝關節炎 ․ 越婢湯
症例 2 喘息 ․ 越婢加半夏湯
➑ 附記, 越婢湯의 類方解說
3. 凉膈散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凉膈散證의 鍼灸治療
脾虛陽明經 胃 大腸 實熱證
➊ 凉膈散의 腹證解說 心下와 胸部 熱
➋ 凉膈散의 病因 飮食
➌ 凉膈散의 病理 陽明經과 胃大腸의 熱實
➍ 凉膈散의 病症 口內炎
➎ 凉膈散의 脈證 沈數實
➏ 凉膈散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症例 1 류마티스와 膀胱炎 ․ 凉膈散
➑ 附記, 凉膈散의 類方解說

4. 白虎湯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白虎湯證의 鍼灸治療 脾虛肺熱證
➊ 白虎湯의 腹證 해설 胸熱
➋ 白虎湯의 病因 溫病 傷寒誤治
➌ 白虎湯의 病理 陽明經과 肺大腸의 熱
➍ 白虎湯의 病症 口渴
➎ 白虎湯의 脈證 浮大 浮滑 洪大
➏ 白虎湯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症例 1 蕁麻診 ․ 白虎加桂枝湯
症例 2 糖尿病 ․ 大柴胡合白虎加人蔘湯
➑ 附記, 白虎湯과 四逆湯의 감별점


제2장 胸脇部의 腹證
胸脇部에 나타나는 腹證의 종류
1. 胸脇苦滿의 實際
2. 脇下硬과 胸脇苦滿의 감별
症例 1 高血壓證 ․ 小柴胡湯
1. 小柴胡湯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小柴胡湯證의 鍼灸治療 脾虛肝實證
➊ 小柴胡湯의 腹證解說 胸脇苦滿
➋ 小柴胡湯의 病因 傷寒 및 中風 産後 飮食
➌ 小柴胡湯의 病理 脾虛少陽經 厥陰經 膽의 熱實
➍ 小柴胡湯의 病症 往來寒熱
➎ 小柴胡湯의 脈證 弦 또는 沈澁實
➏ 小柴胡湯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➑ 附記, 人蔘의 藥能에 대하여
獨蔘湯의 症例
竹節人蔘과 韓國人蔘의 적절한 사용법

2. 大柴胡湯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大柴胡湯證의 鍼灸治療 脾虛胃肝實熱證
➊ 大柴胡湯의 腹證解說 胸脇苦滿 心下急鬱鬱微煩
➋ 大柴胡湯의 病因 中風 傷寒 飮食
➌ 大柴胡湯의 病理 脾虛로 腑와 少陽經 厥陰經의 熱實
➍ 大柴胡湯의 病症 日晡所發熱
➎ 大柴胡湯의 脈證 沈實
➏ 大柴胡湯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➑ 附記, 心下痞硬과 胸脇苦滿

3. 柴胡桂枝乾薑湯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柴胡桂枝乾薑湯證의 鍼灸治療 七十五難肺虛肝實證
➊ 柴胡桂枝乾薑湯의 腹證解說 胸脇滿微結
➋ 柴胡桂枝乾薑湯의 病因 熱病의 誤治 內因
➌ 柴胡桂枝乾薑湯의 病理 肺腎의 虛와 肝實 心實
➍ 柴胡桂枝乾薑湯의 病症 口渴 小便不利
➎ 柴胡桂枝乾薑湯의 脈證 沈弦
➏ 柴胡桂枝乾薑湯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➑ 附記, 難經의 七五難에 대하여

4. 柴胡桂枝湯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柴胡桂枝湯證의 鍼灸治療 脾虛少陽經實證
➊ 柴胡桂枝湯의 腹證解說 心下支結
➋ 柴胡桂枝湯의 病因 傷寒 中風 內因
➌ 柴胡桂枝湯의 病理 脾虛陽虛로 少陽經의 熱實
➍ 柴胡桂枝湯의 病症 식욕부진 上腹部痛
➎ 柴胡桂枝湯의 脈證 沈澁細
➏ 柴胡桂枝湯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➑ 附記, 柴胡劑의 合方劑에 대하여

5. 柴胡加龍骨牡蠣湯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柴胡加龍骨牡蠣湯證의 鍼灸治療 腎虛肝心胃의 實證
➊ 柴胡加龍骨牡蠣湯의 腹證解說 胸脇苦滿과 胸熱
➋ 柴胡加龍骨牡蠣湯의 病因 熱病의 誤治
➌ 柴胡加龍骨牡蠣湯의 病理 腎虛心熱로 少陽經과 胃經의 熱
➍ 柴胡加龍骨牡蠣湯의 病症 胸滿 煩驚
➎ 柴胡加龍骨牡蠣湯의 脈證 弦大하고 有力
➏ 柴胡加龍骨牡蠣湯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➑ 附記, 鉛丹에 대하여
鉛丹의 藥能

6. 柴胡淸肝散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柴胡淸肝散證의 鍼灸治療 肺虛肝實證
➊ 柴胡淸肝散의 腹證解說 胸脇苦滿 胸熱 四物湯腹證
➋ 柴胡淸肝散의 病因 素因
➌ 柴胡淸肝散의 病理 肺腎의 虛로 肝과 心熱
➍ 柴胡淸肝散의 病症 扁桃腺炎
➎ 柴胡淸肝散의 脈證 弦虛
➏ 柴胡淸肝散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➑ 附記, 一貫堂醫學에 대하여
7. 四逆散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四逆散證의 鍼灸治療 脾虛肝實
➊ 四逆散의 腹證解說 脇下硬
➋ 四逆散의 病因 熱病의 誤治 七情 음식
➌ 四逆散의 病理 肝實과 瘀血
➍ 四逆散의 病症 上腹部痛과 어깨 뭉침
➎ 四逆散의 脈證 弦大 또는 沈澁細
➏ 四逆散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➑ 附記. 四逆散의 變方에 대하여

8. 抑肝散加陳皮半夏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抑肝散加陳皮半夏證의 鍼灸治療 肝虛陰虛證
➊ 抑肝散加陳皮半夏의 腹證解說 臍傍의 動悸
➋ 抑肝散加陳皮半夏의 病因 素因 出産 精神勞動
➌ 抑肝散加陳皮半夏의 病理 血虛內熱
➍ 抑肝散加陳皮半夏의 病症 强迫神經症
➎ 抑肝散加陳皮半夏의 脈證 弦大하고 虛
➏ 抑肝散加陳皮半夏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➑ 附記, 動悸에 대하여

제3장 心下部의 腹證
心下에 나타나는 腹證의 종류
心下痞硬, 心下痞堅, 心下堅, 心下堅滿,
心下堅塊, 心下滿痛, 心下硬, 心下支結,
心下支飮, 心下痛, 心下濡, 心下滿,
心下悸逆滿, 心下急鬱鬱微煩.

1. 苓桂朮甘湯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苓桂朮甘湯의 鍼灸治療 脾虛腎虛證
➊ 苓桂朮甘湯의 腹證解說 心下悸逆滿
➋ 苓桂朮甘湯의 病因 熱病의 誤治 음식
➌ 苓桂朮甘湯의 病理 痰飮과 陽虛
➍ 苓桂朮甘湯의 病症 眩暈 動悸
➎ 苓桂朮甘湯의 脈證 沈緊
➏ 苓桂朮甘湯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➑ 附記, 心下痞硬에 대하여
1. 內臟體壁反射에 대하여
2. 內臟體壁知覺反射
3. 內臟體壁榮養反射
4. 內臟體壁自律系反射
5. 內臟體壁血管反射
2. 茯苓杏仁甘草湯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茯苓杏仁甘草湯의 鍼灸治療 脾虛陽虛證
➊ 茯苓杏仁甘草湯의 腹證解說 胸痞 心下痞硬
➋ 茯苓杏仁甘草湯의 病因 虛勞
➌ 茯苓杏仁甘草湯의 病理 胸의 血虛에 의한 陽虛
➍ 茯苓杏仁甘草湯의 病症 動悸 心痛
➎ 茯苓杏仁甘草湯의 脈證 陽微陰弦
➏ 茯苓杏仁甘草湯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➑ 附記, 組織間液의 內臟體壁反射에 대하여
1. 水氣에 대하여
2. 體液의 循環에 대하여
3. 體液區分과 組織間液
4. 組織間液의 內臟體壁反射

3. 苓甘薑味辛夏仁湯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苓甘薑味辛夏仁湯의 鍼灸治療 腎虛陽虛證
➊ 苓甘薑味辛夏仁湯의 腹證解說 心下痞 및 痞硬
➋ 苓甘薑味辛夏仁湯의 病因 誤治 음식
➌ 苓甘薑味辛夏仁湯의 病理 痰飮과 陽虛
➍ 苓甘薑味辛夏仁湯의 病症 咳嗽 喘
➎ 苓甘薑味辛夏仁湯의 脈證 沈弱澁
➏ 苓甘薑味辛夏仁湯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➑ 附記, 度量衡에 대하여

4. 五苓散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五苓散證의 鍼灸治療 脾虛, 膀胱熱
➊ 五苓散의 腹證 해설 心下痞와 痞硬
➋ 五苓散의 病因 熱病의 誤治 음식
➌ 五苓散의 病理 膀胱熱
➍ 五苓散의 病症 口渴 小便不利
➎ 五苓散의 脈證 浮數 또는 沈
➏ 五苓散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➑ 附記, 鬱病에 대하여

5. 桂枝去桂加茯苓白朮湯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桂枝去桂加茯苓白朮湯證의 鍼灸治療 脾虛胃虛熱證
➊ 桂枝去桂加茯苓白朮湯의 腹證 해설 心下滿微痛
➋ 桂枝去桂加茯苓白朮湯의 病因 熱病의 誤治
➌ 桂枝去桂加茯苓白朮湯의 病理 胃虛熱과 痰飮
➍ 桂枝去桂加茯苓白朮湯의 病症 頭項强痛
➎ 桂枝去桂加茯苓白朮湯의 脈證 沈弦
➏ 桂枝去桂加茯苓白朮湯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277
➑ 附記, 茯朮劑에 대하여

6. 六君子湯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六君子湯證의 鍼灸治療 脾虛胃虛證
➊ 六君子湯의 腹證解說 心下痞硬
➋ 六君子湯의 病因 素因 內因 음식
➌ 六君子湯의 病理 脾虛陽虛와 痰飮
➍ 六君子湯의 病症 食慾不振
➎ 六君子湯의 脈證 沈弱
➏ 六君子湯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291
➑ 附記, 心下의 病症과 한약 292

7. 補氣建中湯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補氣建中湯의 鍼灸治療 脾虛膀胱熱證
➊ 補氣建中湯의 腹證解說 心下痞硬
➋ 補氣建中湯의 病因 素因 內因 음식
➌ 補氣建中湯의 病理 脾虛膀胱의 熱
➍ 補氣建中湯의 病症 小便不利 부종
➎ 補氣建中湯의 脈證 沈細數
➏ 補氣建中湯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➑ 附記, 한약 구성과 腹證
小柴胡湯 半夏瀉心湯 黃連湯의 腹證 比較 鑑別

8. 桂枝加朮苓附湯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桂枝加朮苓附湯證의 鍼灸治療 脾虛陽虛證
➊ 桂枝加朮苓附湯의 腹證解說 心下痞硬
➋ 桂枝加朮苓附湯의 病因 濕邪
➌ 桂枝加朮苓附湯의 病理 肺腎의 虛와 胃의 陽虛
➍ 桂枝加朮苓附湯의 病症 關節痛
➎ 桂枝加朮苓附湯의 脈證 浮虛
➏ 桂枝加朮苓附湯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310
➑ 附記, 桂枝湯에 대하여

9. 眞武湯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眞武湯證의 鍼灸治療 脾虛腎虛證
➊ 眞武湯의 腹證解說 心下痞硬과 腹冷
➋ 眞武湯의 病因 熱病의 誤治와 腹冷
➌ 眞武湯의 病理 胃의 陽虛와 腎의 陽虛
➍ 眞武湯의 病症 目弦
➎ 眞武湯의 脈證 沈弱
➏ 眞武湯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➑ 附記, 脾虛腎虛證에 대하여

10. 木防己湯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木防己湯證의 鍼灸治療 脾虛肺熱證
➊ 木防己湯의 腹證解說 心下痞堅
➋ 木防己湯의 病因 飮食
➌ 木防己湯의 病理 支飮
➍ 木防己湯의 病症 喘 動悸
➎ 木防己湯의 脈證 沈緊
➏ 木防己湯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333
➑ 附記, 防己와 朮의 品考

11. 小陷胸湯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小陷胸湯證의 鍼灸治療 脾虛肺熱證
➊ 小陷胸湯의 腹證解說 心下痛
➋ 小陷胸湯의 病因 熱病의 誤治
➌ 小陷胸湯의 病理 小結胸
➍ 小陷胸湯의 病症 胸痛
➎ 小陷胸湯의 脈證 浮滑
➏ 小陷胸湯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➑ 附記, 括蔞實이 포함된 처방

12. 大承氣湯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大承氣湯證의 鍼灸治療 脾虛胃實熱證
➊ 大承氣湯의 腹證解說 心下堅滿
➋ 大承氣湯의 病因 熱病의 誤治
➌ 大承氣湯의 病理 陽明熱의 熱實
➍ 大承氣湯의 病症 便秘 潮熱
➎ 大承氣湯의 脈證 沈實
➏ 大承氣湯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➑ 附記, 承氣湯類에 대하여
調胃承氣湯 外
13. 九味檳榔湯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九味檳榔湯證의 鍼灸治療 肝虛陰虛證
➊ 九味檳榔湯의 腹證解說 心下痞 및 痞硬
➋ 九味檳榔湯의 病因 中風과 濕邪
➌ 九味檳榔湯의 病理 歷節風
➍ 九味檳榔湯의 病症 關節痛
➎ 九味檳榔湯의 脈證 浮滑
➏ 九味檳榔湯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366
➑ 附記, 外證을 위주로 證을 결정하는 경우

14. 半夏瀉心湯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半夏瀉心湯證의 鍼灸治療 脾虛陽虛證
➊ 半夏瀉心湯의 腹證解說 心下痞硬
➋ 半夏瀉心湯의 病因 熱病의 誤治
➌ 半夏瀉心湯의 病理 上焦熱中焦寒
➍ 半夏瀉心湯의 病症 心下痞 腸鳴
➎ 半夏瀉心湯의 脈證 沈弦
➏ 半夏瀉心湯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375
➑ 附記, 그 외 芩連劑에 대하여

제4장 下腹部의 腹證

진단부위의 설명
1. 臍上部 2. 臍傍部 3. 臍下部
4. S자上部 5. 鼠蹊 上部 6. 膀胱部
7. 恥骨周邊部 8. 廻盲部 9. 側腹部

下腹部에서의 自他覺 증상
1. 腹中痛 또는 腹中急痛 2. 少腹急結
3. 少腹硬滿 및 少腹滿
4. 少腹不仁 및 少腹拘急 5. 癥痼

1. 小建中湯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小建中湯證의 鍼灸治療 脾虛陰虛證
➊ 小建中湯의 腹證解說 腹皮拘急
➋ 小建中湯의 病因 虛勞
➌ 小建中湯의 病理 裏虛 裏急
➍ 小建中湯의 病症 腹痛
➎ 小建中湯의 脈證 浮大
➏ 小建中湯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➑ 附記, 催瘀血에 대하여
1. 胎毒性瘀血 2. 感染性瘀血
3. 治療藥劑性瘀血 4. 外傷性瘀血
5. 産褥性瘀血 6. 生活環境性瘀血
7. 手術性瘀血 8. 毒物性瘀血
9. 食毒性瘀血 10. 氣毒性瘀血


2. 桃核承氣湯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桃核承氣湯證의 鍼灸治療 腎虛證
➊ 桃核承氣湯의 腹證解說 少腹急結
➋ 桃核承氣湯의 病因 熱病의 誤治 出産 外
➌ 桃核承氣湯의 病理 瘀血 熱實
➍ 桃核承氣湯의 病症 狂狀
➎ 桃核承氣湯의 脈證 沈澁實
➏ 桃核承氣湯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➑ 附記. 古典書籍에 기재되어 있는 瘀血에 대하여

3. 桂枝茯苓丸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桂枝茯苓丸證의 鍼灸治療 脾虛肝實證
➊ 桂枝茯苓丸의 腹證解說 臍傍部의 瘀血性저항
➋ 桂枝茯苓丸의 病因 姙娠 出産 流産
➌ 桂枝茯苓丸의 病理 瘀血
➍ 桂枝茯苓丸의 病症 月經不順
➎ 桂枝茯苓丸의 脈證 沈澁
➏ 桂枝茯苓丸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421
➑ 附記, 腹證奇覽의 腹證圖에 대하여

4. 抵當湯(丸)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抵當湯(丸)證의 鍼灸治療 腎虛肝實證
➊ 抵當湯(丸)의 腹證解說 少腹硬滿
➋ 抵當湯(丸)의 病因 熱病의 誤治
➌ 抵當湯(丸)의 病理 瘀血 熱實
➍ 抵當湯(丸)의 病症 狂
➎ 抵當湯(丸)의 脈證 沈實遲 또는 數
➏ 抵當湯(丸)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➑ 附記, 其他 瘀血劑에 대하여

5. 八味丸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八味丸證의 鍼灸治療 腎虛證
➊ 八味丸의 腹證解說 少腹不仁 및 拘急
➋ 八味丸의 病因 虛勞 中風 外
➌ 八味丸의 病理 血燥 水滯
➍ 八味丸의 病症 腰痛
➎ 八味丸의 脈證 沈滑 또는 浮大
➏ 八味丸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446
➑ 附記, 鬱血性盲腸症의 提唱 449

6. 當歸芍藥散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當歸芍藥散證의 鍼灸治療 腎虛證
➊ 當歸芍藥散의 腹證解說 下腹部의 水滯
➋ 當歸芍藥散의 病因 姙娠 出産 流産 外
➌ 當歸芍藥散의 病理 腎虛에 의한 水滯
➍ 當歸芍藥散의 病症 冷症
➎ 當歸芍藥散의 脈證 浮大 또는 沈虛
➏ 當歸芍藥散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➑ 附記, 腹證에서 倂證에 대하여

7. 四物湯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四物湯證의 鍼灸治療 肝虛證
➊ 四物湯의 腹證解說 鼠蹊 上部의 압통
➋ 四物湯의 病因 出産 流産 外
➌ 四物湯의 病理 血虛
➍ 四物湯의 病症 貧血
➎ 四物湯의 脈證 沈細堅
➏ 四物湯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471
➑ 附記, 四物湯과 그 類方의 腹證에 대하여
1. 들어가기
2. 四物湯의 文獻的 考察
3. 症例에 따른 四物湯 腹證의 槪要
4. 定型的인 四物湯의 腹證에 대하여
5. 桃核承氣湯과의 감별에 대하여
6. 加減法에 대하여
7. 腹證을 基礎로 한 加減隨證치료법에 대하여
8. 合方 또는 兼用의 隨證치료법에 대하여

Ⓐ 下腹에서
Ⓑ 心下部에서
Ⓒ 胸脇部에서
Ⓓ 三焦의 淸熱을 목적으로 할 때
Ⓔ 淸肺四物湯의 方意에 대한 考察
❾ 總括 501

8. 當歸四逆加吳茱萸生薑湯의 腹證
처방내용과 복용방법
當歸四逆加吳茱萸生薑湯證의 鍼灸治療 肝虛陽虛證
➊ 當歸四逆加吳茱萸生薑湯의 腹證解說 久寒
➋ 當歸四逆加吳茱萸生薑湯의 病因 熱病 出産 外
➌ 當歸四逆加吳茱萸生薑湯의 病理 亡血
➍ 當歸四逆加吳茱萸生薑湯의 病症 手足冷
➎ 當歸四逆加吳茱萸生薑湯의 脈證 沈細澁
➏ 當歸四逆加吳茱萸生薑湯의 處方解說
➐ 臨床例
➑ 附記, 國際瘀血診斷基準試案에 대하여
1. 들어가기
2. 中國血瘀證診斷施行基準에 대하여
3. 瘀血에 대한 筆者의 생각
4. 瘀血의 腹證을 必須項目으로 한 이유
5. 泌尿器障害일 때
6. 結語
7. 國際瘀血診斷基準試案
8. 總括
後記
찾아보기
처방해설과 복증 찾아보기
복증 찾아보기
치험예, 병증과 증상 찾아보기
본초 찾아보기
參考文獻

저자소개

소천신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5년 岡山大學 醫學部 卒業. 醫學博士. 岡山大學 제2외과에 근무. 그 후 社會保險廣島市民病院의 외과부장으로 활약, ‘외과의 시민병원’이라는 명성을 날렸다. 동시에 東洋醫學의 연구를 계속하여, 1953년 廣島市에 한방약치료와 침구치료를 주로 하는 大慈小川外科醫院을 개설하였다. 각 방면에서 활약했지만, 특히 瘀血證과 腹證의 연구에 조예가 깊었다. 代表著書로「腹證에의 勸誘」(비디오테이프, 漢方과 水와 健康을 漢方日本圖書社)
펼치기
이케다 다키오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8년 行岡學園鍼灸科 卒業. 1960년 今治市에 鍼灸治療專門 治療院을 개설. 1967년 有限會社 池田療院을 개설하여 현재에 이름. 鍼灸의 古典治療를 井上惠理에게 師事하고, 바쁘게 임상을 하면서, 後進의 指導와 經絡治療의 보급에 힘쓰고 있다. 현재 經絡治療學會中西國支部長, 經絡治療夏期大學講師. 代表著書로 『鍼灸治療室』(醫道의 日本社-共著)
펼치기
이케다 마사카즈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8년 明治東洋醫學院鍼灸科卒業. 韓方藥과 鍼灸를 결합한 治療大系의 確立을 일생의 목표로 삼고, 鍼灸는 池田太喜男에게 師事하고, 韓方藥은 荒木性次에게 師事, 古典의 解讀은 小曾戶丈夫와 小寺敏子에게 師事, 腹證診斷法은 小川新에게 師事. 현재 漢方專門藥局과 鍼灸治療院을 개설. 漢方硏究同人陰陽會會長. 著書로 『圖解鍼灸醫學入門』(醫道의 日本社-共著) 素問, 靈樞, 難經, 傷寒論, 金?要略 各 핸드북(醫道의 日本社) 그 외.
펼치기
유재규 (옮긴이)    정보 더보기
누리병원 대표원장 전) 청뇌메디칼네크워크 대표원장 전) 함소아한의원 잠실본원 원장 전) 인천 산재의료원내 인천중앙한방병원장 한방 알레르기 학회 정회원 한방 신경정신과학회 정회원 한방 소아과학회 정회원 대한 약침학회 정회원 척추진단교정학회 정회원 제형통증학회 정회원
펼치기
백정흠 (옮긴이)    정보 더보기
목 푸는 한의사 백정흠 원장은 “목뼈를 바로잡고, 목 근육을 풀면 뇌가 온몸을 치료한다.”는 원칙을 고수하며 15년간 약 15만 명의 환자를 치료했다. 목과 어깨의 통증뿐만 아니라 자율신경실조증, 소화장애, 안구건조, 안면비대칭, 갱년기증후군 등을 손(수기치료)과 자연(한약)으로 다스려왔다. 평생 갖고 사는 병이라고 알려진 난치성 질환도 목풀이로 완치해 서울 강남의 직장인들 사이에서 입소문이 자자하다. 선릉역에서 소마한의원을 운영하고 있다.
펼치기
이동관 (옮긴이)    정보 더보기
李東官韓醫院 院長 現) 大韓東醫方藥學會 正會員 現) 東醫科學硏究所 正會員 現) 大韓 免疫藥鍼學會 正會員 現) 大韓 藥鍼學會 正會員 前) 韓方 皮膚美容成形學會 正會員 譯書 : 『身體均整法』(手嶋昇 著)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