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요리/살림 > 결혼/가족 > 부부관계
· ISBN : 9788992654371
· 쪽수 : 400쪽
· 출판일 : 2010-09-15
책 소개
목차
제1부 사랑에 대한 새로운 조명
사랑의 진화론적 관점
애착에 대한 새로운 이해 / 성인의 사랑 / 사랑에 대한 다양한 증거
유대감 상실: 우리의 사랑이 어디로 사라졌나요?
근원적 공포 / 부정적 대화방식 / 애착이 형성되고 분리되는 순간
정서적 반응: 사랑을 유지시키는 열쇠
정서중심적 부부치료의 탄생 / 정서적 접근, 반응 및 교감(A.R.E.) / 일곱 가지 대화법
제2부 부부관계를 강화하는 7가지 대화법
제1대화법: 파악하기 - 부정적 대화방식을 밝혀라
부정적 대화방식 1: 나쁜 사람 찾기 / 정적 대화방식 2: 항의하기 / 부정적 대화방식 3: 냉담과 회피
제2대화법: 뿌리 찾기 - 원상처를 찾아라
원상처가 자극받은 순간을 인식하기 / 배우자와 나누기
제3대화법: 돌아가기 - 갈등의 시작으로 돌아가라
거리감을 줄이기 / 배우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기 / 두려움이 배우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인식하기
제4대화법: 요청하기
안아 달라고 요청하라 / 고통에 빠진 어느 부부 / 내가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무엇인가 / 실습하기 / 내가 가장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 / 조화에 대한 신경과학적 접근
제5대화법: 용서하기
상처를 용서하라 / 작은 사건, 큰 결과 / 용서의 6단계
제6대화법: 접촉하기
신체적으로 접촉하라 / 감각적인 성 / 정서적인 성 / 조화로운 성 / 성문제 풀어가기
제7대화법: 유지하기
사랑을 생기 있게 유지하라 / 위기 상황을 우회하기 / 결합되는 순간을 기념하기 / 분리와 결합의 순간을 의식으로 기념하기 / 안전감 우선 / 관계 회복 이야기 만들기 / 미래의 사랑 이야기 만들기 / 긍정적 변화를 유지하기: 새로운 사랑의 틀을 만들기
정신적 외상의 치유: 사랑의 힘
감정 차단하기 / 사랑하는 사람에게 돌아가기 / 정신적 외상의 영향
근원적인 결합: 마지막 희망‘사랑’
사랑이 하는 일 / 큰 파문 / 연인의 사랑과 가족의 사랑 / 인간 사회 / 고립 상태에 머물러 있기 / 가장 큰 장애물
리뷰
책속에서
# 동료가 나에게“부부의 사랑이 단순한 거래가 아니라면 도대체 무엇인가요?”라고 불쑥 질문했다. 그때 나는 담담하게 대답하고 있었다. “정서적 결합이에요. 인간은 누군가와 정서적으로 안전하게 결합하고 싶은 욕구가 있어요. 이에 대해서 영국의 정신과 의사인 볼비가 애착이론에서 부모-자녀 관계를 통해서 이미 설명한 바 있는데, 성인에게도 그와 유사한 일들이 벌어지고 있어요.”
이후 우리는 더욱 활발한 논쟁을 벌이면서 비로소 부부에게 나타나는 불만과 절망적인 행동 이면에 숨어 있는 예리한 논리를 발견하였다. 나는 부부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이며, 정서중심적 부부치료를 통해서 어떻게 관계를 변화시킬 수 있을지 깨닫게 되었다. 낭만적인 사랑은 애착행위이며 정서적 결합이다. 누군가에게 의지하고 싶고 정서적으로 결합하여 위로받고 싶은 내적 욕구가 바로 성인의 사랑이다.
하지만 내가 이러한 견해를 발표하려 하자 동료들이 반대했다. 그들이 반대했던 첫 번째 이유가 성인은 감정을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사실 지나친 감정은 부부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감정은 통제되어야 하고, 굳이 깊게 이해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동료들이 반대했던 가장 큰 이유는 건강한 어른이라면 자기 충족감을 가져야 한다는 생각에서 비롯되었다. 타인에게 의존하는 사람은 문제가 많다는 것이다. 이런 이들을 과도하게 밀착되어 있고, 너무 의존적이고, 주체성이 없고, 융합된 사람으로 묘사했다. 한마디로 혼란스럽고 못난 사람이라는 것이다. 배우자에게 의존적인 사람이 결혼을 망친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동료들은 치료자의 역할은 부부가 각자 독립할 수 있도록 격려해 주는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 정서중심적 부부치료는 자기주장법, 자신의 과거 분석, 낭만적인 태도, 새로운 성 체위의 개발을 강조하지 않는다. 대신에 부모가 따뜻한 위로와 보호를 통해서 자녀를 양육하듯이 부부 사이에도 정서적 애착과 지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부모-유아의 애착에서는 부모가 거의 전적으로 양육, 위로, 보호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달리 성인의 애착은 호혜적으로 동등하게 주고받는 관계가 되어야 하며, 신체적인 접촉은 덜 강조된다. 무엇보다 성인과 부모-유아 애착의 공통점은 정서적 결합이 중요하다는 점이다. 정서중심적 부부치료는 애정이 넘치는 부부관계를 회복하고 부부가 정서적으로 결합할 수 있게 도와준다. 이를 통해서 부부는 배우자의 입장을 이해하고 활발하게 반응하게 된다.
# ‘나를 꼬옥 안아 달라’고 부탁할 수 있는 애착 대상을 찾는 것은 인간의 기본 욕구로 우리의 유전자에 이미 자리 잡고 있다. 애착 대상을 향한 욕구는 음식, 주거, 성을 향한 욕구와 마찬가지로 인간의 생존, 건강, 행복을 향한 기본 욕구의 하나다. 인간은 신체적·정신적으로 건강하게 생존하기 위해서 정서적 애착 대상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