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고대철학 > 플라톤
· ISBN : 9788992801218
· 쪽수 : 424쪽
· 출판일 : 2011-10-25
책 소개
목차
등장 인물
Ⅰ『쉼포지온』이란 무엇인가
1.『쉼포지온』의 서론
2.『쉼포지온』의 저술 시기
3. 쉼포지온(Symposion)
4. 에로스(Eros)
5.『쉼포지온』의 구조
6. 소크라테스(디오티마)의 논의와 다섯 논의의 관계
Ⅱ『쉼포지온』의 해설
1.『쉼포지온』의 도입부
2. 아리스토텔레스의 서언
3. 파이드로스의 논의
4. 파우사니아스의 논의
5. 첫 번째 막간
6. 에뤽시마코스의 논의
7. 두 번째 막간
8. 아리스토파네스의 논의
9. 세 번째 막간
10. 아가톤의 논의
11. 네 번째 막간
12. 소크라테스와 아가톤의 논쟁
13. 소크라테스(디오티마)의 논의
14. 다섯 번째 막간
15. 알키비아데스의 논의
16.결말
저자후기
후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플라톤은 역사적 사실의 모든 면에 대하여 글자 그대로의 사실에 충실하지 않고, 자신의 문학적 목적의 필요성에 맞도록 인물을 각색했고 짜 맞추었다. 따라서 우리는『쉼포지온』에 등장하는 이러한 인물들을 실제의 역사적인 개인들이 아니라 그들의 직업을 대표하는 인물로 파악하여야 하고(···) 더욱이 아가톤의 만찬에 참석한 인물들에서 아리스토파네스와 소크라테스를 제외하고서 모든 논의 자들은 소피스트의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다. 플라톤은 『쉼포지온』에서 소피스트 교육의 헛된 지식을 보여주고자 의도한다.(20~21쪽)
성적인 대상에 대한 강렬한 욕망이 에로스에서 비롯된다면, 성교(성적인 교접)는 아프로디테 여신의 영역이다. 아프로디테와 에로스는 다소 다른 방식으로 욕망을 지니게 하고 사랑에 빠지게 하는, 힘이나 감정의 인격화이다.(32쪽)
『쉼포지온』에서 에로스는 무엇보다도 동성에 대한 강렬한 욕망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에로스는 성인인 사랑하는 남성(사랑하는 사람)이 미동인 사랑받는 소년(사랑받는 소년)에게 느끼는 에로스이고, 그것은 그 소년에 의하여 성적인 만족을 충족시키려는 욕망이다.
(···)『쉼포지온』의 에로스는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남녀 사이의 낭만적인 사랑과는 거리가 멀다. 이러한 사회적 관습에 대한 희랍의 용어는 소년-사랑이다. 그렇기에 ‘아름다운’이라는 말은 아니든 사랑하는 남성의 욕망의 대상인 사랑받는 소년에 대하여 널리 쓰이는 말이었다.(37~3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