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정치외교학 > 정치학일반
· ISBN : 9788992803083
· 쪽수 : 628쪽
· 출판일 : 2008-07-17
책 소개
목차
역자서문 _ ⅲ
감사의말 _ ⅹⅲ
1. 서 론 1
2. 동아시아의 지리적 소개 13
육지와 바다 _ 21
자원으로서 기후 _ 27
물 _ 30
에너지와 광물 _ 33
자연 식생(植生)과 그 활용 _ 35
결론 _ 38
3. 역사적 맥락 41
동아시아지역 사람들의 뿌리 찾기 _ 44
과거의 정치적 패턴과 ‘국가’ _ 47
무역, 탐험, 선교 _ 69
제국주의 및 식민지 시대 _ 73
민족주의의 발달과 영향 _ 80
결론 _ 91
4. 정 치 95
공산주의 정권 _ 100
군부통치 _ 115
제한적 민주주의체제 _ 126
결론 _ 141
5. 경 제 145
동아시아의 기적 _ 147
동아시아의 경제 위기 _ 167
동남아의 경제체제들과 ASEAN의 역할 _ 176
동아시아지역에서의 중국의 부상 _ 185
동아시아 경제체제의 미래 _ 192
6. 국제관계 199
역사적 배경 _ 201
탈냉전시대 동북아시아 _ 213
동남아시아 _ 238
아시아.태평양 전체차원? _ 255
7. 군사.안보 이슈 265
글로벌 동향의 중요성 _ 267
최근 지역안보의 역동성을 결정하는 핵심요인 _ 268
지역 역동성과 동향 _ 275
주요 안보 이슈 _ 280
일본 _ 290
중국 _ 296
남북한 _ 303
동남아시아 _ 307
결론 _ 313
8. 환 경 321
동아시아의 환경 현황 _ 323
산업, 기술, 그리고 환경 _ 340
지속가능한 개발의 도전 _ 347
결론 _ 351
9. 인구와 도시화 355
인구성장 _ 356
도시화와 도시성장 _ 371
거대도시와 대도시 확장지역 _ 376
결론 _ 386
10. 민 족 391
정의와 용어 _ 395
현대 민족 구성의 개관 _ 399
민족 범주와 국가 정책의 형성 _ 404
결론 _ 421
11. 여성과 개발 425
세계화의 영향 _ 426
건강 _ 435
교육 _ 441
노동시장 _ 445
정치.사회적 위치 _ 451
양성 평등 증진을 위한 사법개혁 _ 455
결론 _ 463
12. 종 교 469
종교에 대한 논의 _ 473
신(神)의 개념 _ 474
불교: 범아시아적 현상 _ 476
유교와 가족 _ 481
샤머니즘과 민간 종교 _ 486
기독교와 현대성 _ 488
이슬람 _ 494
결론 _ 500
13. 문 학 505
동아시아 _ 506
동남아시아 _ 535
결론 _ 561
14. 동향과 전망 571
지리 _ 572
사회 _ 577
외부와의 상호교류 _ 582
약어 _ 589
동아시아 국가 정보 _ 593
공동저자 _ 598
번역진 소개 _ 599
찾아보기 _ 601
이 책에 대하여 _ 613
저자소개
책속에서
태국의 정치는 불안정성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데, 일련의 군부 쿠데타들이 집권에 성공한 몇 안 되는 민간정부를 대체하곤 했다. 인도네시아와 한국처럼 태국 역시 1990년대 들어서 군부의 정치적 역할을 줄여나가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지만, 15년간의 민간통치 이후에 2006년 9월 다시 군부가 군사쿠데타를 일으켰다. 1932년부터 1992년의 기간 중 채 1/4이 되지 않는 기간 동안만 민간인이 수상직을 맡았다. 그 후 군부는 점차적으로 자신들이 가진 정치권력의 일정 부분을 포기하기 시작했다. 그런 민간인 출신 수상 중 많은 사람들이 군부를 대신해서 나라를 다스렸다. 1932년부터 1992년까지의 기간 중 1944년부터 1947년까지와 1973년부터 1976년까지의 두 번에 걸친 민간통치의 시기가 있었는데 각각의 민간통치는 겨의 3년 정도 지속되었을 뿐이다. (118쪽, '제4장 정치'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