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학습법
· ISBN : 9788992975285
· 쪽수 : 312쪽
· 출판일 : 2009-07-18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프롤로그
1학년
3월 1주_ 새로운 날의 시작, 학교 분위기 익히기
3월 2주_ 새로운 생활 습관 만들기
3월 2주∼4월 4주_ 중간고사 시험 준비 특별기간
5월 1주_ 중간고사 기간:시험은 나 자신을 위한 것
5월 2주_ 본격적인 국·영·수 공부
5월 3주_ 자신의 실천 정도 중간 점검해 보기
5월 3주∼7월 1주_ 기말고사 대비 다니엘 7주 내신 준비 시작
5월 4주_ 새 학기 중반이 지나가는 길목, 생활과 마음 정비하기
6월 1주_ 기말고사 공부하며 생활 리듬 회복하기
6월 2주∼7월 1주_ 기말고사 4주 전
7월 2주_ 기말고사 기간
7월 3주_ 한 학기 생활 되돌아보기
7월 4주∼8월 3주_ 여름 방학
8월 4주_ 2학기 시작:있는 그대로의 나 받아들이기
9월 1주∼9월 2주_ 자유 시간, 쉬는 시간 가꾸기
9월 3주∼10월 2주_ 2학기 중간고사 4주 전
10월 3주_ 2학기 중간고사 기간:특별히 주의해야 할 점!!!
10월 4주∼11월 1주_ 기분 전환, 기말고사 공부 시작과 영어 듣기 보강
11월 2주∼12월 1주_ 2학기 기말고사 4주 전
12월 2주_ 2학기 기말고사 기간:중1 유종의 미 거두기
12월 3주_ 1학년 마지막 주:겨울 방학 계획하기
12월 4주∼2월 4주_ 중1 겨울 방학 기간
2학년
2월 4주_ 새 출발을 위해 지난 시간 돌아보고 새 뜻 정하기
3월 1주∼4월 4주_ 2학년 1학기 시작
5월 1주_ 1학기 중간고사 기간:지나친 의욕 경계하기
5월 2주∼7월 1주_ 새로운 도전으로 역전을 시도해 보기
5월 3주∼7월 1주_ 1학기 기말고사 7주 전
7월 2주_ 1학기 기말고사 기간:시험을 과정으로 받아들이기
7월 3주_ 여름 방학 전 마지막 주:방학 계획하기
7월 4주∼8월 3주_ 중2 여름 방학 기간
8월 4주∼10월 2주_ 2학년 2학기 시작
9월 3주∼10월 2주_ 2학기 중간고사 4주 전
10월 3주_ 2학기 중간고사 기간
10월 4주∼12월 1주_ 2학기 기말고사 7주 전:공부에 대한 강박관념 극복하는 법
11월 1주_ 꾸준히 노력하여 실력 쌓기
11월 2주∼12월 1주_ 기말고사 4주 전
12월 2주_ 2학기 기말고사 기간
12월 3주_ 홀가분하게 겨울 방학 준비
12월 4주∼2월 4주_ 중2 겨울 방학 기간
3학년
3월 1주∼4월 4주_ 예비 고등학생의 새로운 1학기 시작
4월 1주_ 이성 교제라는 복병에 대비하라
5월 1주_ 3학년 1학기 중간고사 기간
5월 1주∼5월 2주_ 마음관리와 함께 휴식과 여유를
5월 3주∼7월 1주_ 선생님을 감동시키는 학생 되기 & 기말고사 7주 전:다니엘 7주 기말고사 준비하기
6월 2주∼7월 1주_ 중3 때 찾아오는 또 한 번의 위기
7월 2주_ 2학기 기말고사 기간:양심을 지키는 사람이 진정한 실력자
7월 3주_ 휴식과 계획 기간 & 계획 실천하기
7월 4주∼8월 3주_ 본격적인 고교 선행학습 시기
8월 4주∼10월 2주_ 평소 계획대로 생활 & 2학기 중간고사 7주 전:다니엘 7주 공부 계획 시작하기
9월 3주∼10월 2주_ 2학기 중간고사 4주 전 & 공부 방해 요소는 절제로 극복:컴퓨터와의 한판 승부
10월 3주_ 2학기 중간고사 기간:정직을 배우는 훈련 기간
10월 4주∼11월 2주_ 인격과 실력을 함께 갖춰야 진정한 실력자 & 졸업고사 4주 전:다니엘 4주 공부 계획 시작하기(마지막 시험에서 유종의 미를)
11월 3주_ 3학년 2학기 졸업고사 기간
11월 4주∼12월 3주_ 겨울 방학을 앞둔 인생 최고의 시간
12월 4주∼2월 4주_ 중3 겨울 방학 기간:중학 시절 최고의 시간
글을 마치며
부록_ 다니엘 아침형 Study Map
저자소개
책속에서
지금까지 공부를 소홀히 한 학생들이 이제껏 놀았던 시간을 보충하려고 한다면 새벽 공부를 강력하게 권한다. 예를 들어 저녁 11시에 자고 아침 5시에 일어난다고 가정하면 학교 가기 전에 거의 2시간 정도를 공부할 수 있다. 이 정도면 5~6시간의 저녁 공부 분량과 맞먹는다. 따라서 이렇게 1년 정도 새벽에 공부하면 중1·2 때 소홀하게 공부한 것을 충분히 만회하고도 남는다. - 28쪽 중에서
학원 혹은 과외를 통해 수업을 받는 시간을 공부 시간이라고 말하면 안 된다는 것이다. 자기 스스로 학교에서 혹은 학원에서 배운 것을 복습하고 예습하는 시간만이 진정한 공부 시간이다. 가령 학교가 끝나고도 밤 12시까지 밥 먹는 시간 빼고 학원에서 계속 수업을 듣는 학생이 있다면 그는 진정한 자기 공부 시간이 거의 없는 셈이다. 배운 것을 자기 것으로 만드는 복습 시간은 공부를 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다. 비싼 과외와 학원 수업을 아무리 많이 들어도 듣기만 해서는 최고의 실력을 기르기 어렵다. 들은 것을 자기 스스로 복습하고 공부할 때 비로소 실력을 기를 수 있다. - 33쪽 중에서
정말 공부를 잘하기 위해서는 우선 왜 공부를 잘하고자 하는지 분명한 목적이 있어야 한다. 막연히 어머니가 공부 잘하라고 해서, 공부 못하면 혼나니까 하는 마음가짐으로는 중학교를 졸업한 후 고등학교 입시 지옥 속에서 원하는 대학에 가기가 어렵다. 대부분의 공부 잘하는 학생들은 본인이 왜 공부를 해야 하는지 나름대로 당위성을 가지고 있다. 왜냐하면 공부란 한 달, 길어야 육 개월에 끝나는 것이 아닌 장기 레이스이기 때문이다. 특별한 소수 몇 명을 제외하고 공부는 별로 재미있지 않다. 공부를 아주 잘하는 학생들도 공부를 하다가 너무 힘들어 슬럼프에 빠지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러므로 하기 싫은 공부, 너무 힘든 공부, 흥미를 잃은 공부를 억지로라도 해야 하는 분명한 목적이 있어야 한다. - 54쪽 중에서
틀린 문제를 정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문제를 꼼꼼히 읽은 다음 그 문제의 내용을 머릿속에 정리한다. 그리고 풀이과정을 연습장에 직접 손으로 3~4번 반복해 쓴다. 그런 다음 새 연습지에 문제집을 보지 말고 문제의 내용과 풀이 과정을 기억하여 쓴다. 결국 수학 과목도 기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한 후 그 내용을 머릿속에 잘 정리하여 암기하는 것이 필요하다. 문제를 응용하는 능력은 기본적인 내용들이 충실하게 쌓인 다음 그 축적된 내용을 바탕으로 길러지기 때문이다. - 108쪽 중에서
공부하기 전에 마음관리 시간을 충분히 갖는 게 중요하다. 불안한 마음으로 책상에 앉아서 2시간 공부하는 것보다 20분 동안 깊은 마음관리를 통해 내면의 질서를 회복한 다음 편안한 마음에서 집중해 1시간 40분 공부하는 것이 훨씬 실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 많은 학생들이 불안감에 쫓겨 그냥 책상에 앉아 있지만 실제로는 공부가 잘되지 않을 때가 많다. 이럴 때는 먼저 자신이 왜 불안한지 곰곰이 생각해야 한다. 왜 이렇게 불안하고 마음이 안정되지 않을까? 그 이유를 찾아야 한다. - 153쪽 중에서
아무리 잠을 줄이고 밥 먹는 시간마저 줄이며 달려도 방향 관리가 잘못되면 오히려 큰 손해가 나게 된다. 많은 학생들이 “무조건 열심히 하면 되겠지.”라고 방향성에 대해서는 신경 쓰지 않은 채 앞으로만 달리곤 한다. 이것은 결코 바람직한 방법이 아니다. 공부는 거북이처럼 성실하게 하면서도 뱀처럼 지혜롭게 그 방향을 관리해야 한다. 자신의 학습 패턴에 맞는 계획이 필요하다. 자신에게 맞는 정교한 생활 계획과 공부 계획이 필요하다. 남들이 한다고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자신에게 맞는 자신만의 공부 계획이 필요한 것이다. - 199~200쪽 중에서
혹 공부를 제대로 못하고 노는 것도 그저 그렇게 대충 시간을 흘려보낸 친구들이 있다면, 너무 걱정만 하지는 말기 바란다. 지금부터 시작해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자포자기하고 목표 상실병에 걸리는 것보다 훨씬 낫다. 지금부터라도 공부를 다시 하고자 마음을 먹고 뜻을 정해 시작하기 바란다. 이 책에 나온 방법을 토대로 자신이 할 수 있는 계획을 세워 하나씩 실천하면 된다. 방법을 몰라서 못한다는 변명은 더 이상 하지 말고 이 책에 나온 여러 방법들을 토대로 다시 한 번 힘을 내서 시작하기 바란다. - 260쪽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