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류토피아에 이르는 길

한류토피아에 이르는 길

(서구의 벽을 넘어)

박장순 (지은이)
북북서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13,5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1,350원
14,6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2개 12,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류토피아에 이르는 길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류토피아에 이르는 길 (서구의 벽을 넘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대중문화론
· ISBN : 9788992977272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17-04-21

책 소개

드라마의 해외 수출로 시작된 미미한 초기 한류가 있었다. 그런 한류가 1997년 IMF라는 국가 부도위기 사태와 2008년 세계 금융위기를 슬기롭게 넘기며, 30년이라는 길지 않은 세월 속에서 빠르게 확장하고 있다.

목차

서문
들어가기: 서구의 벽은 ‘넘사벽’인가?
1장 부자(父子)관계로 본 기독교 정신
1. 구약성서(Old Testament): ‘자식 이기는 부모 없다’
2. 신약성서(New Testament): ‘사랑하는 아들, 내 마음에 드는 아들’
3. 성서의 문화기호학적 이해

2장 문화적 진화이론 미메틱스의 ‘밈’(meme)과 유교 철학의 ‘마음’과 ‘사단칠정’(四端七情)
1. 밈
2. 마음
3. 사단칠정

3장 한류밈의 유교 철학적 유형 분류 및 확장성
1. 드라마
2. K-pop
3. 한류밈의 유교 철학적 확장성

4장 유교 철학에 기반 한 ‘한류’의 기독교 신학적 서구 확장성
1. 기독교 신학과 과학, 유교 철학의 유비적 관계
2. 기독교 신학은 서양문화사의 뿌리
3. ‘유비성’은 한류의 기독교 신학적 서구 확장성의 근거

5장 ‘서구의 벽’을 넘어
1. 한류는 신화다
2. 복음화에서 찾는 ‘서구의 벽’ 넘기 전략
나오기
참고문헌

저자소개

박장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 홍익대학교 영상대학원 교수 현, 초빙교수 영상학 박사 [저서] 무엇이 한류토피아를 꿈꾸게 하는가(2018), 북북서 한류토피아에 이르는 길(2017), 북북서 K-pop, 유가에서 길을 찾다(2016), 북북서 미래의 한류(2015), 선 대한민국 미래보고서(2015), 교보문고 한류학개론(2014), 선 전환기의 한류(2013), 북북서 한류, 아시아 TV드라마 시장의 역사(2012), 북북서 한류의 흥행 유전자 밈(2011), 북북서 문화콘텐츠 분석과 형상화 원리(2009), 형설출판사 한류, 한국과 일본의 드라마 전쟁(2008), 커뮤니케이션북스 한류, 신화가 미래다(2007), 커뮤니케이션북스 문화콘텐츠학개론(2006), 커뮤니케이션북스 문화콘텐츠 해외마케팅(2005), 커뮤니케이션북스 문화콘텐츠연출론(2002), 한국방송출판 아부 핫산 부채를 갚다(1986), 이화문화사 노메디아(1985), 진학교육사 한국 인형극의 재조명(1980), 유림사
펼치기

책속에서

1차 한류시대(1987~2009)의 메인스트림인 드라마는 아시아를 그 중심 시장으로 하고 있다. 이는 드라마가 아직 서구의 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는 현실적 한계를 여실히 드러내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2차 한류시대(2010~현재)의 메인스트림인 K-pop도 드라마 시장과 크게 다를 바 없다. 다만 차이가 있다면, 얼핏 서구의 벽을 넘은 듯이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아직은 아니다. K-pop 또한 드라마와 마찬가지로 아시아 시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다면 서구의 벽은 정말, 우리에게 넘을 수 없는 ‘넘사벽’인가? ?한류토피아에 이르는 길-서구의 벽을 넘어?(Road to Hallyutopia, Breaking the Wall of Western Culture)에서는 서구의 문화적 진화이론인 ‘미메틱스’(Memetics)와 동양의 윤리 철학인 ‘유교’, 서양문화사의 뿌리인 ‘기독교 신학’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 유비성, 즉 이들이 가지고 있는 공유가치가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이를 근거로 동양 철학에 기반한 한류가 기독교 신학에 기초한 서구의 벽을 넘어 한류토피아에 이를 수 있다는 사실을 명쾌하게 증명해간다.
?한류토피아에 이르는 길-서구의 벽을 넘어?는 전체 5장으로 구성된다. 1장은 서양문화사의 근원인 ‘성서’를 아버지와 자식, 부자(父子)관계로 해석한다. 기독교 정신의 ‘심층’에 ‘믿음’과 ‘효’(孝)의 가치가 흐르고 있고, 이것이 성서의 말씀, 즉 ‘서사’를 통해 ‘사랑, 정의, 순명, 계명’ 등의 가치로 ‘표층’화되고 있음을 밝힌다. 2장은 기독교 신학과 유교 철학 간의 유비성을 규명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문화적 진화이론인 미메틱스의 ‘밈’(meme)과 유교 철학의 ‘마음’, 마음을 구성하는 ‘성’(性)과 ‘정’(情), 즉 사단칠정의 기본적 개념에 관해 기술한다. 3장은 이를 근거로 한류밈의 유교 철학적 유형을 분류하고, 그 분석 결과를 가지고 한류밈의 유교 철학적 확장성을 논의한다.
4장은 한류밈의 유교 철학적 확장성이 곧, 기독교 신학적 서구 확장성의 또 다른 이름이라는 사실을 밝힌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4장은 서양의 기독교 신학과 사회과학(문화진화이론), 그리고 동양의 유교 철학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 유비성을 규명한다. 결과는 서양의 기독교 신학과 동양의 유교 철학이 사단(四端), 즉 ‘仁(사랑)’, ‘義(정의)’, ‘禮(순명)’, ‘智(계명)’의 가치를 공유하고 있고, 이 같은 이들 사이의 유비적 연결고리가 한류밈의 서구 확장성의 근거가 됨을 확인시켜준다. 왜냐하면 서양문화사의 뿌리가 기독교 신학이고, 한류는 기독교 신학과 가치를 공유하고 있는 유교 철학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한류가 기독교 신학에 뿌리를 둔 서구의 벽을 넘지 못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마지막 5장은 한류가 현대의 신화임을 구조주의적 관점에서 증명하고, 이런 한류가 기독교의 세계 복음화 전략을 차용해 신화적 영원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획득해갈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