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과학, 사실과 사기 사이에서

과학, 사실과 사기 사이에서

(과학 사기와 과학자의 윤리)

데이비드 굿스타인 (지은이), 정세권 (옮긴이)
이음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과학, 사실과 사기 사이에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과학, 사실과 사기 사이에서 (과학 사기와 과학자의 윤리)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과학사회학(STS)
· ISBN : 9788993166361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1-09-15

책 소개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칼텍)의 물리학 및 응용물리학 교수인 데이비드 굿스타인이 쓴 탁월한 과학 윤리 교과서. 저자는 오랜 시간 대학에서 과학 부정행위를 감독하며 ‘연구 부정행위에 관한 칼텍의 방침’을 만들었고, 그 경험을 바탕으로 10년 동안 ‘과학 윤리’ 수업을 진행하기도 했다. 이 책에서 그는 과학사의 대표적인 사기 사건으로 알려진 몇 가지 사례를 새로운 시각으로 분석한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7
서문 11

01 무대장치 만들기 15
02 로버트 앤드류 밀리컨 사건에 대하여 53
03 생물학에서 들려온 나쁜 소식 83
04 부정행위 정의하기 95
05 상온핵융합 연대기 111
06 물리학에서의 사기 149
07 조건이 너무 좋지 않았던 획기적 발견 167
08 교훈은 무엇인가? 193 부록 연구 부정행위에 관한 칼텍의 방침 204

감사의 글 218
옮긴이의 글 220
해설 연구 부정행위와 연구 윤리 논의의 동향 ? 박진희 224
미주 241
색인 247

저자소개

데이비드 굿스타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칼텍)에서 물리학 및 응용물리학과 교수로 40년 넘게 재직했다. 1988년부터는 교무부처장을 겸임하며 칼텍의 과학 부정행위를 감독하고 ‘연구 부정행위에 관한 칼텍의 방침’을 만들었다. 과학기술정책에도 꾸준한 관심을 기울여 캘리포니아 주정부 과학기술자문위원회를 창설했고, 국립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의 수학/물리과학 부분 국가자문위원을 맡았다. 또한 과학 교재로 유명한, 미국 공영방송 PBS의 다큐멘터리 「메커니컬 유니버스The Mechanical Universe」 시리즈를 기획, 출연했다. 1999년 미국물리교사협회American Association of Physics Teachers로부터 외르스테드 메달Oersted Medal을, 2000년에는 시그마 자이협회Sigma Xi Society로부터 존 맥거번 메달John P. McGovern Medal 을 받았다. 지은 책으로 『물질의 상태States of Matter』 (1975), 『엔드 오브 오일Out of gas』 (1994), 『파인만 강의Feynman’s Lost Lecture』 (1996) 등이 있다.
펼치기
데이비드 굿스타인의 다른 책 >
정세권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과학사 및 과학철학 협동과정에서 미국 우생학의 역사에 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같은 대학원 박사과정에 진학하여 미국 생물학/의학의 역사에 대해 공부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과학, 사실과 사기 사이에서>, <갈릴레오의 치명적 오류>, <논쟁 없는 시대의 논쟁> (공역)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과학 윤리에 관한 수업을 진행하면서 짐과 나는 적당한 교과서가 없다는 사실을 자주 아쉬워했다. 특히나 우리는 이런 수업이 가공의 사례가 아니라 실제 사건의 역사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사건 당사자가 대중적으로 혐의를 벗은 사례의 자료를 찾는 일은 어렵지 않았지만, 실제로 과학 사기가 자행되었던 경우에는 사정이 달랐다. 이것은 이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무슨 이유에선지 기밀을 유지하여 죄가 있는 사람들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사다난하면서도 영세한 이 분야는 다양한 윤리적 딜레마를 보여주는 가공의 사례들을 제공하면서 조금씩 성장해왔다. 그러나 그런 시나리오는 아무리 가치 있고 선의의 것이라고 하더라도, 실제 사례를 직접 보여주지는 못한다. 따라서 실제 사건들을 다루고 있는 이 책은 이 분야의 교과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는 이제 악명 높은 문장이 등장한다. “누차 언급하는 바, 이것은 일부 선택된 기름방울이 아니라 60일 내내 실험된 모든 기름방울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비난받을 만한 구절은 전하량을 단위로 삼을 수 있는지에 관한 것이 아니라 스토크스 법칙에 대한 보정이 옳다는 점을 말하기 위한 것이다. 결국 밀리컨은 “지금 이야기하고 있는 기름 58방울 각각은, 스토크스의 법칙을 보정하기 위해 내가 만든 공식을 확증해준다”고 말한다. 비록 이 구절이 133쪽에서 기름 58방울에 대해 언급한 이후 다섯 쪽 뒤에 나오지만, 그 중간 쪽들에는 표와 그래프가 실려 있다. 밀리컨이 타자기로 쓴 처음 원고(우리가 알고 있는 한 이 원고는 남아 있지 않다)에서는 이 문장이 기름방울 숫자를 언급한 바로 다음에 등장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다시 말해 밀리컨의 대사들을 맥락에 맞게 꼼꼼하게 읽어보면, 과학 부정행위의 증거로서 이 문장들이 갖는 중요성은 대폭 적어진다.


상온핵융합은 버림받은 분야였고 과학 연구 주류에서 내팽개쳐져 있었다. 이 분야의 참여자들과 ‘점잖은’ 과학 사이에는 실제 아무런 소통도 없었다. 상온핵융합 논문들은 동료심사 절차를 밟는 과학저널에는 거의 실리지 않았기 때문에, 과학이 요구하는 표준적이고 엄격한 조사를 받지 않았다. 또한 상온핵융합 연구자들은 자신들이 주류 과학으로부터 포위공격을 당하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내부에서 자체적으로 비판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실험과 이론들은 액면 그대로 받아들여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들의 연구에 제대로 귀를 기울이는 외부 학자가 없는 상황이다 보니, 그들 내부의 자체적인 비판이 외부인들에게 자신들의 연구를 평가절하할 빌미를 제공할 수 있다는 두려움 때문이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