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88993324488
· 쪽수 : 337쪽
· 출판일 : 2013-03-30
책 소개
목차
Ⅰ. 서론
제1절 연구의 목적 / 20
제2절 기존 연구의 문제점 / 25
1. 국내 연구 / 25
2. 국외 연구 / 29
제3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35
1. 연구의 범위 / 36
2. 연구의 방법과 분석 틀 / 38
Ⅱ. 중국의 대북정책
제1절 정책목표 / 56
제2절 정책원칙과 기조 / 58
1. 북한체제의 안정 / 61
2. 대북 영향력 유지·확대 / 64
3. 북한의 개혁개방 촉진 / 66
4. 북한 핵문제 해결 / 72
제3절 접근전략·방침 / 78
1. 견제와 균형(이중성) / 79
2. 중요 사안의 분리접근 / 82
3. 전략적·장기적 고려 / 84
4. 적극적 관리·통제 / 87
제4절 주요 쟁점에 대한 입장 / 93
1. 대북 원조·경제협력 / 93
2. 대북 영향력 행사 / 99
3. 북미관계 개선 / 105
4. 중북동맹조약 / 110
5. 한반도 통일 / 116
Ⅲ. 대북정책과 중북관계 전개 양상
제1절 소원기(1991∼1999) / 129
1. 체제수준의 동아시아 질서 변화 / 129
2. 단위수준 이슈의 정치화 / 133
3. 중국의 대북정책과 중북관계 / 136
제2절 복원/조정기(1999∼2006) / 142
1. 체제수준의 동아시아 질서 변화 / 142
2. 단위수준 이슈의 정치화 / 146
3. 중국의 대북정책과 중북관계 / 149
제3절 냉각기(2006∼2009) / 156
1. 체제수준의 동아시아 질서 변화 / 156
2. 단위수준 이슈의 정치화 / 159
3. 중국의 대북정책과 중북관계 / 160
제4절 정상화기(2009∼2012) / 165
1. 체제수준의 동아시아 질서 변화 / 165
2. 단위수준 이슈의 정치화 / 172
3. 중국의 대북정책과 중북관계 / 175
Ⅳ. 대북정책 결정 요인 분석
제1절 구조 수준의 요인 / 189
1. 미중 관계 / 189
2. 한반도의 지정학 / 205
제2절 행위자 수준의 요인 / 211
1. 중국의 내외 상황 인식 / 211
2. 국가 대전략과 외교노선 / 218
3. 동북아 전략 / 241
4. 대한반도 인식과 정책 / 244
제3절 관계 수준의 요인 / 249
1. 중국의 북한(지역)에 대한 인식 / 249
2. 북한의 대중 인식과 정책 / 260
Ⅴ. 대북정책 결정의 특징
제1절 구조가 행위자의 정책 제한(가설?) / 268
제2절 구조·행위자, 행위자(중북) 간 상호작용(가설?) / 273
1. 중국 간의 동맹의 딜레마 / 274
2. 중국 간의 정체성·이익의 차이 / 275
3. 책임대국으로서의 역할·위상 / 277
4. 북한의 위기관리·통제 필요성 / 279
제3절 행위자의 위협인식이 정책 강화(가설?) / 281
제4절 대북정책의 일관된 패턴 유지 / 284
1. 대북정책의 지속성 / 284
2. 중북 특수관계의 요인 / 291
Ⅵ. 결론
참고문헌 / 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