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문학
· ISBN : 9788993335330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11-03-04
책 소개
목차
제1부 … 만족·기쁨·삶의 의지
무엇이든 상대적이라고 믿는다 28
우리의 경험과 느낌은 주로 몸과 마음에 관련된다 29
‘정신적’이란 용어는 인간의 기본이 되는 훌륭한 특질을 의미한다 31
훌륭한 인간의 두뇌 미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근원이다 32
사람은 자연스러운 창조적 능력을 지녔다 33
부처님의 근본적인 가르침은 사성제 34
사람의 생각과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측은지심 36
자비로운 미소는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매우 중요하다 37
몸은 좋은 방향계가 된다 38
지적 능력이 하는 역할은 긍정·부정 39
사람은 자부심 내지는 자만심이 강하다 40
자아(Ego)의 다른 유형들 41
우리는 그 둘을 잘못 이해할 수 있다 42
긍정·부정적인 욕망으로 나눌 수 있다 43
만족은 행복에 이르는 중요한 요소이다 45
극단적 집착으로 빠져들 수 있다 46
형(form), 소리, 냄새, 맛 그리고 촉감 47
지적 특성을 얼마나 응용하는 가가 중요 48
경전에서의 여섯 가지 완성 49
성공적으로 기쁨에 이르는 성과 50
여섯 가지 완성의 수행 원리 51
제2부 … 죽음과 죽음에 직면했을 때
죽음을 평화롭게 맞이하는 것 54
고통을 극복할 방법이 없다면 걱정한다 해도 소용없는 일 56
죽음은 우리 삶의 일부이다 57
문제를 해결하는 데의 두 가지 다른 접근법 59
우리의 삶에 불행한 일이 일어날 때 60
약간의 고난은 삶에 좋은 교훈이 될 수 있다 61
나의 불행한 경험은 어느 정도는 가치 있는 면이 있는 것 62
어떤 문제든지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다면 63
죽음에 대처하는 방법 64
덧없음의 단계 65
죽음과 덧없음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 67
죽음이 다가옴을 느끼는 의식 단계 68
존재의 전 과정은 ‘죽음’, ‘중간 상태’ 및 ‘환생 69
당신에게 죽음이 가까워지고 있다는 느낌 70
죽음을 훨씬 쉽게 받아들일 수 있는 준비 71
제3부 … 분노와 감정 다스리기
분노와 증오는 우리의 가장 가까운 친구들 74
감정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사색하는 것 75
다양한 형태의 마음 상태가 존재한다 77
진정한 소멸 상태는 피난처를 말한다 78
마음속에 일어나는 소용돌이의 상태 79
부정적 감정은 일종의 불행 또는 근심의 형태 80
마음에 분노를 일으키는 에너지를 전환시키는 묵상 82
좋은 사람들로부터 행복의 근원을 찾는다 83
정신 상태는 늘 고요함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84
정신적 안정이란 좋은 건강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 86
행복의 두 번째 근원은 물질적 편리함에 있다 87
물질적 편의성마저 정신 자세에 따라 영향을 미칠 수 있다 88
행복의 세 번째 근원은 친구들이다 89
진정한 인간의 감정에는 좀 더 가치 있는 것이 있다 90
자신을 변화시키고자 한다면 무엇이든 가능하다 92
증오심의 부정적인 면을 아는 것이다 93
정신적 행복의 가장 오래된 근원은 마음의 평화이다 94
분노는 마음속 평화의 파괴자이며 진정한 적이다 95
부정적 감정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 96
분노는 당신을 지배할 것이다 97
불만이나 실망은 분노와 증오심의 원인이다 98
불만은 분노의 씨 100
마음 자세를 바꿔라 101
적을 만드는 것은 나쁘다 102
적은 우리에게는 소중한 스승이 된다 103
분노나 증오심이 아닌 지혜나 상식으로 104
관용을 실천하는 또 다른 유형 105
진정한 인간의 사랑스러운 미소 107
제4부 … 주는 것과 받는 것
- 사랑과 측은지심으로 이끄는 실천적 방법
측은지심이란 가장 훌륭하고 고귀한 일 110
교육의 승패는 가르치는 교사의 진심어린 사랑에 달려있다 111
서로간의 애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112
사람의 몸은 마음의 평온함을 잘 감지한다 114
안녕과 복지에 관심을 나타내는 것이 측은지심이다 115
측은지심은 사실은 집착이다 116
측은지심은 당신의 관심에 변함이 없는 것 117
진정한 측은지심과 집착은 서로 반대의 개념 118
우선 평정심을 갖는 훈련을 해야 한다 119
내 마음은 과연 중립적 위치에 있는가? 120
자신과 모든 다른 감정을 가진 존재와 근본적인 일체감을 이루는 것 122
우리의 마음에서 인류 전체의 이익을 지키는 것 123
나의 행복은 다른 사람의 행복에 좌우된다 124
세상의 모든 것은 인연을 맺고 동시에 일어나는 것 125
우리 모두는 행복해질 권리를 가지고 있다 126
역지사지(易地思之)의 심정으로 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28
만일 자신만을 생각한다면 129
진정한 우정은 130
마음을 열고 진실하게 다가 갈수록 131
측은지심을 강화하는 아주 효과적인 수행 132
측은지심은 성공적인 미래를 위해서는 매우 중요 133
주고받는 수행 134
함께 나누는 것을 상상해보라 135
세상의 불행한 일을 떨쳐버릴 수 있게 하소서 136
제5부 … 부·죽음의 순간·외로움·믿음
부는 공덕의 열매 140
아무리 부자라도 위는 하나 141
누구나 부자가 되고 싶어한다 142
부자는 사회에 더 큰 해악을 끼칠 수 있다 144
헐벗고 굶주린 사람들을 도와야 한다 145
가난한 사람들이 도처에 있다 147
돈을 가장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 148
호화롭게 사는 것은 무의미한 일 149
빈부 격차가 지나치게 확대되고 있다 150
서로 나누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 151
부자지만 그들의 진정한 친구가 될 수 있다 152
마음까지 가난할 필요는 없다 154
누구나 죽음이란 단어는 피하려고 한다 155
당신의 죽음을 신의 뜻으로 생각하라 157
정신적 차원에서 덧없음은 늘 둘로 분리된다 158
죽음이란 삶의 한 부분 159
안락사는 피해야 한다 160
새로운 기도문을 들려주라 162
임종이 가까운 사람에게는 마지막 인사를 하는 편이 낫다 163
카르마 때문에 고통 받는 것 164
미국인의 과반수가 외로움에 시달린다 165
외로움이라는 감정은 몇 가지 원인이 있다 166
모든 환경이 점점 삭막해져 가는 것 167
오로지 나만의 삶을 살아간다 168
기술 문명은 우리의 삶을 더욱 소외시킨다 169
현대 사회에서 우리 모두는 지나치게 바쁘다 170
도시의 삶은 불가피하게 수많은 사람과 교류하며 살아간다 171
도시 사람들의 외로움 172
인간적인 얼굴이 사라져 가고 있다 174
전체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무작정 따라 움직여야 한다 175
외로움을 떨쳐내기 위한 투쟁 176
당신이 다른 사람을 증오하고 원망하면 177
신뢰와 믿음만큼 중요한 것도 없다 178
믿음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맑고 순수한 믿음 189
제6부 … 종교·지혜·영적생활·깨달음
고유한 믿음 안에서 비슷한 목표를 지향한다 182
스스로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늘 자문하는 것이 중요 183
신행의 기본은 선한 마음을 갖는 것 184
불교와 자이나교는 신을 강조하지 않는다 186
수많은 분쟁이 종교라는 이름으로 행해지고 있음은 아이러니하다 187
모든 종교는 근본적으로 같은 가르침을 전하고 있다 188
사랑과 측은지심이야말로 종교가 추구하는 진정한 목적 189
인류 문명이 지속되는 동안 종교는 인류에게 큰 공헌을 했다 190
종교 간에 우월성을 서로 주장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192
지혜는 왜 필요한가 193
본질을 깨닫는 지혜가 바로 공(空)을 깨닫게 해주는 지혜 194
불가에서 가르치는 영성 195
종교적 신앙이 배제된 영성 또한 중요하면서도 유익하다 196
선의와 호의 및 측은지심을 길러야 한다 197
자유롭게 사는 삶은 소중하다 199
영적생활이란 200
우리는 살아가는 일 자체만으로는 불충분하다 201
깨달음의 진정한 의미는 202
우리 개개인을 모두 부처라 부를 수 있음 203
바른 수행을 통하여 각자 다른 차원의 자각을 이룰 수 있다 204
깨달음에 이르는 심성을 기르는 것 205
해탈이 무엇인지 알려면 먼저 공(空)의 의미를 알아야 한다 206
수양되지 않은 마음은 고통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207
마음의 평정이란 209
제7부 … 진리와 공의 개념
궁극적 진리의 추구는 매우 중요한 것이다 212
숭고한 진리는 고통의 진리이다 214
불교의 네 가지 근본적인 개념 215
인식은 참된 중도(中道)를 깨우침으로써 알게 된다 216
우리는 왜 공을 이해해야 하는가 217
공은 명상속에서 명료하게 모습을 드러냄 218
현재가 없으면 과거도 미래도 판단할 수 없게 된다 219
시간에는 양자택일이란 있을 수 없다 221
공이 무(無)라는 의미는 결코 아니다 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