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점프 Jump! 2

점프 Jump! 2

(꿈을 이뤄주는 플랫폼 비즈니스)

민관식 (지은이)
이상BIZ
8,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7,650원 -10% 2,500원
420원
9,7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점프 Jump! 2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점프 Jump! 2 (꿈을 이뤄주는 플랫폼 비즈니스)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마케팅/세일즈 > 네트워크 마케팅
· ISBN : 9788993690392
· 쪽수 : 156쪽
· 출판일 : 2016-09-27

책 소개

저자 민관식은 대표적인 네트워크 마케팅 업체 ‘암웨이’의 개인 사업자로 수년간 일해 온 경력을 바탕으로 이 책을 썼다. 전작 '점프'가 네트워크 마케팅이 무엇인지 쉽게 설명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면, 후속 격인 이 책에서는 플랫폼 비즈니스에 초점을 맞춘다.

목차

PART 1 세계: 현실
들어가는 글: 마하트마 간디의 7대 사회악
01 원칙 없는 정치 | 02 노동 없는 부 | 03 인격 없는 교육 | 04 도덕 없는 경제 | 05 인간성 없는 과학 | 06 희생 없는 신앙

PART 2 관계: 세계와 나
들어가는 글: 불가능한 꿈을 품은 리얼리스트
01 문제는 통제력입니다 | 02 고개를 들어야 합니다 | 03 노동소득 vs 자산소득 | 04 플랫폼 비즈니스 | 05 소득의 원천

PART 3 나: 이런 생각 저런 이야기
들어가는 글: 믿을 수도 없고 말자니 아깝고!
01 명품과 짝퉁 | 02 미래가 궁금하신가요? | 03 소 잡는 칼, 닭 잡는 칼 | 04 나비처럼 날아서 벌처럼 쏴라 | 05 채움과 비움 | 06 학습과 실천 | 07 복일까, 감일까? | 08 기초가 튼튼해야 합니다 | 09 피하지 마세요 | 10 좋은 사람과 함께 가는 산이 명산입니다 | 11 자유의 크기가 행복의 크기입니다 | 12 가르친다는 것은 | 13 배운다는 것은? | 14 위선과 위악 | 15 대가를 치러야 합니다 | 16 생각하지 않은 죄

저자소개

민관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2년 전주에서 태어나 1969년 서울로 이주해 지금까지 살고 있다. 자유와 행복, 자연을 그리워하지만 아직 서울을 벗어나지 못했다. 행동은 굼뜨지만 생각으로는 더불어 사는 길을 부지런히 모색하며 산다. 지은 책으로는 《점프》 《프리덤》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원칙 없는 정치, 노동 없는 부, 양심 없는 쾌락, 인격 없는 교육, 도덕 없는 경제, 인간성 없는 과학, 희생 없는 신앙. 마하트마 간디의 7대 사회악입니다. 문제 해결의 출발점은 현실입니다. 직면한 현실이 어떠한지, 어떤 원리(시스템)로 세계가 돌아가는지를 직시(直視)해야 해결책을 찾을 수 있습니다. 해결할 수 없는 일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인간은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일에만 도전하기 때문입니다. 매일 40명이 자살하는 우리 사회는 매년 1개 사단이 넘는 1만 5천여 명이 자살합니다(이런 비유도 군사 문화의 잔재이지만). ‘헬조선’이 의미하는 이 사회가 어떤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습니다.


신자유주의는 우리 사회에 회생 불가의 난제를 산적해 놓았습니다. 수익성과 효율성 앞에서 ‘모든 것이 정당화’되는 신자유주의는 차가운 승패 논리만 존재합니다. 노동수입은 자산수입의 먹이입니다. 사회 구성원의 절대 다수인 근로소득자가 함정에서 벗어나기는 힘들어 보입니다.
해결책이 있을까요? 몸부림쳐 보지만 몸부림칠수록 깊게 빠져드는 구조는 아닐까요? 새로운 해결책을 찾아야 하는 것이 아닐까요? 문제를 바르게 제기하면 이미 반 이상 해결된 것이나 마찬가지입니다.


자(資)가 본(本)이 되는 사회에서 통제력을 가질 수 있는지 없는지는 돈(자본)이 얼마나 있느냐에 달렸습니다. 간단히 말하면 소득과 소비의 관계입니다. 소득보다 소비가 많은가, 소비보다 소득이 많은가의 문제입니다. 버는 돈(소득)이 쓰는 돈(소비, 지출)보다 적으면 삶이 갑갑하고, 버는 돈이 쓰는 돈보다 많으면 통제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