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88993784046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0-09-14
책 소개
목차
감사의 글 6
추천사1 9
추천사2 12
프롤로그: 정신분석인가 영혼의 치유인가? 15
1장 정신분석과 신학 : 영혼의 치유와 꿈의 해석 32
I. 들어가는 말 34
1. 방법론 34
2. 영혼의 치유란 무엇인가? 36
II. 정신분석에 대한 기독교의 시각 39
1. 정신분석과 신학 39
2. 정신분석과 교회 41
1) 정신분석과 가톨릭교회 42
2) 정신분석과 개신교회 48
III. 꿈에 대한 교회의 입장 51
1. 원시교회와 꿈의 이해 52
2. 꿈에 대한 중세 및 근대교회의 입장과 정신분석의 탄생 54
1) 꿈과 중세교회 54
2) 꿈과 근대교회 55
3) 꿈과 정신분석의 탄생 56
IV. 꿈에 대한 성경적 관점 58
1. 성경에 나타난 꿈 58
1) 구약 성경에 나타난 꿈과 이스라엘 백성 58
2) 신약 성경에 나타난 꿈과 기독교 63
2. 성경에 나타난 꿈의 분석의 가치와 한계 68
V. 영혼의 치유에 있어서 꿈의 해석의 활용과 그 한계 70
1. 프로이트와 융의 꿈 이해 70
1) 프로이트와 꿈 70
2) 융과 꿈 72
2. 현대 정신의학에서의 꿈과 수면 그리고 무의식과의 관계 73
3. 꿈에 대한 기독교적 평가 75
VI. 나오는 말 79
VII. 토론 82
VIII. 더 읽을거리 및 볼거리 85
2장 정신분석과 상담신학: 피스터와 투르나이젠의 영혼의 치유 88
I. 들어가는 말 90
II. 정신분석에 대한 기독교의 시각 92
III. 오스카 피스터와 에드워드 투르나이젠의 영혼의 치유와 정신분석 94
1. 피스터의 영혼의 치유와 정신분석 94
1) 피스터의 생애와 정신분석과의 인연 95
2) 피스터의 정신분석적 영혼의 치유 97
3) 피스터의 정신분석적 영혼의 치유의 영향 102
4) 피스터의 정신분석적 영혼의 치유의 평가 104
2. 투르나이젠의 영혼의 치유와 정신분석 106
1) 투르나이젠의 영혼의 치유에 있어서 하나님의 말씀 106
2) 투르나이젠의 영혼의 치유에 있어서 죄의 용서 111
3) 투르나이젠의 영혼의 치유와 기도 114
IV. 피스터와 투르나이젠의 정신역동적 영혼의 치유의 공헌과 한계 118
1. 피스터의 정신역동적 영혼의 치유의 공헌과 한계 118
2. 투르나이젠의 정신역동적 영혼의 치유의 공헌과 한계 120
V. 나오는 말 126
VI. 토론 130
VII. 더 읽을거리 및 볼거리 135
3장 정신분석과 기독교상담: 죄책감 136
I. 들어가는 말 138
II. 죄책감에 대한 정신분석적 접근 143
1. 죄책감에 대한 고전적 정신분석의 정의 143
2. 정신분석에서 본 무의식적 죄책감 146
3. 무의식적 죄책감과 자기 처벌 욕구 148
4. 유아적 죄책감과 도덕적 의식 151
III. 죄와 죄책감에 대한 성경적·신학적 접근 153
1. 죄와 죄책감에 대한 성경적 접근 153
1) 죄에 대한 성경적 접근 153
2) 죄책감에 대한 성경적 접근 155
2. 죄와 원죄에 대한 신학적 접근 158
1) 죄에 대한 신학적 접근 158
2) 원죄에 대한 신학적 접근 160
IV. 죄와 죄책감에 대한 기독교상담적 접근 163
1. 죄와 죄책감에 대한 기독교상담과 정신분석의 두 진영 163
2. 죄 혹은 죄책감과 정신병리와의 관계 165
3. 죄책감의 선용과 부정적 측면: 건전한 죄책감과 불건전한 죄책감 169
4. 죄와 죄책감: 은혜와 치유의 공간 172
5. 죄와 죄책감의 위협 앞에 선 기독교상담: 어떻게 상담할 것인가? 175
1) 죄인으로서 상담자의 자기 인식 176
2) 조력자로서의 상담자 의식 177
3) 내담자의 자아강도를 고려한 공감적 직면 177
4) 죄 고백 및 돌이킴을 돕는 자로서 상담자 179
5) 신학적 인간 이해와 심리적 메커니즘을 읽을 수 있는 상담자 183
6) 내담자와 상담자 사이의 위로자 성령의 개입을 초청하는 상담자 184
V. 나오는 말 186
VI. 토론 190
VII. 더 읽을거리 및 볼거리 199
4장 경제적 위기 속의 정신분석과 기독교상담 204
I. 들어가는 말 206
II. 프로이트학파와 기독교상담학의 관점에서 본 경제 위기와 상담 207
1. 스트레스 요인으로서의 경제 위기와 돈에 대한 욕망 207
2. 경제적 위기로 고통을 호소하는 내담자에 대한 정신분석적 이해 210
3. 프로이트학파와 기독교상담학의 관점에서 본 박씨의 사례 211
<사례1 박진만(가명)> 211
1) 프로이트적 관점 214
- 사랑하는 대상 상실 214
- 내담자 박씨의 현실적 절망 상태와 자아 상실 215
2) 기독교상담학적 관점-내담자 박씨를 위한 희망의 대리인으로서 기독교상담 217
4. 프로이트학파와 기독교상담학의 관점에서 본 김씨의 사례 220
<사례2 김은희 (가명)> 220
1) 프로이트적 관점 223
- "돈은 권력이다" 223
- 돈의 심리학과 가족 관계의 병리적 변형 225
- 심리·경제적 근친상간으로부터 벗어나기 227
2) 기독교상담학적 관점-내담자 김씨를 위한 지지자로서 기독교상담 228
III. 경제적 위기에 처한 자를 위한 기독교상담 229
1. 성경과 돈에 관한 문제 229
1) 돈에 대한 과도한 욕망에서 비롯된 어긋난 가족 관계 230
2) 돈에 대한 과도한 사랑의 위험에 대한 성경의 경고 232
IV. 나오는 말 235
V. 토론 238
VI. 더 읽을거리 및 볼거리 242
에필로그: 기독교(목회)상담학자는 정신분석으로부터 어떠한 공헌을 끄집어 낼 수 있는가? 246
참고문헌 255
찾아보기 261
저자소개
책속에서
'영혼의 치유'의 개념을 살펴보자. 먼저 '치유'에 대한 개념 정리의 필요성을 느낀다. 사실상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치유'는 의학과 신학에서 모두 거부 되어온 단어였다. 의학 교과서에서 이 단어의 사용은 피부에 난 종기나 소화기 계통의 회복 혹은 뼈가 골절되었을 때 부러진 뼈의 접합 등에 대한 묘사로 제한되었다. 치유라는 용어의 이러한 두 가지 특별한 기술적인 적용을 제외하고는, 의사들은 자신들이 하는 일을 치유(healing) 보다는 치료(curing)나 처치(treating)로 부르는 것을 더 선호한다. 그러나 상황은 변화하고 있다. 치유는 일차적으로 신체적 기능의 정상성 회복을 의미한다. 그러나 기독교적 인간관이 요구하는 보다 넓은 의미에서 이 단어는 인간으로 하여금 인간을 향한 하나님의 뜻에 따라 하나의 통일체로서 기능하도록 힘을 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치유가 의학적으로나 신학적으로 주변적인 것이 아니라 오히려 사람을 온전하게 만드는 것 모두를 포함한다고 말 할 수 있다.
중세시대 교회의 권력과 마찬가지로 전체주의의 권력 앞에서 꿈의 억압은 계속 이어졌다. 1789년 프랑스 혁명 이후 제1제정시대(1804-1814)의 나폴레옹 법전(형법) 479조 7항은, "꿈을 판별하거나 판단하거나, 혹은 꿈의 해석을 직업으로 삼는 자들에 대해서 11-15프랑의 벌금에 처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놀랍게도 이 법은 1958년에 아래와 같은 공공행정규범까지 추가되어 더욱 강화된다.
―공공행정규범 34조 7항: "점을 치거나 예언하거나 꿈을 설명하는 직업을 수행하는 자들은 예외적으로 40-60프랑의 벌금형에 처한다."
―공공행정규범 35조: "경우에 따라 꿈의 해석자들에 대해서는 5일간의 구류에 처한다."
―공공행정규범 36조: "점쟁이, 예언자 혹은 꿈의 해석자의 직업을 실행하는 데 사용된 도구들과 의복들은 압수될 것이다."
―공공행정규범 37조: "공공행정규범 34조에서 언급된 모든 이들(예언자, 점쟁이, 꿈 해석자)에 대해 재범의 경우 8일간의 구류에 처할 수 있다."
그러면 어떻게 정신분석과 기독교상담은 동맹의 길을 걸을 것인가? 다음은 게리 문(Gary Moon)의 세 아들의 비유인데 이 비유는 나에게 정신분석과 기독교상담의 통합을 위한 지혜를 주었다. 세 아들은 조상들이 대대로 내려오며 농사짓던 농장을 떠나 각각 대학으로, 도시로 갔다. 그곳에서 그들은 성공을 해서 만족한 생활을 누리게 되었다. 첫째 형의 이름은 심리학이고, 둘째는 목회상담, 그리고 막내는 기독교상담이다. 농장은 터툴리안, 어거스틴, 루터, 칼뱅 등과 같은 역사적인 인물들로부터 기인한 통찰력을 가지고 일하는 일꾼들이 있는 곳이다. 그 농장은 묵상, 기도, 성경강독, 청빈의 삶, 예배와 같은 일들을 통해 인간의 성품을 그리스도의 성품처럼 변화시키는 곳이다. 한편 형제들이 간 도시는 프로이트, 융, 로저스, 설리반 등과 같은 인물들로부터 기인한 통찰력을 가지고 일하는 곳이다. 그들이 그 도시에서 사용하는 것은 정신분석 이론과 방법들이라고 불리는 것들이다. 이 비유의 목적은 심리학이나 목회상담, 혹은 기독교상담의 각 분야가 서로서로를 위협하고 있다는 것을 말하려는 것이 아니다. 이 세 분야의 학문은 인간을 치유하는 데 있어서 그 동안 나름대로 지대한 공헌을 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