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마크 슈미트의 이상한 대중문화 읽기

마크 슈미트의 이상한 대중문화 읽기

(당신을 속여왔던 대중문화 속 주인공들의 엉큼한 비밀, 개정판)

마크 슈미트 (지은이), 김지양 (옮긴이)
인간희극
8,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7,650원 -10% 2,500원
420원
9,7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마크 슈미트의 이상한 대중문화 읽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마크 슈미트의 이상한 대중문화 읽기 (당신을 속여왔던 대중문화 속 주인공들의 엉큼한 비밀,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대중문화론
· ISBN : 9788993784060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10-11-20

책 소개

새로운 디자인과 시차에 따른 몇몇 정보오류를 수정하여 출간한 <마크 슈미트의 이상한 대중문화 읽기> 개정판. 소설가 장정일은 그의 독서 일기에서 이 책을 '한 번도 포착되지 않은 풍경'으로 평하며 외부의 시각에서 들여다볼 때에만 깨닫게 되는 우리 대중문화의 속성을 간파한 이 책의 기발함을 지적한 바 있다.

목차

저자의 인사말 7

I
1. 스머프 마을에도 우울한 날은 있다 10
-스머프에 나타난 정치, 사회적 테마
2. 스타쉽 트루퍼스는 왜 벌레에 맞서 싸울까? 32
-SF와 군국주의
3. 수퍼맨의 변명 46
-수퍼히어로, 수퍼파워, 그리고 개입의 윤리학

II
4. 브로크백마운틴과 사우스파크 사이 62
-동성애 혐오와 동성애 용어의 변천사
5. 호그와트는 등록금이 얼마에요? 92
-해리포터의 유전학과 운명론
6. 태극기 휘날리며 114
-한국영화와 햇볕정책

III
7. 센트럴파크에서 브런치 먹기 142
-두 세계관의 충돌, 섹스앤더시티
8. 공주의 귀환 156
-디즈니 연대기, 혹은 몰락기
9. 애들이 커졌어요! 192
-성애화와 브랏츠 인형

저자소개

마크 슈미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3년 호주 시드니에서 태어났다. 시드니에 있는 매쿼리 대학교(Macquarie University)에서 고대 유럽사와 영문학, 그리고 교육학을 전공한 그는, 세계 각국에서 영어 강사로 일하고 있으며 미국 SLG출판사에서 'Egg Story'와 'Eating Steve'라는 코믹북을 출간한 만화가이기도 하다. 10년 전쯤 '스머프 마을은 이상적인 공산주의 사회다'라는 주제로 발표한 글이 전세계 네티즌들의 뜨거운 반응을 일으켰고, 이 글과 다른 8편의 에세이들을 함께 엮어 출간한 '마크 슈미트의 이상한 대중문화 읽기'는 대중문화에 대한 기발한 분석기법으로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으며 스테디셀러로 자리잡았다.
펼치기
김지양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이탈리아어과 졸업.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영과 2학년 재학중. 『이것은 자전거 이야기가 아닙니다』,『강물소리 귀에 쟁쟁하니』,『마크 슈미트의 이상한 문화 읽기』등을 번역.
펼치기

책속에서

나는 나니아 연대기(The Chronicles of Narnia)가 기독교에 관한 우화이듯, ‘개구쟁이 스머프’도 하나의 정치 우화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나는 여기서 ‘개구쟁이 스머프’는 다름 아닌 마르크시즘 대한 우화라고 주장하려 한다.


작가 닐 가이먼(Neil Gaiman)에 따르면 해리포터가 나오기 전, 영국에서는 10년 동안이나 지저분한 공영주택단지에 살며 헤로인에 중독된 ‘진짜’ 아이들이 등장하는, 음울하고 우울한 소설이 주류였다는 사실이 해리포터 시리즈의 폭발적인 인기 요인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한국의 조폭영화에서 ‘조폭’은 외국인에게 북한에 대한 은유로 읽힌다. 그 영화를 만든 감독에게는 애초에 그런 의도가 단 1%도 없었다 할지라도 한국문화를 깊게 알지 못하는 외부의 시각에서는 그렇게 보인다는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