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사회주의/공산주의
· ISBN : 9788993852400
· 쪽수 : 559쪽
· 출판일 : 2022-01-25
책 소개
목차
차례
서문 ㆍ i
제1장
제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10월 사회주의 대혁명의 승리 ㆍ 1
1. 러시아에서 자본주의의 발전 _1
2. 당 건설을 위한 투쟁 _3
3. 1905년 러시아의 제1차 혁명 _6
4. 반동기 그리고 새로운 고양 _11
5. 제1차 세계 대전과 1917년 2월 혁명 _15
6. 레닌의 “4월 테제” _22
7. 10월 사회주의 대혁명의 승리 _25
제2장
제국주의의 간섭과 내전, 그리고 전시 공산주의
― 쏘련에서 사회주의 생산관계의 확립 과정(1) ㆍ 29
1. 전쟁의 종식과 쏘비에트 권력의 공고화를 위한 볼쉐비끼의 투쟁 _29
2. 사회주의 생산관계의 수립을 위한 최초의 혁명적 조치들 _34
3. 제국주의의 간섭과 내전의 발발 _47
4. 전시 공산주의 _58
제3장
신경제 정책(NEP)하에서 계획과 시장의 모순
그리고 전후(戰後) 경제의 회복
― 쏘련에서 사회주의 생산관계의 확립 과정(2) ㆍ 67
1. 내전의 종식과 신경제 정책(NEP)으로의 전환 _67
2. 신경제 정책(NEP)하에서 계획과 시장의 모순 _76
3. 전후(戰後) 경제의 회복 그리고 공업화의 결의 _92
4. 뜨로쯔끼의 분파 투쟁과 일국 사회주의 논쟁 _98
제4장 사회주의적 공업화와 농업의 전반적 집단화:
사회주의 생산관계의 확립
― 쏘련에서 사회주의 생산관계의 확립 과정(3) ㆍ 107
1. 국민 경제 개조의 준비기(1926-1929년) _107
2. 제1차 5개년 계획 _112
3. 농업의 전반적인 집단화 과정 _123
4. 제2차 5개년 계획 _143
제5장 제2차 세계 대전과 사회주의 세계 체제의 성립 ㆍ 152
1. 파씨즘의 등장과 전쟁 위기의 격화 _152
2. 1930년대 후반 쏘련 내부의 계급 투쟁과 3차 5개년 계획 _158
3. 제2차 세계 대전의 발발과 전시 경제의 조직화 _166
4. 전후 복구와 사회주의 건설의 새로운 조건 _177
5. 사회주의 세계 체제의 형성 _189
제6장 쏘련에서 수정주의의 발생과 전개 ㆍ 197
1. 흐루쇼프 수정주의의 발생 _197
2. 흐루쇼프 수정주의의 경제적 측면 _211
3. 흐루쇼프의 연속으로서 브레쥐네프 수정주의 _221
4. 1965년 꼬씌긴의 수정주의적 경제 개혁과 쏘련 경제의 균열 _227
5. 특권층(노멘끌라뚜라)의 대두, 그리고 쏘련 사회주의 해체 요소의 성장 _235
제7장 쏘련의 해체 과정 ㆍ 242
1. 고르바쵸프의 우편향적 개혁 노선 _242
2. 쏘비에트 연방의 해체 과정 _247
3. 사회주의 생산관계의 해체 과정 _255
제8장 쏘련의 농업 문제와 농업 정책 ㆍ 269
1. 10월 혁명과 혁명적 농업 정책 _270
2. 농업에서 사회주의 생산관계의 확립 _275
3. 흐루쇼프의 농업 정책 _282
4. 브레쥐네프의 농업 정책 _293
제9장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사상과 쏘련에서의 현실 ㆍ 300
1. 맑스, 엥엘스의 프롤레타리아 독재 사상 _300
2. 레닌의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이론과 실천 _315
3. 쓰딸린의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이론과 실천 _329
4. 흐루쇼프, 브레쥐네프의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폐기와 전 인민 국가로의 전환 _339
제10장 맑스주의 민족 이론과 쏘련의 민족 문제 ㆍ 345
1. 맑스, 엥엘스의 민족 이론 _346
2. 레닌의 민족 이론과 실천 _352
3. 쓰딸린의 민족 이론과 실천 _359
4. 흐루쇼프, 브레쥐네프에 의한 맑스주의 민족 이론의 수정 _368
5. 쏘련에서 민족 문제의 폭발과 쏘연방의 해체 _372
제11장 쏘련의 대외 정책과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ㆍ 374
1. 10월 혁명과 쏘비에트 러시아의 대외 정책 _374
2. 2차 대전 전 사회주의 건설 시기의 쏘련의 대외 정책 _381
3. 제2차 세계 대전과 사회주의 세계 체제 성립 시기의 쏘련의 대외 정책 _389
4. 흐루쇼프, 브레쥐네프 시기의 쏘련의 대외 정책 _397
5. 고르바쵸프 시기의 대외 정책과 쏘련의 몰락 _406
제12장 중국 혁명의 승리와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건설 ㆍ 410
1. 5ㆍ4 운동과 제1차 국공합작(國共合作) _410
2. 제1차 국공내전과 항일민족통일전선의 결성(제2차 국공합작) _415
3. 제2차 국공내전과 중화인민공화국의 성립 _418
4. 신(新)민주주의 혁명의 완성과 사회주의적 개조로의 이행 _421
5. 인민공사, 대약진 운동과 공산당 내 노선의 분화 _428
6. 프롤레타리아 문화대혁명의 발생과 전개 그리고 종결 _436
제13장 중국에서 수정주의의 등장 그리고 중국 사회의 사회주의 시장 경제로의 전환 ㆍ 445
1. 등소평 수정주의의 등장과 전개 _445
2. 농업에서 사회주의 생산관계의 해체와 소농 체제로의 전환 _455
3. 사회주의 국유 기업의 자본주의적 회사 기업으로의 전환 _461
4. 2000년대 이후 중국 국가독점자본주의의 완성 _472
5. 소결(小結) _479
제14장 토니 클리프의 쏘련 국가자본주의론 비판 ㆍ 486
1. 쏘련에서 관료는 지배계급인가? _487
2. 쏘련에서 노동력은 상품이었는가? _492
3. 토니 클리프의 가치 법칙에 대한 왜곡된 이해에 대하여 _496
4. 쏘련의 경제적 토대, 사회주의 생산관계에 대한 왜곡 비판 _500
5. 쏘련의 상부 구조, 정치적 성격에 대한 왜곡 비판 _508
제15장 좌익 공산주의자들의 쏘련 사회 성격 왜곡에 대한 비판 ㆍ 514
1. 10월 혁명의 성격에 대한 왜곡 비판 _515
2. 사회주의 생산관계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좌익 공산주의자들의 오류 _518
3. 소외된 노동에 대한 잘못된 이해 _522
4. ‘가치의 불구화’에 대하여 _525
제16장 결론 ㆍ 530
1. 상품-화폐 관계를 전제로 하는 계획 경제 _530
2. 프롤레타리아 독재의 강화를 통한 국가의 소멸 _531
3. 문화혁명을 통한 계급 사회 잔재의 소멸 _533
4. 프롤레타리아 독재 체계의 정립과 프롤레타리아 민주주의의 발전 _535
5. 이행기 사회로서 사회주의 사회의 혁명적 성격의 유지, 발전 _537
6.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와 평화 공존 _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