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일반
· ISBN : 9788993852448
· 쪽수 : 781쪽
· 출판일 : 2023-04-20
책 소개
목차
역자 서문·ⅰ
저자 서문_1
제1부
노동자계급의 전위당에 대하여 그리고 레닌의 혁명론 대(對) 뜨로쯔끼의 ‘영구혁명’론_97
제1장 1부에 대한 서론_99
제2장 [프롤레타리아트의 당] 새로운 유형의 당에 대한 레닌의 사상과 뜨로쯔끼의 청산주의_108
제3장 [혁명론] 레닌의 혁명론 대(對) 뜨로쯔끼의 ‘영구혁명’론_133
제4장 1부에 대한 결론, 뜨로쯔끼주의―프롤레타리아 혁명과 민족해 방운동의 적_158
제2부
일국에서의 사회주의_173
제5장 일국에서의 사회주의_175
제6장 집단화―농촌에서 사회주의의 건설_203
제3부
모스끄바 재판들_227
제7장 서론_229
제8장 테러리즘_272
제9장 파괴, 교란 그리고 사보타주_297
제10장 파시즘과의 반역적 협정_320
제11장 음모의 군사적 측면―쿠데타 계획_337
제12장 모스끄바 재판에 대한 부르주아적 비판과 이들 비판에 대한 반박_354
제4부
중국혁명에 대한 두 노선
―코민테른의 노선과 뜨로쯔끼주의 반대파의 노선_403
제13장 국제공산주의 운동과 관련한 뜨로쯔끼주의_405
제14장 왜 뜨로쯔끼주의 반대파는 그들이 중국혁명과 관련하여 범한 종류 의 오류들을 쏘련에서 범했는가?_431
제15장 코민테른이 중국공산당에게 영향을 준 통일전선의 개념_451
제5부
스페인 내전_473
제16장 스페인 내전의 배경_475
제17장 인민전선의 형성과 전쟁의 경과_491
제6부
집단화에 대하여_529
제18장 집단화_531
제19장 중국정책연구그룹(China Policy Study Group)에 대한 비판_573
제7부
프롤레타리아 독재하에서의 계급투쟁의 기제들에 대하여_611
제20장 프롤레타리아 독재하에서의 계급투쟁의 기제들에 대하여_613
제21장 계급과 계급투쟁_616
제22장 사회주의하에서 계급투쟁의 격화_630
제23장 ‘일국에서의 공산주의’_651
제24장 ‘민족주의적 타락’_659
제25장 ‘대중노선의 결여’_700
제26장 쓰딸린과 인텔리겐챠_714
제27장 결론_720
부록 1 레닌의 유언_727
부록 2 뜨로쯔끼와 제국주의 언론_742
부록 3 한 뜨로쯔끼주의자가 뜨로쯔끼를 살해했다_765
책속에서
제국주의적 부르주아지의 적지 않은 도움을 받아 뜨로쯔끼주의자들이 만들어낸 신화들 중의 하나는 레닌주의와 뜨로쯔끼주의는 동의어라는 것이다. 즉 뜨로쯔끼는 레닌 이후 가장 훌륭하고 위대한 볼쉐비키였다는 것(심지어 일부는 레닌이 위대한 뜨로쯔끼주의자였다고까지 암시한다), 혹은 뜨로쯔끼야말로 레닌주의의 진정한 상속자이고 레닌의 존경할 만한 계승자였으나 원통하게도 이오씨프 쓰딸린이라는 3류의 평범하고 게다가 동양적인 전제군주의 교활한 책략에 의해 자신의 합당한 지위를 박탈당했다는 것이다.
- 저자 서문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