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전기(개국~임진왜란 이전)
· ISBN : 9788993905359
· 쪽수 : 395쪽
· 출판일 : 2010-09-0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연산군 계보
연표
책을 시작하며
전근대 신분제도와 왕정의 원리 | 이 책의 시각과 내용
제1장 성종대의 정치적 유산
1. 성종대의 정치 구조
삼사의 위상 제고와 정치적 정립 구도의 형성 | ‘훈구-사림’ 문제의 이해
2. 모후의 사사
폐비 윤씨의 가계 | 성종의 비빈들 | 입궁과 왕비 책봉 | 폐비 사건의 전말 1-폐비와 별거 | 폐비 사건의 전말 2-폐서인과 출궁 | 폐비 사건의 전말 3-사사 | 폐비 사건의 원인과 결과
제2장 갈등의 시작과 무오사화(연산군 1~4년)
1. 기초적 사항의 검토
『연산군일기』의 자료적 성격 | 문학과 영상의 형상화 | 세자 시절의 자질 | 문리의 불통
2. 즉위와 갈등의 시작
수륙재 논쟁과 유생의 처벌 | 외척의 임용과 포상 | 내시와 봉보부인에 대한 탄핵 | 폐모의 추숭 | 대신과 삼사의 대립 | 노사신과 삼사의 충돌 | 성종의 정치적 유산 | 국왕과 삼사의 갈등
3. 무오사화의 발발과 전개
사화의 시작 | 사화의 전개 1-김일손의 사초 | 사화의 전개 2-붕당의 단초 | 사화의 전개 3-「조의제문」의 발견과 해석 | 신문과 진술 | 삼사의 연루 | 연루자들의 처벌 | 사화의 분석
제3장 왕권의 일탈과 갑자사화(연산군 5~10년)
1. 왕권의 자의적 행사
삼사의 위축 | 사치의 증가 | 사냥에의 탐닉 | 응방의 확대 | 연회와 음행 | 접근의 차단
민가의 철거 | 발언의 통제
2. 정치적 지형의 재편
재개되는 삼사의 발언 | 국왕과 삼사의 충돌 | 대신들의 간언 | 대신과 삼사의 협력
3. 갑자사화의 폭발과 전개
고조되는 국왕의 불만 | 이세좌의 실수 | 사화의 발발-홍귀달 사건 | 폐모 사건의 보복 | 피화인의 분석 | 재산의 몰수 | 숙청의 일단락
제4장 폭정과 폐위(연산군 11~12년)
1. 일상화된 폭정
제압된 신하들 | 왕권의 절대화 | 경직되는 태도 | 제도의 변개 | 발언의 봉쇄 | 토목공사의 확대 | 민가 철거의 재개 | 금표의 확장 | 사냥에의 몰두 | 황음의 만연 | 추문의 확대 | 재정 지출의 급증 | 정무의 태만
2. 폭정의 종결
불안해하는 폭군 | 반정과 폐위, 그리고 사망
3. 개인적 사항들
비빈과 자녀들 | 부왕과 대비에 대한 증오 | 편집증적 심리와 행동
책을 마치며
주註
갑자사화 피화인 명단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