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조선의 변방과 반란, 1812년 홍경래 난

조선의 변방과 반란, 1812년 홍경래 난

김선주 (지은이), 김범 (옮긴이)
푸른역사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조선의 변방과 반란, 1812년 홍경래 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조선의 변방과 반란, 1812년 홍경래 난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91156121732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0-09-22

책 소개

농민반란? 계급투쟁? 조세 폭동? 홍경래 난 색다르게 보기 완결판. 재미 한국사학자가 관찬 사서 외에 재판기록, 일기, 문집 등을 꼼꼼히 분석해 쓴 책으로, 홍경래 난에 관한 새로운 시각을 제공한다.

목차

1부 국가, 지역, 지역 지배층 그리고 문화

1장 청북 지역의 역사적 발전과 지역 지배층
북부 지역의 초기 역사
조선 전기의 북부 지역 지배층
지역 지배층―통합.분열.경쟁

2장 지역 차별과 홍경래 난
평안도 출신의 문과 성적
차별적 정치문화의 본질
차별의 실제―백경해의 사례
차별의 근원에 관한 한 가지 설명
평안도 주민의 문화적 정체성
지역적 정체성과 반란

3장 홍경래 난의 경제적 맥락
북부의 경제와 조세 행정
환자의 운영과 지방민의 불만
조세, 농민의 빈곤, 그리고 반란
상업경제의 확대와 상인의 반란 가담

4장 예언과 대중 반란
풍수설―한국에서 전개된 이론과 실천
홍경래 난의 예언적 신앙

2부 1812년 홍경래 난

5장 반란 세력 지도부와 참여자
핵심 지도부의 구성
반란 연결망의 구축―반란 세력 점령 지역 외부
청북 지역에서 내응의 모집
반란의 준비

6장 반란 세력과 진압 세력
반란의 초기 단계
중앙 정부의 반격과 송림 전투
정주 이북의 반란 세력과 의병의 기여

7장 수세에 몰린 반란 세력
반란의 실패

8장 홍경래 난 연구에 나타난 민족·계급·지역
토착적.진보적.혁명적 전통과 왕조의 쇠퇴
반란의 동력으로서 계급투쟁
조선 후기의 지역 차별과 중앙.주변의 관계
반란에서 풍수설과 천명의 역할
반란과 그 영향

부록
1. 1차 자료와 방법론
2. 백경해의 경력
3. 반란 주요 지도자들의 운명
4. 조선왕조의 국왕

옮긴이의 글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김선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하버드대학 동아시아언어문명학과의 하버드-옌칭 한국사 기금교수이다. 1984년 연세대 사학과를 졸업하고, 2000년 워싱톤주립대학에서 홍경래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Marginality and Subversion in Korea: The Hong Kyngnae Rebellion of 1812 (Seatt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07), 이 책의 한국어판 『조선의 변방과 반란, 1812년 홍경래난』(푸른역사, 2020), Voice from the North: Resurrecting Regional Identity through the Life and Work of Yi Sihang (1672-1736)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3)의 저자이다. 공저로 Wrongful Deaths: Selected Inquest Records from Nineteenth-Century Korea (Seattle: University of Washington, 2014) 가 있고, 하버드-옌칭도서관의 유일본인 『숙천제아도』와 『제주도여행일지』의 영인본 출판을 기획하고 편집하였는데, 이 책들에는 원문의 번역과 연구논문이 포함되어 있다.
펼치기
김범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0년 서울 출생. 현재 국사편찬위원회 편사연구관이다. 조선전기 정치사를 연구해 고려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저서에 『사화와 반정의 시대』 『연산군: 그 인간과 시대의 내면』 『사람과 그의 글』, 『민음 한국사―15세기』(공저) 등이 있고, 번역서에 『유교적 경세론과 조선의 제도들: 유형원과 조선후기』(제임스 팔레), 『조선왕조의 기원』(존 던컨), 『무신과 문신』(에드워드 슐츠), 『조선의 변방과 반란, 1812년 홍경래 난』(김선주), 『동아시아 세계질서의 종막』(김기혁)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평안도 출신은 조정의 명망 있는 고위직으로 승진하는 데서 일상적으로 차별을 받았다. 중앙 양반은 북부 출신이 무예를 숭상하지만 학식이 부족하며 그 지역에는 양반이 전혀 없다고 주장했다. 조선 후기 북부 지역 지배층은 남부 지역 지배층보다 더 많은 문과 급제자를 배출했고, 중앙의 차별에서 연유한 관심을 공유했으며, 그것은 집단적 불만의 핵심적 사항이 됐다.


조정은 분토糞土를 버리듯 평안도西土를 버렸다. 권문의 노비들도 평안도 출신을 보면 반드시 ‘평안도 놈平漢’이라고 부른다. 평안도 사람이 어찌 억울하고 원통하지 않겠는가! 조정은 위급한 일을 만날 때마다 반드시 평안도의 힘에 의지하고, 과거를 치를 때마다 평안도 출신 문사의 힘을 빌렸다. 400년 동안 평안도 사람이 조정을 저버린 적이 있었는가.


조선 후기의 저명한 학자 정약용丁若鏞(1762~1836)이 지적한 대로 유명한 가문淸族 출신 급제자는 승문원承文院에 임명됐지만 북부 출신은 성균관에, 양반의 서얼은 교서관校書館에 배속됐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