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후기(영조~순종)
· ISBN : 9791156121732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0-09-22
책 소개
목차
1부 국가, 지역, 지역 지배층 그리고 문화
1장 청북 지역의 역사적 발전과 지역 지배층
북부 지역의 초기 역사
조선 전기의 북부 지역 지배층
지역 지배층―통합.분열.경쟁
2장 지역 차별과 홍경래 난
평안도 출신의 문과 성적
차별적 정치문화의 본질
차별의 실제―백경해의 사례
차별의 근원에 관한 한 가지 설명
평안도 주민의 문화적 정체성
지역적 정체성과 반란
3장 홍경래 난의 경제적 맥락
북부의 경제와 조세 행정
환자의 운영과 지방민의 불만
조세, 농민의 빈곤, 그리고 반란
상업경제의 확대와 상인의 반란 가담
4장 예언과 대중 반란
풍수설―한국에서 전개된 이론과 실천
홍경래 난의 예언적 신앙
2부 1812년 홍경래 난
5장 반란 세력 지도부와 참여자
핵심 지도부의 구성
반란 연결망의 구축―반란 세력 점령 지역 외부
청북 지역에서 내응의 모집
반란의 준비
6장 반란 세력과 진압 세력
반란의 초기 단계
중앙 정부의 반격과 송림 전투
정주 이북의 반란 세력과 의병의 기여
7장 수세에 몰린 반란 세력
반란의 실패
8장 홍경래 난 연구에 나타난 민족·계급·지역
토착적.진보적.혁명적 전통과 왕조의 쇠퇴
반란의 동력으로서 계급투쟁
조선 후기의 지역 차별과 중앙.주변의 관계
반란에서 풍수설과 천명의 역할
반란과 그 영향
부록
1. 1차 자료와 방법론
2. 백경해의 경력
3. 반란 주요 지도자들의 운명
4. 조선왕조의 국왕
옮긴이의 글
참고문헌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평안도 출신은 조정의 명망 있는 고위직으로 승진하는 데서 일상적으로 차별을 받았다. 중앙 양반은 북부 출신이 무예를 숭상하지만 학식이 부족하며 그 지역에는 양반이 전혀 없다고 주장했다. 조선 후기 북부 지역 지배층은 남부 지역 지배층보다 더 많은 문과 급제자를 배출했고, 중앙의 차별에서 연유한 관심을 공유했으며, 그것은 집단적 불만의 핵심적 사항이 됐다.
조정은 분토糞土를 버리듯 평안도西土를 버렸다. 권문의 노비들도 평안도 출신을 보면 반드시 ‘평안도 놈平漢’이라고 부른다. 평안도 사람이 어찌 억울하고 원통하지 않겠는가! 조정은 위급한 일을 만날 때마다 반드시 평안도의 힘에 의지하고, 과거를 치를 때마다 평안도 출신 문사의 힘을 빌렸다. 400년 동안 평안도 사람이 조정을 저버린 적이 있었는가.
조선 후기의 저명한 학자 정약용丁若鏞(1762~1836)이 지적한 대로 유명한 가문淸族 출신 급제자는 승문원承文院에 임명됐지만 북부 출신은 성균관에, 양반의 서얼은 교서관校書館에 배속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