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숭례문의 나라

숭례문의 나라

김경민 (지은이)
테라스북(Terrace Book)
13,8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420원 -10% 2,500원
690원
14,23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4개 5,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숭례문의 나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숭례문의 나라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역사소설 > 한국 역사소설
· ISBN : 9788994300214
· 쪽수 : 512쪽
· 출판일 : 2013-05-05

책 소개

김경민 장편소설. 새 나라 조선을 설계하고 통째로 삼키려는 정도전과 아비를 왕으로 만들고 절대 권력을 꿈꾸었던 이방원. 두 세력이 숭례문을 놓고 벌이는 1000일간의 숨 막히는 한판 승부. 숭례문은 그들이 꿈꾼 천년 세상에 화룡점정이 될 수 있을 것인가?

목차

머리말
프롤로그 - 악귀들의 잔치
제1장 - 자안(自安)
제2장 - 누구를 위한 나라인가
제3장 - 만연(萬緣)
제4장 - 귀신
제5장 - 춘몽을 바라다
제6장 - 사욕에 눈먼 사공들
제7장 - 구밀복검(口蜜腹劍), 입에는 꿀이 있고 뱃속에는 칼이 있다
제8장 - 뜬구름을 좇는 자와 그 아래 깔리는 자
재9장 - 쫓고 쫓기는 상량
제10장 - 천명(天命)
작가 후기
참고 자료

저자소개

김경민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5년 출생. 대중소설로 문단에 데뷔했다. 2005년 첫 역사소설을 발표했으며, 이후 주로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한 역사물을 집필해왔다. 역사적 팩트를 바탕에 두고 다양한 시각으로 재해석한 것이 작품적 특징이다. 역사소설 중 『김수로: 철의 아들』은 집필한 작품 중 유일한 가야의 이야기다. 일반인의 통념을 넘어선 역사 해석과 인물에 대한 그만의 감성적 접근으로 독자들을 감동케 하는 흡인력이 있다. 섬세하며 때론 속도감 있는 독특한 문체로 많은 고정 독자들을 확보하고 있다. 작품으로는 『한 손에 잡히는 조선 상식 사전』, 『사도세자: 비화의 왕』, 『이우: 일제에 맞서 민국을 꿈꾼 조선의 왕자』, 『어을우동: 왕의 여인』, 『숭례문의 나라』, 『승자 결심: 내 상처는 내 인생의 스승이다, 실패를 두려워 마라!』 등이 있다. 이번 작품 『조선의 뒷담화』는 그의 13번째 작품이다. “역사의 뒤안길에서 내 손을 기다리는 인물들이 좋다. 바람결에 흩날리는 비화(悲話)나 비화(祕話)가 좋다.”
펼치기

책속에서

“자안이, 너! 선장소임께 그 무슨 말버릇이냐? 하고, 부탁 좀 드립시다. 어쩌겠소. 4대문 중에 제일 으뜸으로 칠 남대문이 아니오. 여러 사신들이 이 문으로 조선이란 도읍지에 들어설 터인데 열과 성의를 다해야 디디는 발걸음도 흥겹지 않겠소이까? 이 땡중은 오장육부가 튼튼해서 욕도 소화를 잘 시키지요. 자귀 솜씨가 참으로 훌륭합니다.”


흔적도 없이 사라진 옹이를 보며 여럿이 수군거렸다. 전나무의 죽은 옹이는 대팻날이 부서질 정도로 강했는데, 나무를 다루는 이들이라면 그 옹이를 두고 죽은 목수의 혼이 붙었다고 하였다. 며칠 전 나무를 잘못 건드려 화를 입은 그 일로 인해 없어진 옹이를 두고 또 수군대는 소리였다.


아침 역사를 시작하려 할 때는 이미 큰 사단이 벌어진 뒤였다. 중간중간 나무가 헤집어져 있었다. 사람으로 치자면 몸이 몇 군데나 잘려 나가 토막 살인이 난 셈이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