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세무/재무/회계
· ISBN : 9788994491288
· 쪽수 : 372쪽
· 출판일 : 2015-02-2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재무제표 읽기 - 투자자를 위한 선택과 집중
제1장 쉽고 재미있게 회계 배우기
1_회계의 개념 잡기 - 상식적인, 재미있는, 결코 어렵지 않은
1. 복식부기의 원리 / 2. 발생주의와 실현주의 / 3. 수익 비용 대응의 원칙 / 4. 회계 기준 / 5.실적 발표와 회계감사 / 6. 재무제표의 구성과 유의점
제2장 재무상태표로 기업의 재무 상태 파악하기
1_재무상태표
2_자산 - 자산은 자산다워야 한다
1. 현금 및 현금성자산 / 2. 단기금융상품(금융기관예치금) / 3. 매출채권 / 4. 재고자산 / 5. 기타유동자산 / 6. 금융자산 / 7. 유형자산과 투자부동산 / 8. 무형자산 / 9. 이연법인세자산(부채)
3_부채 - 눈에 잘 보이지 않는 것을 잘 찾기
1. 차입금 / 2. 사채,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 / 3. 매입채무 / 4. 충당부채 / 5. 상환우선주부채 / 6. 고객충성제도(포인트) / 7. 기타부채 / 8. 눈에 보이지 않는 우발부채
4_자본과 자본변동표 - 굵직한 이벤트만 체크하면 OK!
1. 자본금 / 2. 자본잉여금 / 3. 이익잉여금 / 4. 기타자본항목 / 5.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제3장 손익계산서로 경영 성과 엿보기
1_손익계산서 - 중요한 재무보고서, 특히 중요한 것은?
2_매출액(영업수익) - 업종별 수익 인식 방법 알아보기
1. 수주산업 / 2. 금융업 / 3. 수수료수익
3_매출원가 - 사업보고서를 활용해 원가 분석하기
4_판매비와관리비 - 주석에서 정보를 찾아 매출과 비교 분석하기
5_금융수익, 금융비용(원가)
6_기타수익, 기타비용(기타영업외수익, 기타영업외비용)
7_법인세비용
8_중단사업(중단영업)
9_주당이익(EPS)
1. 기본주당이익 / 2. 희석주당이익
제4장 지배기업과 종속기업 그리고 재무제표
1_별도재무제표, 연결재무제표, 개별재무제표
1. 연결재무제표 작성법 / 2. 지분법 회계 처리 / 셀트리온 사례로 본 회계 이슈
제5장 기업의 현금흐름 파악하기
1_현금흐름표
1. 영업활동 현금흐름 / 2. 투자활동 현금흐름 / 3. 재무활동 현금흐름
제6장 주석사항에서 알짜 정보 얻기
1_주석사항
제7장 재무제표 분석과 주요 재무비율
1_주요 재무비율 … 334
1. 시장가치비율 / 2. 수익성비율 / 3. 성장성비율 / 4. 안정성비율 / 5. 유동성비율
맺음말 인생은 짧고 기업은 계속된다
찾아보기 - 용어편
찾아보기 - 기업편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 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재무제표를 해석하기 위해 우선 회계 개념부터 잡아야 하므로 회계 이론과 재무제표 흐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실제 기업들의 재무제표 사례를 보면서 어떤 점을 살펴봐야 하고 그 속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가 무엇인지 알 수 있도록 했다.
둘째, 철저히 회계 정보 이용자의 입장에 서서 중요하지 않은 부분에 대한 설명은 과감히 생략하고, 투자 의사 결정 과정에서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부분에 대해서는 좀 더 자세히 설명하는 등 선택과 집중을 했다.
셋째, 전문적인 내용과 회계 처리가 많이 들어가는 계정과목은 쉽게 설명을 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런 계정과목에 대해서는 끝나는 부분에 별도로 ‘핵심개념’, ‘재무 분석 Key’라는 항목을 만들어서 이론을 요약하고 재무제표를 검토할 때 주의할 점을 정리했다.
넷째, 알려진 많은 기업들의 재무제표를 인용해 쉽고 재미있게 분석할 수 있도록 했다. 이 책의 취지가 정확한 회계 기준과 재무 이론을 독자에게 보여주는 것이 아니므로 경우에 따라서는 회계 기준의 문구를 함축하거나 확대 해석하여 투자자의 이해를 높이려 했다.
- 머리말
우리 마음속에는 현금주의가 깊게 박혀 있기 때문에 발생주의 회계를 처음 접하면 다소 낯설게 느껴질 수도 있다. 이런 이유로 인해 회계 정보 이용자에게 재무상태표나 손익계산서 못지않게 현금흐름표 또한 중요 재무제표로 인식되고 있다. 재무상태표와 손익계산서는 발생주의에 의해 만들어지므로 기업의 현금이 어떻게 돌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과거에는 기업의 손익계산서에는 항상 이익이 나는데 반해 막상 회사 내부에는 현금이 돌지가 않아 흑자 도산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그 이유는 현금흐름표를 살펴보면 찾을 수 있다.
- 제1장 쉽고 재미있게 회계 배우기
채권의 회수와 대손충당금의 설정과 관련하여 회계 정보 이용자가 검토할 사항은 주석사항에 대부분 공시되어 있다. <그림 2-6>은 대우건설의 매출채권 관련 주석사항인데, 기업이 보유한 각 채권들의 대손충당금 설정 현황을 보여주고 있다.
매출채권 대비 대손충당금 설정 비중이 14%(507,354÷3,595,024) 정도이니 매우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삼성전자와 현대차(현대자동차)가 1%대인 점을 고려하면 건설업, 조선업 등 어렵다고 이야기가 나오는 산업에 속할수록 대손율이 높은 편이다. 하지만 우리는 대우건설을 삼성전자나 현대차와 비교할 수 없으니 동종 산업과 비교하여 높다, 낮다를 판단해야 합리적일 것이다.
- 제2장 재무상태표로 기업의 재무 상태 파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