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디자인/공예 > 디자인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94524054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2-03-20
책 소개
목차
디자인을 상상하기 Imagine Design
김상학 신체성과 저자성이 옷을 벗고 마주 보다
나형식 초정상자극의 시지각 기제
백도현 컬러를 알면 미래가 보인다
원명진 청바지, 21세기 모든 인간의 피부가 되다
이용수 막연함을 상상하다
이창수 좌우에 대한 선호도
허욱 우리 옛 그림 읽기
디자인에서의 상상 Imagination at Design
김신혜 웨이파인딩을 다시 묻다.
류철호 지역성 해석의 엇갈린 시선
박완선 다시, 인문학으로
선병일 포스터 근작 여행
윤성원 새로운 디자인으로 서비스를 혁신하라
서소미 Can Design Save the World?
디자인계를 상상하기 Imagine Design Area
김동빈 포스트모더니스트 세종, 포스트모던 디자인 한글
박현택 파리, 전통과 혁신의 수사학
이상원 한국형 애니메이션 콘텐츠
조현주 모빌리티 관점으로 본 시공간 압축의 문제
하상희 인터페이스의 증강현실 욕망
저자소개
책속에서
역사 속의 수많은 그래픽 작업물이 ‘무방향성’이 갖는 개념적, 해석적 특성을 활용해왔다. 상업적인 면에서는 광고가 평면적 구도와 주인공이 ‘나’를 응시하는 이미지로 강요된 소통구도를 이용해왔다. 영화가 실험해온 것은 보이지 않는 투명한 카메라 편집의 규칙을 깨는 것이었고, 그 방법론 중 하나는 이미지의 무방향적 특성을 이용해서 관람자의 감각적 각성 경험을 조작하는 것이 아니었을까?
산의 나무에 묶여 있는 리본. 우리는 이것이 무슨 뜻인지 안다. 어쩌면 이 간단한 끈 하나가 사람의 생명을 구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이 리본이 엉뚱한 방향의 나무에 묶여 있다면 사람을 죽일 수도 있다. 이처럼 웨이파인딩은 생사를 가를 정도로 중요할 수도 있다.
한글 창제의 철학적 바탕이자 그 출발점은 ‘차이의 인정’, ‘다름의 존중’이다. ‘우리말과 중국말의 다름’, ‘지배계층과 다른 일반 백성들의 상황’이 바로 그것이다. ‘다름’을 인정하지 않고는 새로움으로 향할 수 없다. 세종의 가장 위대한 업적은 한글 창제다. 한글 창제는 과정과 결과 모두 지극히 포스트모던하다. 이러한 면모는 한글 창제 철학에 오롯이 드러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