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디자인/공예 > 디자인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94524160
· 쪽수 : 278쪽
· 출판일 : 2013-03-20
책 소개
목차
공감의 디자인 Design of Sympathy
선병일 포스터 근작 여행 2
허욱 디자이너에게 던진 사자성어
김윤배 2014인천아시안게임 로고의 텍스트화용론적으로 들여다보기
박현택 비석의 숲에서 길을 찾다
박완선 디자인의 본질을 기억하자
김상학 창작의 시작-비표상적 사고의 디자인
조현주 공감의 플랫폼으로서 디자인 기호학
이용수 디자인 서울의 리디자인
서소미 문학과 디자인의 공감
공유의 디자인 Design of Sharing
염동철 너의 뽀통령, 뽀느님
김동빈 디자이너의 사회적 역할과 공공성에 대한 소명의식
정민 원시미술을 통해 본 디지털 시대의 소통의 고리
원명진 공간의 사치, 공간의 비만, 공간의 꿈
하상희 증강현실 경험디자인의 짜임새
백도현 도시브랜드와 디자인 공감
정문수 마을 공동체에서 커뮤니티 디자인의 역할
저자소개
책속에서
재세여려在世如旅
정년을 코앞에 둔 성균관대 백금남 교수는 자타가 공인하는 이미지 수집가입니다. 함께 여행을 가보면 조그만 카메라로 사방팔방 연신 셔터를 눌러댑니다. 길안내 표지판도 찰칵! 상점 간판도 찰칵! 화장실 픽토그램도 찰칵! 심지어 맨홀뚜껑도 찰칵! 호텔방으로 돌아오면 그날 수집한 이미지를 분류하여
정리한 후에야 비로소 잠자리에 든다고 합니다.
책상 앞에서 머리를 쥐어뜯고 있는 중이신가요? 차라리 가벼운 배낭 하나 싸시지요. 디자인은 이미 시작된 것입니다.
들뢰즈의 비표상적 창조의 근원 연구는 사고하게 만드는 문화적, 디자인적 괴물을 탄생하게 한다. 당혹스럽지만 기억에 남는 것, 감성을 놀라게 하면서 사고하게 하는 것, 그것이 바로 비표상의 작동방식이다. 그리고 그때 디자인은 하나의 기호로서 작동한다. 그 기호는 일반적 기호가 아닌 징후를 무한히 내포한 기호다. 그때의 디자인은 우리를 새로운 사고로 인도한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잠재성의 장에서 어떻게 현실화를 이룰 것인가, 그 구체적 여정을 어떻게 육화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그것이 바로 창작의 동인이기 때문이다.
디자인서울의 모든 문제는 우연성을 인정하지 않는 오만함에서 비롯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모든 것을 통제할 수 있다는 허황된 오만, 모든 것을 통제의 대상으로 보는 도구적 이성의 폐해들의 총합이다. 그래서 그 안티테제로서 문화적 측면에서 모든 규제를 제거하고 그 다양성을 포용하는 것이 진정한 창의도시의 실현이라는 포스트모더니즘적 명제가 힘을 얻기도 한다. 언뜻 노장사상은 그 안티테제를 지지하는 것으로 보이겠지만, 사실 노장사상은 훨씬 유연한 가능성을 잠재하고 있다. 규제는 필요하다. 하지만 그 규제는 시각적 정리가 주된 목적이어서는 안 된다. 자연스럽게 형성된 역사, 즉 이야기가 계속 전개될 수 있는 우연성의 공간을 마련하고 예상하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 노장사상은 규제와 방치의 경계를 중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