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경제학/경제일반 > 경제사/경제전망 > 세계 경제사/경제전망
· ISBN : 9788994586076
· 쪽수 : 324쪽
· 출판일 : 2011-10-21
책 소개
목차
서문
제1장 금융위기는 어떻게 와서 어디로 가는가
(1) 금융위기의 세 가지 원인
(2) 금융위기는 어떻게 진행되었나
(3) 금융위기, 재정위기 그리고 통화위기
(4)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과 부양책의 한계
(5) 경기부양책의 한계
제2장 제로금리 정책 무용론
(1) 테일러 모델과 버낸키 의장의 반박
(2) 제로금리 정책의 메커니즘
(3) 일본 민간은행들의 캐리 트레이드
(4) 미국 민간은행들의 캐리 트레이드
(6) 새로운 경제이론의 가능성
제3장 한계를 부딪힌 달러 기축통화제
(1) 양적 통화확대책과 환율전쟁
(2) 국제 분업구조와 환율조정
(3) 달러 기축통화제의 한계
(4) QE3 가능성과 재정건전화의 딜레마
제4장 금융자유화의 한계와 볼커 규제안
(1) 서브프라임론의 탄생
(2) 직접금융 VS 간접금융
(3) 미국 규제금융 패러다임의 변화
(4) 탈규제와 금융자유화
(5) 금융혁신과 글로벌화
(6) 볼커룰(Volker rule)
(7) 새로운 금융규제 패러다임, 돗드-프랭크법
제5장 재정위기에 허덕이는 유럽경제
(1) 신용등급 강등이 예상되는 프랑스
(2) 유럽경제를 떠받칠 수 없는 독일
(3) 성장동력을 잃어가는 이탈리아
(4) 부동산투기와 대외채무로 성장해온 스페인
(5) 쌍둥이적자로 파산하는 그리스
(6) 위기에 처한 아일랜드, 포르투갈
제6장 인플레 위기에 직면한 세계경제
(1) 폭등하는 식료품 가격
(2) 왜 미국의 인플레 압력은 낮을까
(3) 지표물가와 체감물가의 괴리
(4) 통화 증발과 화폐적 인플레
(5) 구조화되는 인플레 위기
제7장 공적채무와 인플레 역습
(1) 채무의 유형
(2) 한국의 총채무 규모
(3) 빚더미에 깔린 공기업
(4) 민간부문의 채무 현황
(5) 잠재채무의 규모
(6) 회계적 채무와 경제적 채무
제8장 글로벌 금융위기: 음모론 vs. 장기파동설
(1) 음모론
(2) 장기파동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