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세금
· ISBN : 9788994605142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12-10-26
책 소개
목차
추천사
어떻게 상속할 것인가?
들어가는 글
상속은 과연 부자들만의 문제인가
1부 미리 준비하면 더 안전하다
힘들게 번 돈, 안전하게 지키고 싶다면
신탁에 의한 행복 상속 플랜
유언장과 신탁은 어떻게 다를까?
안전한 자산이전
tip 신탁법 개정에 따른 변화
상속 플랜을 짤 때 고려할 점
부동산 신탁을 통한 자산 관리
상속 플랜 실전 상담 사례 분석
상속 집행 과정 살펴보기
tip 신탁에 대한 편견과 오해
2부 재산 분쟁 없는 희망 상속 플랜
01 미성년 자녀를 위한 희망 상속 플랜
나이 어린 자녀가 재산 관리 능력이 있을 때까지 재산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은?
02 미성년 자녀를 위한 희망 상속 플랜
어린 미성년 자녀를 위한 선진 상속 플랜인 Living Trust가 국내에서도 실현 가능한가?
03 미성년 자녀를 위한 희망 상속 플랜
갑작스런 사고로 남편을 잃는 젊은 미망인의 선택은?
04 노후 대비를 위한 희망 상속 플랜
남겨질 부인과 해외에 있는 자녀를 위해 미리 준비해야 할 것은?
05 노후 대비를 위한 희망 상속 플랜
철없는 자녀로부터 재산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는 방법은?
06 법적 분쟁에서 내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희망 상속 플랜
나도 모르는 사이 내 재산에 억울한 법적 절차가 들어온다면?
07 법적 분쟁에서 내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희망 상속 플랜
형제 명의로 해놓은 부동산, 어떻게 내 자녀에게 상속할까?
08 해외에 거주하는 자녀들을 위한 희망 상속 플랜
학업 때문에 미국에 거주하는 미성년 자녀에게 국내 소재 재산을 상속하려면?
tip 비거주자에 대한 상속, 증여(재미동포 중심으로)
09 해외에 거주하는 자녀들을 위한 희망 상속 플랜
미국 시민권자인 딸에게 전재산을 넘겨주고 싶다면?
10 해외에 거주하는 자녀들을 위한 희망 상속 플랜
부부 공동 소유 한국 재산을 미국 시민권자인 자녀에게 물려주고 싶다면?
11 해외에 거주하는 자녀들을 위한 희망 상속 플랜
전가족이 모두 국내 비거주자일 때 국내 재산을 어떻게 상속해야 하나?
12 남보다 못한 가족으로부터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희망 상속 플랜
이혼한 남편으로부터 자녀를 보호하기 위한 시한부 엄마의 선택은?
13 남보다 못한 가족으로부터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희망 상속 플랜
아들을 먼저 보낸 부모의 분쟁 없는 상속 플랜
tip 가업승계란?
14 남보다 못한 가족으로부터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희망 상속 플랜
딸의 안타까운 죽음 이후 외손자에게 재산을 상속하되, 어떻게 주어야 안전할까?
15 복잡한 가족 구성원을 위한 희망 상속 플랜
법적 부인과 사실혼 부인 사이에서
tip 배우자와 별거 기간 중 형성한 재산에 대하여
재산분할청구 대상이 되는지 여부
16 복잡한 가족 구성원을 위한 희망 상속 플랜
특정 손주에게로 바로 재산을 넘겨줄 수 있을까?
17 재산 분쟁 없는 희망 상속 플랜
형제들 사이의 유류분 주장에 대하여
18 재산 분쟁 없는 희망 상속 플랜
증여는 해야겠는데 막상 주고 나면? -증여 재산에 대한 처분 통제를 원할 때
19 재산 분쟁 없는 희망 상속 플랜
부동산 자산에 비해 현금 자산이 턱없이 적을 경우
20 장애우를 위한 희망 상속 플랜
홀로 남겨질 장애우 자녀를 위한 안전장치로서의 신탁
3부 상속, 이것만은 꼭 알아두자!
상속 Q & A-안전한 상속을 바란다면 꼭 알아야 할 것들
일본의 상속 문화
미국의 상속 문화
부록
민법 개정안의 의미
책속에서
상속의 본질은 자산의 규모가 크든 적든 간에 부모가 평생 일궈온 재산을 자녀들이 귀하게 받고, 또 자녀들간에 재산 다툼이 없도록 하는 것, 즉 아름다운 자산의 이전이다.
더욱이 요즘 한국사회는 이혼과 재혼 가정이 늘고 있고 해외 거주자들이 많아져 복잡한 가정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속은 더 이상 부자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현재 내가 처한 가정의 문제를 구조적으로 해결하면서 절세 효과를 함께 풀 수 있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해결 도구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것이 바로 신탁제도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