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공학계열 > 공학일반
· ISBN : 9788994613314
· 쪽수 : 289쪽
· 출판일 : 2011-03-07
책 소개
목차
제 1장 바이오화학의 이해와 시장 현황
1. 바이오화학의 개념
2. 바이오화학 산업의 나라별 정책 동향
2-1.한국
1)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PS)
2) 바이오디젤 면세 2년간 연장 추진
3) 韓-中, 신재생에너지 국제표준 마련
4) 강동구 바이오디젤 주유소 설치ㆍ운영
5) 전남 해양에너지 산업화 490억 지원
6) 울산시 '바이오화학산업 키우기'
7) 온실가스 2020년까지 4% 감축 확정
8) 녹색인증 도입방안 확정
9)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말레이시아와 생명공학분야 협력
10) "국제환경규제 기업지원센터" 출범
11) 친환경 페인트 보급 활성화
12) 해조류 바이오매스 통합적 활용
2-2. 미국
1) 바이오매스 이용을 위한 온실가스 배출허가 요건 유예
2) 활용가능 토지에서 전 세계 소비 연료의 절반을 생산 가능
3) 재생연료 세금감면 연장안 상원 통과
4) 생산 업자들에 대한 교육 필요
5) BIO, 의회에 녹색 일자리 창출을 위한 바이오화학 플랫폼 개발 지원 요구
2-3. 유럽
1) 바이오연료용 엔진을 개발하기 위한 'Beauty' project
2) 유럽의 바이오연료 사용증가가 세계 시장에 미치는 영향
3) 지속가능한 바이오연료 인증시스템 구축
4) 바이오연료 기준을 확립한 EU
5) 바이오플라스틱 산업계, 강력한 지원 요청
6) 바이오플라스틱 기업의 성장
7) 자동차용 바이오연료에 대한 자금지원에 동의
2-4. 일본
1) 화학제품의 바이오매스화 효과, 일본의 CO2 배출량 최대 3.8% 삭감
2)「바이오연료 New 기준」, 셀룰로스계 바이오연료를 필수
3) “바이오매스타운 구상” 동아시아로 확산
4) 바이오매스타운, 마니와시
5) 바이오매스 활용추진 기본법안, 중?참의원 전회 일치로 성립
6) 정부, 목질연료의 보급 촉진
7) 바이오매스제품 협의회, 바이오매스제품 보급 추진
8) 바이오연료 정책 동향
9) 바이오연료 이용촉진 기준 마련 작업에 착수
3. 바이오화학 산업의 제품 및 기업동향
3-1. 한국
1) 화학업계에 옥수수 등장
2) 휴비스, 초우량 첨단소재社 도약
3) 삼성電 딜라이트 홍보관에 친환경 체험존 신설
4) 제일제당
5) SK케미칼
6) LIG건설
7) ㈜창해엔지니어링
8) ㈜지세에너지
9) ㈜신텍
10) 바이오디젤 운송연료로 보급 확대
11) 조류(藻類) 바이오 연료 시장
12) 2010 국제포장기자재전(Korea Pack 2010)
13) 고흥 바이오에탄올 파일럿 플랜트
14) 전주페이퍼
15) SK vs GS 정유사
16) 말레이시아 Banggi섬
17) 에스케이(SK)그룹
18) 바이오매스 플라스틱 특허출원
19) 한국해양연구원
20) 바이오 화학 시장에 대한 관심
21) 필리핀 한국기업과 3억 달러 규모의 협력체결
22) 바이오디젤 업계
23) 바이올시스템즈
24) 한국, 파키스탄 바이오연료 협력 체결
25) 한국 - 필리핀 바이오연료 원료 개발 계약
26) LG상사
27) SKC 친환경 필름
28) DNA로 만든 강하면서 부드러운 스폰지 섬유
29) 보루네오
30) ㈜나노톡스텍
3-2. 미국
1) 미국대두협회
2) Green Packaging그룹 6번째 회원사 Excellent Packaging社 추가
3) 워털루
4) Casey Container社
5) Tate & Lyle社와 Amyris社의 합작
6) Western Reserve大
7) Lenoir 카운티 DuPont社에게 5만 달러 투자
8) Cardia社
9) Stonyfield Farm社
10) Ball社
11) MirelTM
12) 바이오유래 식품 포장의 가격
13) Ingeo™ 바이오플라스틱
14) 식물계 플라스틱과 오일계 비교
15) 스카노社
16) GlycosBio社
17) 미국의 바이오플라스틱 시장, 높은 성장 예상
18) Momentive社
19) DSM社
20) 코카콜라 PlantBottle™ 녹색 포장상수상
21) 바이오플라스틱의 재료가 되는 깃털
22) MGP Ingredients社
23) 생분해성 플라스틱 공급 업체
24) 아이오와州 Linn County
25) 바이오플라스틱 VS 기존 플라스틱
26) Cereplast社, Ashland社와 유통계약
27) Jamplast社
28) Telles社의 생분해성 Mirel 바이오플라스틱 FDA 승인
29) 바이오플라스틱 하이브리드 성분, 아동용 가구에 사용
30) Plarco社
31) 커피 찌꺼기 바이오디젤로 전환
32) SunChips
33) 바이오플라스틱 위원회 2010년 목표 설정
3-3. 유럽
1) Trevira社
2) 석유유래 플라스틱 봉투 사용금지
3) Polenghi社
4) 사탕 포장지에 이용된 생분해성 플라스틱
5) 몰딩에 사용되는 바이오플라스틱
6) 유럽 바이오플라스틱협회
7) 유럽 발명가 대회
8) Arkema社
9) 독일 BASF社
3-4. 일본
1) Solvay社와 Mitsubishi社
2) 도요타자동차
3) Teijin社
4) JSP
5) 환경(Eco)을 의식한 식물유래 페트병 인기
6) 식물유래 플라스틱의 이용 증가
7) NEC의 난연성 바이오플라스틱
8) 캐논
9) 후지쯔
10) 마쯔다
11) 시세이도
12) 도요타방직
13) 리코
14) 식물유래 플라스틱수지
15) 유니티카
제 2장 바이오플라스틱 이해
1. 생분해성 플라스틱
1-1.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개념
1-2. 생분해성 플라스틱의 종류
1-3. 플라스틱 종류별 특성 비교
1-4. 분해성 플라스틱의 장단점 비교
2. 바이오플라스틱의 정의
2-1. 바이오플라스틱의 개념
2-2. 대표적 바이오플라스틱 제조 기술 및 물성
1) 젖산 고분자(PLA)
2)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PTT)를 포함한 폴리에스터계 고분자
3) 미생물 생산 폴리에스테르계 바이오플라스틱
4) 나일론 4
5) 폴리카보네이트
6) 우레탄
2-3. 플라스틱 종류별 장담점
1) 광분해성 플라스틱
2) 생붕괴성 플라스틱
3) 생분해성 플라스틱
2-4. 시장 규모
2-5. 나라별 규제 현황
2-6. 친환경 식별 표시
3. 바이오플라스틱의 장점
4. 바이오플라스틱의 응용
5. 바이오플라스틱과 기존 플라스틱의 차이점
제 3장 바이오플라스틱 시장 현황
1.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
2. 바이오플라스틱 시장의 개황
2-1. 시장현황과 장래전망
3. 바이오 플라스틱의 국내 현황
3-1. 산업 현황
3-2. 연구현황
3-3. 옥수수의 변신
3-4. 삼성 : 바이오 플라스틱을 이용한 휴대폰
3-5. 국내 바이오플라스틱 생산업체
4. 바이오 플라스틱의 세계 시장
4-1. EU
4-2. 미국
4-3. 일본
1) 친환경 페트병
2) 친화경 노트북
3) 친환경 자동차
4) 지구환경산업기술연구기구와 혼다기술연구소
4-4. 벨기에
4-5. 태국
5. 바이오 플라스틱의 비전및 전망
5-1. 바이오플라스틱 소비 예상.
5-2. 브라스켐(Braskem)
5-3. NEC
5-4. 시장 확대 가능성
5-5. 바이오 플라스틱 제품
5-6. 대형업체와 중소기업들 참여
5-7. 바이오 음료용기
5-8. 바이오 산업의 전망
5-9. 바이오산업 연평균 21.3%씩 성장 ‘07년~‘09년)
5-10.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의 제품들
5-11. 바이오 플라스틱의 활용 형태
6. 국내외 바이오 플라스틱 업체 및 협회 현황
6-1. 나노톡스텍
6-2. J.S Bio Kochem
6-3. (주) 범창종합실업
6-4. 한국바이오사이언스
6-5. 바이오플라
6-6. 성일플라스틱
6-7. (주)에이유
6-8. 홍지
6-9. (사)한국바이오플라스틱협회
6-10. 에콜바이오텍(주)
6-11. 한국 바이오 IT파운드리 서울센터
6-12. 한국 바이오 IT파운드리 부산센터
6-13. 한국 바이오 IT파운드리 광주센터
6-14. 영일수지공업(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