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재테크/투자 > 주식/펀드
· ISBN : 9788994747149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12-10-20
책 소개
목차
부자TV 유료회원 매매일지 005
서문|주식투자 왜 해야 하는가? 018
나의 주식 성공기 024
1장| 주식 첫걸음
경기분석 034
산업분석 038
업종분석 041
증권사 선택 047
HTS 설치와 이용법 051
관심종목 등록 055
매수와 매도법 056
매매주문 방법 058
모바일 투자 061
?
2장| 차트를 보는 기술
일봉 079
주봉 082
월봉과 연봉 083
분봉 083
봉차트 084
양봉 086
음봉 089
십자형 093
장악형 094
샛별형 096
석별형 097
적삼병 098
흑삼병 099
상승추세선 108
하락추세선 110
횡보추세선 110
추세선을 이용한 전략적 매매법 111
이동평균선이란? 113
이동평균선의 종류와 의미 114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 118
정배열 121
역배열 123
패턴이란? 126
투자에 유익한 매매패턴 127
보조지표란? 143
스토캐스틱 143
MACD 145
RSI 147
OBV 148
천정에 사지 않고 바닥에 팔지 않는다 150
매수 원칙-언제 사야 하나? 151
비관론이 극에 달할 때가 매수 시점이다 152
분할매수, 맘에 쏙 들더라도 한 번에 다 사지 않는다 153
매도의 원칙 154
최고로 낙관적일 때가 가장 좋은 매도 시점이다 156
3장| 시장을 읽는 기술
시장판단의 기준들 178
조셉 그린빌의 법칙 184
엘리어트 파동 187
앙드레 코스톨라니 206
고레카와 긴조 209
벤저민 그레이엄 211
워렌 버핏 213
존 템플턴 216
피터 린치 218
필립 피셔 220
제시 리버모어 223
4장| 신가치투자로 평생 부자되기
EPS(주당순이익) 230
PER(주가수익비율) 234
ROE(자기자본이익율) 237
BPS(주당순자산) 240
PBR(주가순자산비율) 241
기타 투자 지표 242
주가 평가지표의 수집과 활용 245
점상한가 2~5번 나온 종목을 주시하라 248
주가 비행의 활주로 200일선 251
이동평균선 매집 256
신가치투자 정리 259
신가치투자 요약 265
저자소개
책속에서
왜 주식투자를 해야 하는가? - 저자 서문 중에서
지금껏 주식은 위험자산으로 분류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처럼 주식이 위험자산으로 불리는 이유는 투자자들이 주식을 위험한 방법으로 대하기 때문이다. 이익이 증가하고 배당을 실시하는 기업에 투자를 한다면 은행예금이나 부동산투자 이상의 수익률을 거둘 수 있다. 더구나 앞으로는 그러한 경향이 더욱 강해질 것이다. 산업사회(1800년대 ~ 1980년)에서는 근로자가 평생 고임금을 받는 직업을 가질 수 있었고 노동조합에 의해 죽을 때까지 은퇴연금으로 보호를 받았다. 이러한 산업사회에서 금융교육은 중요하지 않았다. 그러나 산업화 시대가 끝나고 정보화 시대가 시작되면서 일자리들이 기술에 의해 대체되어 평생 고임금과 평생직업, 은퇴연금을 받는 시대도 막을 내렸다. 그러면서 재테크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어 본격적인 ‘투자의 시대’로 접어들었다.
신가치투자란 이런 것이다! - 저자의 주식 성공기 중에서
기존의 가치투자는 가치평가를 해서 저평가 종목을 고르고 다시 차트분석을 한다. 그런데 ‘신가치투자’는 이와 정반대이다. 먼저 차트를 분석하여 급등 에너지인 매집을 확인한 후 끼 있는 종목을 발굴하고, 다음에 가치평가를 하여 저평가 종목을 고른다. 가치투자는 저평가 종목을 매수해 장기 보유하는 것이 원칙이다. 보통의 개인투자자들은 한정된 자금으로 언제까지나 주식을 보유할 수만은 없다. 그러나 신가치투자는 빠른 시세를 볼 수 있다는 탁월한 강점이 있다.
일반 가치투자 : 가치평가-차트분석
신가치투자 : 차트분석-가치평가-매수, 매도 타이밍 포착
2008년 글로벌 위기로 증시가 패닉에 빠졌을 때 이데일리TV를 통해서 2009년 3월 대세상승을 확신하고 하락공포에 젖어 있는 많은 투자자들에게 지금이야 말로 저평가 국면에 진입한 절호의 매수기회라고 강조했다. “100년 만에 찾아온 매수 기회입니다. 눈과 귀를 막고 주식을 사서 2세에게 물려줍시다” 나의 강력한 매수주장을 따른 많은 투자자들은 큰 수익을 보았다. 이것은 신가치투자 기법을 적용해 매수, 보유함으로써 가능한 일이었다.
서로 다른 형태의 봉(캔들) 이해하기
1. 양봉
주가의 변화가 만들어내는 봉(캔들)의 모양으로 그 날의 매수세와 매도세의 힘을 파악할 수 있다. 매수세가 강한 날은 양봉이, 매도세가 강한 날은 음봉이 발생한다. 매수와 매도의 강도에 따라 봉의 길이도 달라진다.
① 긴 양봉
긴 양봉(장대양봉)은 시초가에 비해 종가가 아주 높게 형성될 때 발생하는 양봉이다. 하루 종일 매수세가 강하게 들어왔다는 의미이다. 몸통이 길수록 매수세도 강했음을 의미한다.
바닥권에서 발생하는 긴 양봉은 바닥을 탈출하는 신호로 받아들여진다. 하지만 천정권에서 발생하는 긴 양봉은 두 가지 관점으로 해석할 수 있다. 첫째 추가 상승을 암시하며, 둘째 상승의 마지막 클라이막스에서 의도적으로 상승시켜 높은 가격에 팔기 위한 속임수일 수 있다.
② 윗꼬리가 달린 양봉
매수세가 매도세를 압도했지만 고가 대비 종가가 낮게 형성되었음을 나타낸다. 윗꼬리가 길수록 고점 대비 많이 밀린 상태에서 하루를 마감했다는 의미이다. 윗꼬리가 길 때는 주가가 다음날 하락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한다. 윗꼬리가 짧을 경우에는 추가로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③ 아랫꼬리가 달린 양봉
아랫꼬리가 길수록 그날의 시초가보다 주가가 낮게 형성되었을 때 매수하려는 힘이 강했음을 의미한다. 아랫꼬리가 발생했다가 빠른 속도로 반등해 주가가 시초가를 돌파해 양봉으로 끝났다면 이후 상승할 확률이 높아진다. 바닥권에서 발생했다면 상승전환 가능성이 높다. 저가의 강력한 매수 세력이 존재함을 보여주는 흔적이므로 매도를 보류하거나 매수 타이밍으로 잡을 수 있다.
④ 윗꼬리와 아랫꼬리 달린 양봉
매수와 매도 세력이 팽팽한 균형을 이뤘지만 여전히 상승 기운이 지배하고 있는 상태이다. 천정권에서는 매도를 고려할 수 있고, 바닥권에서는 매수를 고려할 수 있다. 하지만 확신을 주는 신호로는 부족하다.



















